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5세기 ‘V아디다’ 기원의 합성어 ‘녹아지다’

        신은수 ( Shin Eun-su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80 No.-

        이 논문은 현대국어의 ‘녹아지다’가 본용언 ‘녹다’(消)와 ‘디다’(落)가 결합한 15세기 ‘노가디다’의 후대형으로, 합성어라는 사실을 밝힌다. 15세기 ‘노가디다’는 후행 동사 ‘디다’(落)가 [하강]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노가□리다’와 유의 관계에 있다. 통시적으로 ‘녹아지다’는 15세기 ‘노가디다’의 의미 기능(① [액체화]와 [하강], ② [소멸])을 보존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녹아지다’는 본용언끼리 결합한 합성어인데, 이는 보조용언 구성 ‘-아지다’가결합하는 선행 용언의 종류와 ‘녹아V’ 구조를 보이는 ‘녹아내리다, 녹아떨어지다’ 등의 합성어 실현 양상 그리고 방언에서의 쓰임을 통해 알 수 있다. This paper researches 'nogajida' in the contemporary Korean is a compound word that it combines 'nokta' with 'jida(<tida)', and is a historicity type of 'nogadida' in the 15th century. 'nogadida' has the basic meaning of [descent] of 'tida', is the synonyms of 'noganarida' in the 15th century. 'nogajida' diachronically preserves the meanings of 'nogadida', ① [liquid] and [descent], and ② [extinction] in the 15th century. 'nogajida' is a compound word that it combines 'nokta' with 'jida(<tida). This is identified by that a auxiliary predicate '-ajida' don't combine with a kind of intransitive verb. 'nogadida' and 'noganarida' have the same meaning in the 15th century, and have the various meanings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ut 'nogajida (<nogadida)' is used less, on the other hand 'noganaerida(<noganarida)' is widely used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nogajida' is generally used in a regional dialect of the late 20th Century.

      • KCI등재

        대상 이동 자동사의 위상과 목록

        신은수 ( Shin Eun-su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4 No.-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 status of theme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in the lexical system of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make their list on the criteria of parallel locomotion and vertical one. Focusing on the lexicon of simple verbs of theme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in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of native Korean words, this study clarifies the importance of theme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makes a list of theme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which have not caught a attention in the previous studies of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In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here are some verbs which have the devaluated meaning of the agent locomotion in addition to basic meaning of theme locomotion. There are also other verbs whose original meaning was agent locomotion lost their original meaning and are used as the meaning of theme locomotion. These verbs revealed relationship between agent locomotion and theme locomotion,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theme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in the lexical system of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he list of theme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is made on the basis of parallel locomotion and vertical one, which is decided from the general meaning of verbs.

      • KCI우수등재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 변화 - 단순동사의 공시적 위상을 중심으로-

        신은수(Shin, Eun-su)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이 논문은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합성동사 체계를 바탕으로 단순동사를 추출하여 이들 단순동사의 공시적 위상을 살피고, 이 공시적 위상을 통해 단순동사 체계의 어휘 변화를 유추하였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합성동사 체계에서 추출한 단순동사 체계는 앞-뒤 이동이 있고, 체계의 빈칸이 없어 대응짝 어휘가 온전하게 대응한다. 단순동사들의 공시적 위상은 사전과 문헌 자료에서의 출현 양상을 정리하고, 친숙도와 빈도를 합성동사와 비교하여 살폈다. 그 결과 어휘 소멸, 행위주 이동 의미의 축소나 소멸 등을 겪은 단순동사가 확인되었다. 어휘 소멸이나 행위주 이동 의미 소멸을 겪은 단순동사는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단순동사 체계에서는 제외되므로 체계에 빈칸이 생긴다. 실제로 단순동사 체계는 체계의 빈칸, 의미영역의 한정성 등의 이유로 대응짝 어휘가 비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앞-뒤 이동을 나타내는 ‘낫다’와 ‘무르다’도 대응짝 어휘의 비대칭 구조를 이룬 뒤 단순동사 체계에서 제외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대체로 행위주 이동 의미 빈도나 비율은 단순동사보다 합성동사가 더 높았다. ‘들다, 오르다’도 그러하였다. 특히, ‘들다’는 행위주 이동 의미 빈도와 비율이 낮아서 조만간 행위주 이동 의미가 소멸할 것이라고 보았다. ‘들다’에 비해, ‘오르다’나 ‘비키다’는 전체 의미 중 행위주 이동 의미가 차지하는 비율이 대체로 높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of simple verbs on the basis of the system of compound verbs in ag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investigate their synchronic status and also infer their lexical change from their synchronic status. The system of simple verbs found in the system of the compound verbs in ag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has front-back locomotion and corresponds to pair words since there is no gap in the system. To check synchronic status of simple verbs, this study arranged appearance pattern from dictionary and corpus and compared their familiarity and frequency with the one of compound verbs. As a result, several simple verbs which had experienced lexical extinction, reduction or extinction of agent locomotion meaning were found. Some of simple verbs whos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had been extinct or other ones that had experienced lexical extinction were excluded from the system of simple verbs in ag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the gap appears in the system. In fact, the system of simple verbs has the asymmetrical structure of pair words, due to the gap of system and the limitation of semantic domain. This study found that after "mureuda" and "nasta" which represented front-back locomotion had the asymmetrical structure of pair words, they were excluded from the system of simple verbs. The frequency or percentage of th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in compound verbs is generally higher than the one in simple verbs. The examples are ‘deulda, oreuda.’ Especially in ‘deulda’, its meaning of agent locomotion will be extinct in the near future sinc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are low.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th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in "oreuda, bikida" is generally high.

      • 3D프린터를 활용한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신은수(Shin Eun Su)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8 융합교육연구 Vol.4 No.1

        현대가족의 관점이 변화되면서 가족의 기능이나 역할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최근에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족의 해체 현상들로 인해 청소년들의 가치관 혼란 및 문제 행돔을 일으킨다는 것이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면서 가족의 기능이 절실히 필요해졌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들어 3D프린터가 대두되면서 현 교육현장에서 급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는데 반해 현직교사들 중에서도 3D프린터에 대해 아는 사람의 수가 적고 가르칠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 3D프린터를 활용한 교육보다는 그저 기솔을 익히는 것에 그쳐 있다는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D프린터를 활용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총 5일차로 진행되며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이다. 프로그램 목적은 ‘3D프린터를 활용하여 3차원적으로 미래의 우리 집을 표현함으로써 가족의 건강성 향상과 창의력 발휘, 자신이 만든 작품을 통하여 성취감 및 도전의식을 갖게 해준다.’이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로는 첫째, IT활용능력을 갖게 해준다. 둘째, 교구를 사용함으로써 창의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이 향상된다. 셋째, 우리 집을 표현함으로써 공동체 의식 및 가족의 건강성 향상 자아성찰의 기획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이 가능하다. As the view of the modern family changed, many changes occurred i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family.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a problem of the modern society that the frequent disintegration of the family causes the confusion and problematic behavior of the value of the youth, and the function of the family is urgently needed. In addition, as the 3D printer has emerg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spreading rapidly in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Among the current teachers, there are few people who know about 3D printe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only to learn a skill rather than an education.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veloped a fusion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 It is conducted on the 5th day in total. The target is from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family, to demonstrate creativity, and to achiev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hallenge through the work that I made by expressing my future house in 3D using 3D printer.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Second, by using the parish, creativit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are improved. Third, by expressing our home, we can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and improve the health of the family. Finally, various fusion education programs are possible.

      • KCI우수등재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 연구

        신은수(Shin, Eun-su)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이 논문은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이 보이는 현대한국어의 공시적 특징을 살피고, 그와 같은 특징을 지니게 된 이유를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 안에서 설명하였다. ‘새다, 빠지다1’은 일반 대상 이동 자동사와 달리 행위주 주어를 갖는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는 행위주 이동 의미에서 대상 이동 의미로 확장하는데, ‘새다, 빠지다1’은 이와 반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새다, 빠지다1’은 ‘가다, 나가다’ 등보다는 더 부정적인 행위주 이동 의미를 지니고, ‘꺼지다1, 뜨다’ 등보다는 덜 부정적인 행위주 이동의미를 지닌다. 또 ‘새다, 빠지다1’은 대상 주어의 밖으로-이동을 나타내는데, 행위주 이동 의미를 드러낼 때는 이동 방향이 폭넓은 평행 이동으로 바뀐다. ‘새다, 빠지다1’이 보이는 여러 공시적 특징은 이동 자동사의 밖으로-이동과 관련이 깊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단순동사 체계에서 밖으로-이동이 빈칸으로 있어, 밖으로-이동을 나타내는 대상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이 다른 이동 자동사와 구별되는 여러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ynchronic features of ‘saeda, ppajida1’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in modern Korean, and analyzed the reasons they have such features in the lexical system of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aeda, ppajida1’ have agent subjects, differently from most of theme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While agent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generally extend the meaning from agent to theme, ‘saeda, ppajida1’ do reversely. ‘saeda, ppajida1’ have more negative agent locomotive meaning than such as ‘gada, nagada’, which have less negative one than ‘kkeogida1, tteuda’, etc. Also, ‘saeda, ppajida1’ show the outward-movement of theme subject, which change the way to wide parallel movement when they represent the agent locomotive meaning. Several synchronic features of ‘saeda, ppajida1’ are related with the outward-movement of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ince the outwardmovement is empty in the simple verb system of agent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aeda, ppajida1’, theme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which present the outward-movement show such features, differently from other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 KCI등재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적 특징 연구

        신은수 ( Shin Eun-su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이 논문은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에 나타난 공시적 통시적 특징을 살폈다. 그리고 이 특징을 행위주 하강 이동 자동사와 연관 지어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적 특징으로 종합하였다. 하강 이동 자동사의 개념을 살피고, 주어의 의미역에 따라 하강 이동 자동사를 행위주 하강 이동 자동사와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로 나누었다. 단순동사와 합성동사를 기준으로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를 설정하고, 주어 명사나 하강 장소 등의 선택특성에 따른 물리적 하강 의미 영역의 차이를 중심으로 어휘 체계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현대한국어에서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의 단순동사는 특수 하강 의미를, 합성동사는 보편 하강 의미를 드러낸다.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는 통시적으로 단순동사의 의미 소멸이나 의미 축소를, 합성동사의 의미 유지나 의미 확장을 겪는다. 이와 같은 공시적, 통시적 특징은 행위주 하강 이동 자동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에는 단순동사와 합성동사의 일정한 의미 대응 양상과 의미 변화 원리가 존재한다고 일반화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features of lexical system of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hese features were presented in agent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collected to characters of lexical system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o begin with, the concepts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were checked, and were divided into agent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based on thematic roles of subject. The lexical system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was set, with the criteria of simple verbs and compound verbs. This study also explained features of lexical system,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semantic scope of physical descent according to sel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 nouns, descent places. In contemporary Korean, simple verbs of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present descent meaning of specific nouns while compound verbs show descent meaning of various nouns.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experienced the reduction or extinction of meaning in simple verbs, whereas they experienced the maintenance or extension of meaning in compound verbs, diachronically. These synchronic and diachronic features of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lso occurred in agent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correspondence of meaning between simple verbs and compound verbs, and also a principle of change in the lexical system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동사 ‘디다’에 대한 통시적 연구

        신은수 ( Shin¸ Eun-su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9

        이 연구는 15세기 ‘디다’의 통사 구조와 의미를 살피고, 이들의 통시적인 변화를 기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디다’의 통사 구조와 의미 변화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15세기에 ‘디다’는 주로 ‘NP이 디다’와 ‘NP1이 NP2에 디다’로 쓰인다. 주어는 대상 의미역으로 해석되는데, 사람이나 사물 명사가 모두 주어로 쓰일 수 있다. 그런데 사람 주어가 행위주 의미역으로 해석되는 예도 일부 존재한다. ‘NP2에’는 출발점이나 도달점, 기준점을 나타낸다. 15세기 ‘디다’는 크게 ‘하강, 소멸, 분리’의 의미를 지닌다. ‘디다’의 의미는 수직 이동과 수평 이동, 물리적 이동과 추상적 이동, 그리고 보편 하강과 특수 하강 등의 속성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디다’는 통시적으로 통사 구조와 의미가 축소한다. 20세기 후반의 ‘디다’는 ‘NP이 디다’와 ‘NP1이 (NP2에/로) 디다’가 쓰이고 있다. 주어 명사가 ‘꽃, 얼룩, 숨’일 때 ‘NP이 디다’가 쓰이고, 주어 명사가 ‘해·달’일 때 ‘NP1이 (NP2에/로) 디다’가 주로 쓰인다. ‘디다’는 역사적으로 보편 하강 의미가 근대한국어 시기에 사라지고, 특수 하강이나 소멸에 해당하는 의미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yntax structure and meanings of ‘dida’ in 15<sup>th</sup> century, study characteristics of its syntax structure and the change of meaning, and clarify its diachronic change. ‘Dida’ mostly was used ‘NP-i dida’ and ‘NP1-i NP2-e dida’ in the 15<sup>th</sup> century. Both human and inanimate noun could be subjec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theme. Meanwhile, there were some cases that human subjects were translated into agent. NP2-e represented source, goal or criterion. ‘Dida’ meant descent, dissolution or detachment in the 15<sup>th</sup> century. The meaning of ‘dida’ were classified in details with the criteria of vertical movement & horizontal movement, physical movement & absolute movement, universal descent & specific descent. The syntax structure and meaning of ‘dida’ has decreased diachronically. ‘Dida’ was used ‘NP-i dida’ and ‘NP1-i (NP2-e/ro) dida’ in the late 20<sup>th</sup> century. In the case subject is such as flower, stain, breath, ‘NP-i dida’ is used. Whereas, when subject is such as sun, moon, ‘NP1-i (NP2-e/ro) dida’ is generally used, these days. The meaning of universal descent in ‘dida’ disappeared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e meaning of specific descent or dissolution has been used constantly.

      •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

        신은수(Shin, Eun-Su),이영준(Lee, YoungJun)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0 융합교육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융합교육 수업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자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3차례에 걸쳐 9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위해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만들었다. 면담내용은 현장노트와 참여자와 나눈 문자, 전화,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전공자들은 기존교육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융합교육전공에 입학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진로코칭 및 교육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융합교육은 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 진로특강 등으로 적용하였고 자신과의 소통, 1:1맞춤형 교육, 사고확장 등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융합교육 수업의 문제점은 단발성 수업으로 인한 수업시간 부족,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시스템 부족, 수준별 교육을 위한 수업방식의 어려움 등이다. 넷째, 융합교육전문가들은 유튜브, 책, 연구물, 외부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개인적 역량을 기르고 있었으며, 교사 이외의 교육전문가들을 위한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효과적인 융합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과정 제안, 둘째, 융합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기준 마련, 셋째, 다양한 지원 및 외부활동 기회 제공, 넷째, 협업·소통의 장 마련이다. This study utilized the narratives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90 minutes on three occasion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Item and the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tud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is not criticised A-levels which made an open question. The meeting participants and field notes with text messages, phone, was analyzed centering on the details of his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s entered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and were operating career coaching and education companies in common in the education sector. Second, in the application method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free semester system, free grade system, special cour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rovided, and the education method was to communicate with oneself, 1:1 education, and activities to break the framework of thinking. Third, in the problems and requirement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class, they wanted to check their effectiveness or evaluation of their classes, such as the lack of class time due to the single class, the lack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analysis system, and the difficulty of the class method for level education. Fourth, in the core competency of convergence education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developing their own personal capabilities through YouTube, books, research materials, and outside activities, and that education for education experts other than teachers was not being conducted.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is. First, proposed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ird, providing diverse support and opportunities for outside activities, and fourth, preparing a venue f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