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아동의 미디어 활용 유형 전이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신안나(Anna Shin),이솔비(Solb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이 연구는 아동의 미디어 활용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전이 양상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13년도 초등학생 데이터(1,171명)를 대상으로 미디어 활용 유형에 대한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을 수행하고, 흥미로운 전이 양상을 보이는 집단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잠재전이분석 결과, 5학년 프로파일은 ‘오락·소통 고사용형’(57.9%), ‘전반적 저사용형’(29.3%), ‘전반적 고사용형’(12.8%)으로, 6학년은 ‘오락·소통 고사용형’(48.4%), ‘전반적 저사용형’(22.3%), ‘전반적 고사용형’(29.3%)으로 분류되었다. ANOVA 분석 결과, 전반적 고사용형은 오락·소통 고사용형에 비해 국어 성취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해당 전이 유형(오락·소통 고사용형→전반적 고사용형)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컴퓨터 사용능력, 끈기, 부모의 학습참여, 지역사회 문화시설 접근 편리성이 전이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긍정적인 미디어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부모 교육 및 지역사회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tial factors of children's media use. Methods 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 was conducted fo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1,171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12th and 13th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Results The profiles of fifth grader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verall low use type” (29.3%), “overall high use type” (12.8%), and “entertainment/communication high use type” (57.9%). Similarly, profiles of sixth grader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verall low use type” (22.3%), “overall high use type” (29.3%), and “entertainment/communication high use type” (48.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OVA, the overall high use typ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hievement than the entertainment/communication high use type in Korean subject.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 focus on the transition from the entertainment/communication high use type to the overall high use type revealed that gender, computer use ability, GRIT, parental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ease of access to social and cultural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al education and community support are required for encouraging children's constructive media use.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 과제의 지시문 유형에 따른 팀 활동 내 언어적 상호작용,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신안나(Anna Shin),이지향(Ji-Hyang Lee),김혜빈(Hye-Bin Kim),조일현(Il-Hyun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과제를 활용한 팀 활동에서 워크시트 지시문 유형(개념적 지식 촉진, 절차적 지식 촉진)이 팀 활동 내 언어적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소속된 학부 여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후, 팀 활동 및 그룹 인터뷰의 녹취록 자료를 대상으로 KOSAC 사전 기반의 오피니언 마이닝과 키워드 분석을 수행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류 기준은 감성 극성(긍정, 부정, 중립, 복합)과 표현 유형(동의, 논쟁, 판단, 의도, 감정, 추측, 기타)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집단별로 언어적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언어적 상호작용의 경우, 절차적 지식 촉진형 워크시트를 활용한 실험집단에서 긍정적 어휘 표현의 활용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그러나 학업성취도는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모두 집단별 평균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p>.05). 수업 만족도에 대한 키워드 분석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문제’, ‘강의’, ‘데이터’, ‘이해’, ‘실제적’이, 통제집단에서는 ‘강의’, ‘내용’, ‘과제’, ‘문제,’ ‘응용’이 최상위 키워드로 제시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 간 원활한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워크시트의 개발과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동 데이터 분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worksheet question prompts (facilitating conceptual knowledge vs. facilitating procedural knowledge) i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tasks on team’s verbal inter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Methods 53 female under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the metro area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data analysis, opinion mining based on KOSAC and keyword analysis were applied on the transcripts of team activities and group interviews. Criteria for analyzing verbal interactions were divided into polarity (positive, negative, neutral, complex) and types (agreement, argument, judgment, intention, emotion, speculation, and others). In addition,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s in verbal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group. Results Regarding the verbal interaction, the frequency of using positive express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worksheet for facilitating procedural knowledge(p<.05). However,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the pre- and post-scores(p>.05). As the result of keyword analysis on class satisfaction, the top keyword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blem’, ‘lecture’, ‘data’, ‘understanding’, and ‘realistic’, whereas the top keywords in the control group were ‘lecture’, ‘content’, ‘task’, ‘problem’, and ‘applic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imply the necessity for ongoing attention to the study of behavioral data generat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various worksheets to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 among learners.

      • KCI등재

        LASSO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교사 소진 예측 변인 분석

        이솔비(Solbee Lee),신안나(Anna Shi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2

        이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의 1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과 LASSO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원분산분석 결과, 경력이 20년~25년인 집단의 소진 평균은 신규 교사와 5년~15년 경력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1). 둘째, LASSO 회귀분석 결과, 전체 집단에서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생, 동료, 학부모와의 관계 갈등이 가장 영향력이 컸다. 셋째, 집단별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교사 자율성의 제한, 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이나 학교의 요구가, 중학교에서는 지능에 대한 고정된 신념, 성적에 기반한 교사 평가, 학생지도 및 상담에 대한 부담감이 소진을 야기하였다. 경력별로 살펴보면 신규 집단과 20년~25년 집단에서 학부모와의 관계 갈등이 소진을 야기하는 주요 변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사 소진 예방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정책적 제언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burnout using the teacher panel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20 (SELS 2020). Two-way ANOVA and LASSO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considering both school grade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OVA revealed that both the main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gra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level of burnout among teachers with 20-25 years of experience was lower compared to that among new teachers and those with 5-15 years of experience (p<.001).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ASSO regression, relationship conflicts with students, colleagues, and parent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hat had positive effects on burnout. Third, when analyzed by school grade, constraints on teacher autonomy, parental interest or school demands regarding teaching led to teacher burnout in elementary schools, while fixed beliefs about intelligence, performance-based teacher evaluation, and the burden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triggered burnout in middle schools. In the analysis by teaching experience, conflict with parents was a major variable in the novice group and the 20-25 years experienc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ng teacher burnout and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 KCI등재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이솔비(Solbee Lee),신안나(Anna Shin),양현경(Hyun-Gyung 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대학에서 제공되는 진로교육⋅서비스 경험의 유형과, 이에 대한 영향요인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진로교육⋅서비스 경험의 유형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 KEEPⅡ 5차년도 조사(2021년도)에 응답한 대학생 자료(총 3,296명)를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또한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잠재집단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카이스퀘어 검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은 ‘전반적 고경험’(6.4%), ‘상담 및 수강 위주 중경험’(38.2%), ‘전반적 저경험’(55.4%)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집단 분류의 영향요인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 고경험 유형’에서 자기 이해, 학과 자부심, 재학 여부는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4-6년제 대학 여부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상담 및 수강 위주 중경험 유형’의 경우, 재학 여부는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4-6학년제 대학 여부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교육⋅서비스 경험에 대한 잠재집단과 미래직업 결정 여부 간 카이스퀘어 검정 결과, ‘전반적 고경험 유형’과 ‘상담 및 수강 위주 중경험 유형’이 ‘전반적 저경험 유형’에 비해 미래직업 결정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진로교육⋅서비스 지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긍정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대학생의 진로선택효능감 및 전공선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과 차원의 진로교육⋅서비스 참여 확대를 위한 노력 및 균형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tent classes of career education/service experience(CESE) in universities and their effect on career indecision(CI). Methods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used to identify the classes of CESE for 3,296 students in the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II) 5th year dat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variables affecting latent classes, and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and career indecision. Result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es of CES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verall high experience’ (OHE) (6.4%), ‘medium experience focused on counseling and lecture’ (MECL) (38.2%), and ‘overall low experience’ (OLE) (55.4%). Second,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awareness, department pride, and enrollment had positive effects in OHE, but that 4 to 6 year cours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 MECL, enrollment had a positive effect, while a 4 to 6 year course had a negative effect. The chi-square test between the latent classes and career indecision showed that the rates of future job decision of OHE and MEC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LE.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career education/service experience(CESE) in universities support was positive for students' career decisions, suggesting that efforts and balanced support are essential to expand career education and service participation at the university department level to increase students' career choice efficacy and major choice satisfaction.

      • KCI등재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백순근(Sun Geun Baek),윤승혜(Seunghye Yoon),신안나(Anna Shin),손주영(Jooyoung Son),김연경(Yun Kyu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여섯 가지 핵심역량(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수-학습상황 등을 고려하여 교육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것을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여섯 가지 핵심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예비검사를 위한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로서 각 역량별로 세 개의 하위 영역을 제시하고 각 하위 영역별로 여섯 개의 하위 요소 및 관련 예비문항들을 개발하였다. 초안 형태로 개발된 측정도구는 총 12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내용 타당도 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으며, 이렇게 수정·보완된 예비검사용 측정도구(총 108개 문항)를 활용하여 ◯◯도 소재 A고등학교 2학년 36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응답 및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32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여섯 가지 핵심역량의 각 영역별 개별 문항의 요인부하량과 앞서 실시된 내용타당도 점검 결과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측정도구(총 90개 문항)를 완성하였다. 완 성된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각 역량별로 세 개의 하위 영역과 각 하위 영역별 다섯 개의 하위 요소 및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와 문항 내적일치도 계수 등을 점검한 결과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measuring six core competencies (Self-management,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reative Thinking, Aesthetic-emoti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competency) applicable for high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s provided by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each core competency was subdivided into three domains as they were then specified into six sub-domains with corresponding question items. Prior to a pilot test, conferences consisting of 12 experts review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Subsequently, the developed measurement scale for a pilot test (total of 108 items) was given to 362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 province, and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screened to rule out unanswered and insincere ones. With the data of remaining 327 respondents, the factor loading and the content validity had been examined to finalize the measurement scale (total of 90 items). Evidenc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the measurement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six core competencies each of which comprised of three domains and five sub-domains was proven to be well-constructed.

      • KCI등재

        초 · 중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프로파일 분석

        박경인(Park, Kyungin),정승원(Chung, Seungwon),신안나(Shin, Ann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1, 2차년도 자료의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패널의 응답 자료를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의 대표적 프로파일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 적응 및 학업성취도라는 교육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여 대표적 프로파일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파일 유형과 교육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패널과 중학교 1학년 패널의 부모 양육태도에 대한 대표 프로파일을 분석 결과, ‘합리-애정형’, ‘방임형’, ‘학대형’의 세 가지 차원이 도출되었다. 둘째, 합리-애정형 프로파일의 유사성 지수는 학교 적응 및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방임형 프로파일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대형의 경우에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남녀 간 개인 모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부모 양육태도의 평균 척도점수가 합리-애정형 프로파일에 가깝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하위영역 별로 구분하지 않고, 전체적인 연속선상에서 양육태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특히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number of representative profiles of parenting styl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les of parenting styles and educational variables including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1st and 2nd year of Children Youth Panel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ee dimensions were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profiles of parenting styles: reasoning and affection, neglect, and physical abuse. Second, similarity indices of reasoning and affection profile were positive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anels, while those of the neglect profile were negative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oth panels. In addition, the similarity indices of the physical abuse profile were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panel. Third, the differences among the observed groups, which can be divided according to gender and level of achievement were examined in greater depth. The results from group analysis indicate that the parametric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ean scale scores of parenting styles for the high achievement students group were similar to the reasoning and affection profi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parenting styles as a whole concept while other previous studies have tended to focus on sub domains.

      • KCI등재

        Profile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Sun-Geun Baek(백순근),Seung-Hye Yoon(윤승혜),Anna Shin(신안나),Jooyoung Son(손주영),Yun-Kyung Kim(김연경) 한국교육개발원 2019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6 No.2

        이 연구는 다차원척도법에 기반한 프로파일 분석 기법인 PAMS(Profile Analysis via Multidimensional Scaling)를 활용하여 한국 고등학생의 핵심역량 수준과 대표 프로파일을 추출하고,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반영하여 연구진이 개발한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274명의 핵심역량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국연합학력평가의 국어, 수학, 영어 점수를 학업성취도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핵심역량 중에서는 학생들의 공동체 역량 수준이 가장 높았고 심미적 감성역량 수준이 가장 낮았다. 대표 프로파일로는 ‘인지중심 유형(cognition-oriented type)’과 ‘감성중심 유형(affection-oriented type)’의 두 가지 프로파일이 추출되었으며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의 상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수학습 방안과 역량중심교육의 정착을 위한 적절한 평가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 pattern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Prototypical Profiles via Multidimensional Scaling (PAM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of 274 students in one typical high school were used. The core competencies were measured by the Six Core Competencies Measurement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SCCMS)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cademic achievements, three subject (Korean, math, and English) scores from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Test (NAAT) were collected. Of six competency levels, the students’ ‘community competency’ level was the highest, but their ‘aesthetic emotion competency’ level was the lowest. The PAMS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two prototypical profiles, ‘cognition-oriented’ type and ‘affection-oriented’ type. And the core competencies showed marginal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for ‘tailor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정신전력 개념 발전 및 측정도구 개발

        백순근(Baek, Sun-Geun),엄문영(Eom, Moonyoung),정상근(Jung, Sang-keun),신안나(Shin, Anna),장지현(Jang, Jihyeon),김학중(Kim, Hackjung),김연경(Kim, Yun-Kyung),양혜원(Yang, Hye-Won)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0

        이 연구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안보 상황과 한국군에 대한 국민의 변화된 인식에 부합하는 정신전력 개념을 발전시키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군의 정신전력 교육의 목표 및 내용, 핵심가치들 등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와 법령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초점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등을 통해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감대가 높은 정신전력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그에 따른 구인지도(構因地圖, Construct-Map)를 작성하였다. 구인지도는 정신전력을 구성하는 하위구인과 하위요소를 추출·선정한 것으로, 정신전력은 ‘투철한 국가관’, ‘확고한 안보관’, ‘강인한 군인정신’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강인한 군인정신’은 ‘엄정한 군기’, ‘왕성한 사기’, ‘굳은 단결’로 구성되었다. 또한,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총 150개)을 개발하여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각 군장병들(총 4,351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Pilot Test)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등 양호도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측정도구는 ‘투철한 국가관’(10개 문항), ‘확고한 안보관’(10개 문항), ‘강인한 군인정신’(45개 문항)의 총 65개 문항으로, 하위구인 및 정신전력 측정도구 모두 타당도와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된 정신전력교육 및 평가를 위해 발전된 정신전력의 개념과 측정도구를 정신전력 진단 및 교육에 반영하고 환류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concept and measurement scale of the mental strength of military soldiers, reflecting dynamic situations around the globe and the new expectations for military soldiers. To this end, we first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analyzed relevant legislation, literature, and assessment tools that had hitherto been used for education and survey of military soldiers’ mental strength. Then,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upon content experts and stakeholders of the military. Aggregating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 defined the concept of ‘mental strength of military soldiers’ and established a construct map of ‘mental strength of military soldiers’ to be constituted of three main domains of ‘perspective to the nation’, ‘perspective to security’, and ’soldier spirit.’ In order to examine if the construct map is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a preliminary measurement scale of 150 items was developed and a pilot test was executed upon 4,351 soldiers sampled from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corps. Consequently, a finalized measurement scale of 65 items (constituted of 10 short-answer questions and 55 Likert-type questions) was verified of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correlation analysis. Moreove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cale also proved that the construct map was solidly supported by actu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