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OTT 서비스 넷플릭스(Netflix) 이용자의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신선경(Sunkyung Shin),박주연(Joo-Yeun Par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7 No.3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OTT 산업 환경에서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OTT 서비스의 국내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OTT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시청행태의 변화와 이용자 이해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대가치이론을 이용해 대표적 글로벌 OTT 서비스 넷플릭스 이용자의 이용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추구충족 및 획득충족 요인은 모두 6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콘텐츠 다양성’, ‘오락/재미’, ‘사회성’, ‘품질우수성’, ‘편리성’, ‘가격’ 추구충족 요인이 획득충족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사회성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족수준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모든 요인에서 획득충족보다 추구충족이 더 높은 부정적 불일치가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다양성 요인의 추구충족과 획득충족 간 차가 가장 높게 나타나 콘텐츠 다양성에 대한 이용자들의 실망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추구충족과 획득 충족 간의 불일치가 이용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불일치 정도가 클수록 서비스 이용 불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글로벌 OTT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기반으로 향후 OTT 서비스 전략 수립에 있어 개선과 보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number of global OTT services are explosively increasing in Media industry. Despite the growth of OTT service market, there is still lack of understanding of users. So this study which based on Palmgreen and Rayburn’s Expectancy Value Theory attempts to identify OTT service user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Web survey(N=200) to reveal six major factors of the Gratification Sought(GS) and the Gratification Obtained(GO); ‘Diversity of Contents’, ‘Fun/Entertainment’, ‘Sociality’, ‘Quality’, ‘Convenience’, ‘Price’. All of thos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tributing to GO is ‘Sociality’.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discordance factor between GS and GO is ‘Diversity of Contents’. In addition,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between GS and GO has affected dis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between GS and GO was found, the higher impact on dissatisfaction was foun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future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OTT services.

      • KCI등재

        유튜브 동영상 밈(Meme) 콘텐츠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신선경 ( Sunkyung Shin ),박주연 ( Joo-Yeun Park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최근 온라인상에서 빠르게 전파되고 있는 밈 가운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OTT(over-the-top) 서비스 동영상 밈 콘텐츠에 주목하여, 이용행태 및 특성을 규명하고 플랫폼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콘텐츠 이용 연구에서 높은 설명력을 보인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확장해 유튜브 밈 콘텐츠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밈 콘텐츠 이용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댓글의도, 추천의도, 공유의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유튜브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까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이용 동기 요인은 모두 7개로 분류되었으며, 유튜브 밈 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는 ‘오락/재미’, ‘습관/시간보내기’, ‘사회적 연결’, ‘감각자극’ 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참여의도에 있어서는 ‘자기표현’ 요인이 댓글의도, 추천의도, 공유의도에 모두 높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더 나아가 유튜브 이용 만족에는 ‘밈 콘텐츠 지속이용의도’, ‘댓글의도’, ‘추천의도’의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튜브를 중심으로 밈 콘텐츠가 빠르게 전파되고 공유되는 현재, 밈 콘텐츠의 이용행태 및 특징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연구를 통해 밈 콘텐츠 이용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밈 콘텐츠 이용이 OTT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까지 파악해 미디어 콘텐츠로써 밈의 가능성과 OTT 서비스 발전 방향까지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motivation and effect of the diffusion of Meme content on YouTube. So this study is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have seen Meme content on YouTube (n=325) from July 17 to 22, 2020. In this study, the Usage motivations of Meme were classified into 7 factors: ‘entertainment’, ‘time shifting’, ‘sense stimulation’, ‘fad’, ‘escape’, ‘social relationship’, ‘self-expression’. Behavioral Intention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4 sub-factors: ‘continuance behavior intention on Meme contents’, ‘like’, ‘comment’ and ‘shar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time shifting’, ‘sense stimu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behavior intention. In addition, the ‘self-express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high influence on the ‘like’, ‘comment’ and ‘sharing’. Furthermore, the factors ‘continuance behavior intention on Meme contents’, ‘like’ and ‘comments’ strongly influenced YouTube satisfaction.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meme contents on YouTube is socially and culturally influencing, especially in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usage behavior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to practitioners from a cultural, social and industrial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고품질화 바이오가스 이용 기술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Ⅱ): 도시가스 및 수송용 - 정밀모니터링 결과 중심으로

        문희성(HeeSung Moon),권준화(Junhwa Kwon),박호연(Hoyeon Park),전태완(Taewan Jeon),신선경(Sunkyung Shin),이동진(Dongjin Lee)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물자원화 Vol.27 No.2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의 바이오가스 이용에 대한 적정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 등을 실시하였다. 정부의 중장기 바이오가스화 정책에 따라 폐자원의 자원화 시설 확충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도시가스 및 수송용으로 활용하는 시설은 효율이 아직은 저조하다. 전국 7개소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대상으로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사계절 평균으로 정밀모니터링 결과를 정리하였을 때, 유기성폐자원 별 효율성 분석에 서 유기성분해율은 VS기준 평균 66.3%로 분석되었다. 전처리 전후 바이오가스 성상을 분석한 결과 철염 및 탈황(건식, 습식)을 이용하여 전체 시설의 H2S 평균은 949.7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고품질화 정제설비 전단 및 후단에서 29.0 ppm과 0.3 ppm으로 나타났다. 메탄 함량은 소화조 후단에서 65.6%, 고품질화 정제설비 전단 및 후단에서 63.5 %와 97.5 %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on-site investigation and precision monitoring to prepare proper design and operation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use of bio gas in organic waste resources (fertilizing urine, food waste, food waste, food waste, etc.). According to the government s mid- and long-term policy on bio gasification, the expansion of waste resources is actively being pushed forward. However, facilities that use the biogas produced for urban gas and transportation are still under-efficient. Precision monitoring was carried out for biogasification facilities of organic waste resources in seven locations nationwide. When the results of precision monitoring were summarized with the four-season average, the efficiency analysis of each organic waste resource showed that the organic breakdown rate was 66.3% on average on VS basis. Analysis of biogas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pretreatment revealed that the H 2 S average of the entire facility was measured at 949.7 ppm using iron salts and desulfurization (dry, wet) and that the quality refining facility shearing and rear end was 29.0 ppm and 0.3 ppm. The methane content was found to be reduced by 65.6% at the rear of the fire tank, 63.5% at the back and 97.5% at the rear.

      • 음폐수의 하수슬러지 병합 처리를 위한 물리화학적 분석 및 혐기성소화 평가

        이원배 ( Wonbae Lee ),이풀잎 ( Puleip Lee ),권준화 ( Junhwa Kwon ),이동진 ( Dongjin Lee ),이원석 ( Wonseok Lee ),신선경 ( Sunky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최근까지 음식물류폐기물 및 하수슬러지와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해양투기로 처리하였으나 런던협약 이후,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축산분뇨, 2013년부터는 음폐수의 해양배출이 금지되었고, 이에 따라 유기성폐기물을 전량 육상처리 하도록 하고 있다. 대표적인 고농도 유기성폐기물중 하나인 음식물류폐기물은 대부분 사료화 및 퇴비화 등으로 육상처리 되었으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으로 인해 2019년부터 음식물류폐기물의 습식 사료화가 축소되었다. 이에 습식사료화로 처리되고 있던 음식물류폐기물이 건식사료화·퇴비화·중간가공 등으로 처리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증하는 음폐수의 처리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음폐수의 처리 방법 중, 폐기물 안정화 및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음폐수의 경우, 혐기성 소화 시 낮은 pH 및 염분농도로 인해 혐기성 소화 효율이 저하될 수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수슬러지와 혼합하여 처리하는 병합 혐기성 소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습식사료화가 축소됨에 따른 처리시설별 변동 현황 및 처리량을 파악하였으며, 효율적인 병합 혐기성 소화를 위해 음폐수 및 하수슬러지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각 폐기물별 바이오가스 발생량 및 저해인자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증 하수처리장내 혐기소화 시설에 음폐수를 투입하여 혐기성 소화 효율을 평가하였다. ASF 발병 이후,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시설의 현장 및 유선 조사를 실시한 결과, 습식사료화 시설은 총 121 개소 감소하였다. 효율적인 병합 소화를 위한 각 폐기물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음폐수가 하수슬러지에 비해 약 19% 높았으나, 고농도로 존재 시 혐기성 소화에 저해를 줄 수 있는 NH<sub>4</sub><sup>+</sup>농도가 약 1.9배 높았다. 이에, 하수처리장내 음폐수 투입량을 증가시키면서 혐기성 소화를 실시한 결과, TS 및 VS 제거율은 각각 45.4, 61.1%로 음폐수 투입 전과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물리화학적 분석 및 실증 시설 운전을 통해 평가한 결과, 음폐수 및 하수슬러지의 병합 혐기성소화 시, 음폐수의 고농도 NH<sub>4</sub><sup>+</sup>와 같은 유해인자들로 인해 혐기성 소화 효율이 감소할 수 있지만, 적정 비율의 음폐수 투입을 통해 기존의 하수슬러지 혐기소화 시설에서 안정적인 병합 혐기성 소화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