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에 대한 생태경제성 평가

        신봉균(Bong Kyun Shin),이석모(Suk Mo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6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에머지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에 대한 생태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대상시스템의 생산성이 크고, 환경 부하가 적으며, 지속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평가되었다. 환경하수슬러지 처분에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발생되는 생태 경제적 편익은 하수슬러지 1ton당 약 140만원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하수슬러지를 해양에 처분할 경우 빈영양상태의 해역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다른 처분방법에 비해 석유와 같은 재생 불가능한 자원의 사용을 줄이는데 크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해양처분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해양방류수역에서 해조장 조성적지 선정 연구

        신봉균(Bong-Kyun SHIN),최창근(Chang-Geun CHOI)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5 水産海洋敎育硏究 Vol.27 No.4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ocean outfall area of sewage treatment plant, this study tried to control the water quality of outfall area using the biofilter method through seaweeds, a way of ecological engineering treatment that is applicable in the marine eco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made an attempt the main factors necessary for creating seaweed bed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outfall area of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making the seaweed bed in the ocean outfall area of sewage treatment plant,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Ecklonia cava per all survey points, considered physical and physico-chemical factors in 5~10 meters below sea level, was 50~93% (average 80%), so this seaweed, Ecklonia cava, was suitable for making the seaweed bed.

      • KCI등재

        다변량분석에 의한 한국 서해중부 서천 김양식장의 환경평가

        신봉균(Bong Kyun SHIN),정희석(Hee Suk JUNG),배종일(Jong Il BAE),한영탁(Yeong Tak HAN),김동욱(Dong Uk KIM),신종암(Jong-Ahm SHIN),황성일(Sung Il HWANG)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1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3 No.1

        We evaluated the water quality(13 variables) in a Pyropia cultivation farm in Seocheon, Chungcheongnam-do, Korea,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from September 2019 to March 2020. The pairwise simple correlation matrix among variables was shown. The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explained 79% of the total sample variance.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z₁) showed the freshwater inflow and precipitation, the z₂ related to seasonal influence, the z₃ related to season and/or freshwater, and the z₄ related to transparency.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step for the data-base and future-oriented Pyropia cultivation

      • KCI등재

        부산 이기대 지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신봉균,권천중,이석모,최창근,Shin, Bong-Kyun,Kwon, Chun-Jung,Lee, Suk-Mo,Choi, Chang-Ge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2

        우리나라 동남해 연안 해역에 위치한 이기대 지역에서 2010년 5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계절별로 해조상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녹조류 9종, 갈조류 14종, 홍조류 43을 포함한 총 66종이 동정되었으며, 16종의 해조류는 조사지역에서 연중 출현하였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은 봄 $123.6g{\cdot}m^{-2}$, 여름 $2,061.6g{\cdot}m^{-2}$, 가을 $412.0g{\cdot}m^{-2}$, 겨울 $678.9g{\cdot}m^{-2}$로 나타났다. 종조성의 차이는 주변의 오염원이 존재하지 않는 정점 3과 4에 비하여 주변 하천의 영향을 받는 정점 1로 갈수록 종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주변의 용호천, 대연천, 남부하수처리장 방류수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해조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R/P, C/P, (R+C)/P 값은 각각 3.07, 0.64, 3.71로 나타났으며, 해조류의 외부형태와 내부구조 등에 따라 구분되는 6가지 기능형군에 따른 분류결과는 성긴분기형 39.39 %, 엽상형 30.30 %, 다육질형 13.64 %, 사상형 12.12 %, 각상형 3.03 %, 유절산호말형 1.52 %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기대 지역의 해조류 개체수는 1996년부터 1997년에 96종, 2010년부터 2011년에 66종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변하천과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등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대도시 인근 연안의 해조군락 보호 및 육성을 위하여 연안역에 유입되는 오하수의 처리 및 해조장 복원과 같은 적극적인 해양환경 유지관리방법이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at four sites in the vicinity of the Igidae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from May 2010 to February 2011. A total of 66 species including 9 of Chlorophyta, 14 of Phaeophyta, 43 of Rhodophyta were found during the survey period. Among these species, 16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Seasonal mean biomass in wet weight was 123.6 (spring), 2,061.6 (summer), 412.0 (autumn), 678.9 (winter) $g{\cdot}m^{-2}$. Maximum biomass was recorded in summer($2,061.6g{\cdot}m^{-2}$), and minimum was recorded in spring($123.6g{\cdot}m^{-2}$). Spatial maximum and minimum species number were recorded at station 3 and 4(50 species) and at station 1(47 species). At station 1, 2 directly exposure on Yongho and Daeyeon cheon (stream) run off, and discharge from Nambu sewage treatment plants near coastal area, species diversity was relatively low and dominant species were similar throughout four seasons. The R/P, C/P and (R+C)/P value reflecting flora characteristics were 3.07, 0.64 and 3.71, respectively. The flora investigated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such as coarsely branch form 39.39 %, sheet form 30.30 %, thick leather form 13.64 %, filamentous form 12.12 %, crustose form 3.03% and jointed calcareous form 1.52 % during survey period. The number of marine algae species in Igidea were 96 species at 1996 to 1997 and 66 species at 2010 to 2011, respectively. The change of seaweed species is due to the pollution loaded from sewage treatment plant and stream. We thus recommend that the positive maintenance control method like sewage treatment, for the protection of seaweed bed should be proceeded to near coastal area.

      • KCI등재

        바다숲 조성 해조류의 생물량과 서식지적합지수 비교

        황성일,신봉균,곽용성,최한길,Hwang, Sung Il,Shin, Bong Kyun,Kwak, Yong Sung,Choi, Han Gil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남해안의 바다숲을 구성하는 종을 확인하고 바다숲 조성에 적합한 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해안 12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4개 수심에서 2018년~2019년에 걸쳐서 해조류의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생물량을 근거로 켈프종 3종과 모자반류 3종에 대해서 서식지적합지수를 계산하여 생물량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바다숲을 구성하는 종은 켈프종 4종과 모자반류 12종으로 총 16종이 관찰되었다. 정점별로 해조류의 평균 생물량(계절별, 수심별 포함)은 남해 동부에서 843.73~2,925.85 g wet wt. m<sup>-2</sup>였고 남해 서부에서 343.87~4,580.10 g wet wt. m<sup>-2</sup>였다. 모든 정점에서 생물량 기준으로 볼 때, 켈프종에서는 감태가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곰피였으며, 모자반류에서는 큰열매모자반이 1위였고 괭생이모자반이 2위로 나타났다. 서식지지수는 곰피가 8개 정점에서 0.76~1.00이었으며, 감태는 4개 정점에서 0.58~0.92의 범위를 보임으로써 곰피가 감태에 비해 적합한 종으로 나타났다. 모자반류의 서식지적합지수는 괭생이모자반이 12개 모든 정점에서 0.84~1.00의 값을, 그리고 큰열매모자반이 0.68~0.99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바다숲 조성에 적합한 켈프종과 모자반종은 생물량과 서식지적합지수와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생물량으로는 감태와 큰열매모자반이, 서식지적합지수로 보면, 곰피와 괭생이모자반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바다숲 조성을 위한 적합종의 선택을 위해서는 해조류의 생물량과 서식지적합지수를 모두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서식지적합지수 계산을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easonal and vertical biomass of marine forest seaweeds were examined to select a suitable species at 12 sites of the South Sea in Korea between 2018 and 2019.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was also calculated in terms of biomass for six species (three kelp and three Sargassum species). A total of 16 marine forest-forming species including four kelp and 12 Sargassum species were observed at the 12 sites. The average annual seaweed biomass by season and depth ranged from 843.73-2,925.85 g wet wt. m<sup>-2</sup> at the eastern South Sea and from 343.87-4,580.10 g wet wt. m<sup>-2</sup> at the western South Sea. In the kelp species, the Ecklonia cava biomass was predominant, followed by E. stolonifera. The macroalgal species with the greatest biomass was Sargassum macrocarpum, followed by S. horneri. The HSI values of E. stolonifera were between 0.76-1.0 at eight sites and those of E. cava were 0.58-0.92 at four sites, indicating that E. stolonifera was more suitable than E. cava. In the HSI values of the Sargassum species, S. horneri ranged between 0.84-1.0 at all 12 sites and the S. macrocarpum values were between 0.68-0.99. The results indicate that E. cava and S. macrocarpum were the most suitable for the marine forest construction in terms of the seaweed biomass, and E. stolonifera and S. horneri in terms of the HSI values. Thus, we suggest that seaweed biomass and HSI values should be considered when choosing suitable forest-forming species.

      • KCI등재

        다변량분석에 의한 한국 서남해안 신안 김양식장의 환경해석

        정희석(Hee-Suk JUNG),신봉균(Bong-Kyun SHIN),배종일(Jong-Il BAE),한영탁(Yeong-Tak HAN),전병현(Byeong-Hyeon JEON),김유진(Yu-Jin KIM),신종암(Jong-Ahm SHIN),황성일(Sung-Il HWANG)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1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3 No.2

        For the data-based Pyropia cultivation further, we analysed the environmental data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of a Pyropia aquaculture farm off Imja island in Shinan, Jeollanam-do, Korea, from September 2019 to March 2020 for the first time. The pairwise simple correlation matrix among 13 seawater environmental variables was shown.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explained 76% of the total sample variance.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z1) showed the freshwater inflow and/or precipitation, the z2 related to nutrients, and the z3 eutroph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