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종자의 물리적 특성 연구

        신동관 ( D. G. Shin ),김태석 ( T. S. Kim ),김훈 ( H. Kim ),이승기 ( S. K. Lee ),김웅 ( W. Kim ),김락우 ( R. W. Kim ),한재웅 ( J. W.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 Italian Ryegrass)는 국내에서 조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재배면적의 감소와 수입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IRG는 전국에서 수확이 가능하며 기후변화와 내습성이 우수하여 쌀과 이모작 재배가 가능하여 재배효율을 낼 수 있는 조사료이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하여 IRG수확시기는 벼 이앙시기와 겹쳐 조기에 수확되고 있으며 고수분종자일떄 적절한 공정이 시행되지 못할 경우 품질의 저하나 종자로써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IRG종자 건조시스템에 대한 연구자료는 전무하며 기존 곡물건조기를 사용할 경우 건조속도 저하와 주요인자의 부재로 인한 기계화설계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확 후 공정설계의 주요인자를 구명하고 함수율에 따른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료의 함수율은 7수준으로 건조하였으며, 초기 시료인 함수율 34.0%, w.b.의 경우 유동이 없어 물리적 특성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기하학적 특성의 측정값은 길이 평균 5.25 mm 및 두께 평균 1.20 mm으로 나타났고 표면적 평균 4.80 mm2 및 둘레 11.34 mm로 나타났으며, 원형비 평균 0.47 및 각형비 평균 0.76으로 각형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함수율이 높을수록 면적과 둘레는 증가하였으나, 장축길이, 단축길이, 원형비, 각형비는 함수율 변화에는 무관하였다. 산물밀도의 측정값은 평균 산물밀도는 180.78 kg/m3이며,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립중은 평균은 2.57 g으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낟알의 무게는 평균 약 0.002 ~ 0.003 g로 나타났으며 천립중은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천립중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물밀도와 천립중은 함수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인자이며 이를 예측하기 위하여 예측모델을 개발하였고 1차원으로 표현하였다. 산물밀도의 예측모델의 경우 결정계수(R2)는 0.90이고 상수는 50.7723 및 170.1052로 나타났으며, 천립중의 예측모델의 경우 결정계수(R2)는 0.99이며 상수는 2.1946 및 1.5683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능동 건강/생활지원 USN 기반 서비스 로봇 시스템의 실시간 싱크 노드 구조

        신동관(Dong-Gwan Shin),이수영(Soo-Yeong Yi),최병욱(Byoung-Wook Choi)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4 No.7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architecture for USN with a service robot to provide more active assisted living services for elderly persons by monitoring their mental and physical well-being with USN environments at home, hospital, or silver town. Sensors embedded in USN are used to detect preventive measures for chronic disease. Logged data are transferred to main controller of a service robot via wireless channel in which the analysis of data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handling emergency situations, it needs real-time processing on gathering variety sensor data, routing algorithms for sensor nodes to a moving sink node and processing of logged data. This paper realized multi-hop sensor network to detect user movements with biometric data transmission and performed algorithms on Xenomai, a real-time embedded Linux, To leverage active sensing, a mobile robot is used of which task was implemented with a priority to process urgent data came from the sink-node. This software architecture is anticipated to integrate sensing, communication and computing with real-time manner. In order to verify the usefulness of a proposed system, the performance of data transferring and processing on a real-time OS with non real-time OS is also evaluated.

      • 국산밀의 방습평형함수율 모델의 비교 검증

        신동관 ( D. G. Shin ),김태석 ( T. S. Kim ),김훈 ( H. Kim ),이승기 ( S. K. Lee ),김웅 ( W. Kim ),김락우 ( R. W. Kim ),한재웅 ( J. W.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일반적으로 밀의 건감율은 벼에 비해 약간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산 밀의 건조저장시설 설계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유용할만한 건조실험 결과보고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으로서 주요 원인은 밀은 송풍량, 순환속도, 건조기의 제원, 건조공기 및 외기 조건, 물리적특성 등 건조인자에 따라 건조특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이러한 건조인자를 모두 고려하여 실험으로 건조특성을 구명하기 어렵다. 건조인자 중 평형함수율은 일정한 조건의 온도 및 상대습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내부의 수증기압과 주위 공기의 수증기 분압이 평형을 이루게 되어 일정한 함수율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를 평형함수율(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이라 하며 건조과정 중 수분을 방출하면서 평형 유지할 경우를 방습평형함수율이라 한다. 평형함수율 측정방법에는 온·습도 조성 방법에 따라 동적방법과 정적방법이 있으며 동적 측정방법은 기계적으로 유동시킨 공기 중에 곡물을 노출시켜 평형함수율에 이르게 하여 측정하고 정적 측정방법은 정지된 공기 중에 곡물을 노출시켜 평형상태에 이르게 하는 방법이다. 동적 측정방법은 측정시간이 짧으나 정온·정습의 공기 발생과정이 복잡하고 정적 측정방법은 측정시간이 긴 단점이 있으나 장치가 비교적 간단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산밀의 건조에 필요한 방습평형함수율 모델을 정적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기존 사용되고 있는 모델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화염용액은 일정 온도 유지가 가능한 항온기(한국종합기기제작소, HK-BI025, Korea)속에 증류수와 염류를 혼합하여 완전히 포화시켰다. 항온기의 온도는 열전대(T-TYPE, OMEGA, USA)를 설치하고 자료 수집장치(Saveris 2, TESTO, Germany)로 측정하였다. 건조온도 30, 40 및 50℃의 3수준의 온도별 8종류의 염류를 포화시켜 데시케이터 내부의 상대습도(11.0~83.6%)를 유지하여 측정하였다. 상대습도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데시케이터내의 공간에 시료 10g을 담은 시료 접시를 배치하고, 실험 시작 후 2~3일 간격으로 ±0.001g의 전자저울(R420P, Sartorius, Germany)을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무게 변화가 2주간 연속해서 0.002g이하의 변화를 보일 때를 평형함수율에 도달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시료의 함수율은 10g-109℃-19h(ASABE standard, 2016) 건조법으로 측정하였다. 평형함수율 측정 후 이용하여 ASABE standard(2016) 밀의 평형함수율인 Modified Chung-Pfost equation과 비교검증한 결과 R2는 0.848 및 RMSE는 1.59 %,d.b.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국산밀의 건조 인자 사용할 경우 국산밀 평형함수율 모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건조시간에 따른 발아율 변화 연구

        신동관 ( Dong Gwan Shin ),김훈 ( Hoon Kim ),이승기 ( Seung Ki Lee ),김웅 ( Woong Kim ),김락우 ( Rack Woo Kim ),김성록 ( Sung Rok Kim ),한재웅 ( Jae Woong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현대인의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밀 제품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는 밀 산업 육성법(농림축산식품부, 2020)을 통하여 밀 자급률 향상과 이모작을 통한 생산량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밀 산업 육성법은 자급률 향상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적기 수확의 어려움으로 인한 수확 후 관리 체계의 미흡으로 인한 품질의 저하가 발생되고 있다. 해외 밀에 대한 품질 연구는 다수가 있으나 우리나라의 밀의 건조·저장과는 상이하여 국산 밀의 건조·저장 중 품질에 관한 연구는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곡물 발아율은 건조온도와 수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밀의 수확 후 공정은 밀 전용 공정이 아닌 대부분 미곡 처리 공정과 동시에 사용하고 있어 미곡 설정에 열풍건조로 인하여 발아율이 저하되고 있다. 또한 건조공정은 모든 공정을 비교하였을 때 에너지 집약 공정으로써 건조시간을 줄이는 것은 가공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시간에 따른 발아율을 확인하여 최적의 건조시간과 건조 방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산 밀은 2022년 전라남도에서 수확한 금강 품종으로 건조온도 4수준(40, 50, 60, 70°C) 및 상대습도 40%로 건조를 실시하였으며, 건조 시작 후 10분 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발아율을 확인하였고 목표함수율 12%,w.b.미만으로 건조를 수행하였다. 발아율 확인은 건조하지 않은 초기 시료를 포함하여 각 수준별로 정립 100립을 선별하여 정제수로 세척하였으며, 발아배지를 깔고 밀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후 수분을 가하였다. 항온항습기의 온도는 20°C(±0.5)를 위치하였으며, 입고 후 10일 이내에 발아한 밀의 수를 육안으로 선별하여 발아율을 계산한 결과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과의 상관관계 결과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시간이 길수록 발아율이 저하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이미지 스케일에 따른 트랜드 중심의 실내디자인 표현어휘 연구

        신동관(Shin, Dong-Kwan),한영호(Han, Young-H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Generally, Interior design understood as shapes, lines, spaces, tones, quality, and principal. And people research these with a study of formative approach. The six elements of above categories are basis of expansion for the various designs. In this study, the represented design language is extracted by the basic 6 stages and re-divided into classes. This study presented by the Kobayashi-scale image of the current trends in the assignment to examine the cultural, functional, sensory vocabulary, three elements were classified by the assignment about 2008~2009 international fair by trend and design direction for the image. If we look into categorized format of the design, it reflects mixed culture with emotional approach and shows direction of design constantly. Especially, compared to the year 2008, the design of year 2009 has tendency as an emotional translator regarding the verbal expression. In other words, it becomes more concrete to express the design of emotions for human beings. In addition, design shows detail of its flow with outcomes of past leading trend which was re-created shape. On the other hand, undeveloped cultures such as folk, historical, and unique cultures attract design leaders as it is. This research would make good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s and customers regarding the newly started international trend of design. Hereby l research with the method to reclassify the image of vocabulary from the image scale extract. It remains as a task to resolve ambiguous, complex and neutral expression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definite analysis method to the public.

      • 국산 밀 건조 시뮬레이션 검증

        신동관 ( D. G. Shin ),김태석 ( T. S. Kim ),김훈 ( H. Kim ),이승기 ( S. K. Lee ),김웅 ( W. Kim ),김락우 ( R. W. Kim ),한재웅 ( J. W.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국내 밀 건조는 일반적인 건조방법인 순환식 횡류형 곡물건조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건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유용할 만한 건조실험 결과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밀의 순환식 횡류형 건조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하여 건조성능인자가 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건조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밀 건조실험을 통해 개발된 시뮬레이션을 검증하고,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온도 변화, 송풍량 변화 및 곡물 유하속도 변화를 통해 건조 성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밀은 2022년 6월 전남에서 수확한 금강 품종으로 건조기의 외형 및 건조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건조부의 크기는 1.35×1.35×0.11(H×L×W)이고, 곡물 유하속도는 1,340kg/h로 측정되었고, 송풍량은 54CMM으로 측정하여 입력값으로 사용하였다. 목표 열풍온도 50및 55℃ 2수준으로 하였으며, 건조시작 후 50℃는 90분 간격, 55℃는 60분 간격으로 버킷엘리베이터 하단에서 일정량의 시료를 채취하여 함수율 및 품질을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의 경시적 변화는 단립수분계(PQ-510 ,KETT, JAPAN)을 이용하여 100립씩 3회 반복 측정하였다. 개발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조온도 50, 55℃, 곡물 유하속도는 1,340kg/h 및 송풍량은 54CMM을 건조조건으로 이용할 경우 건조 소요시간은 각 540분 및 360분이 소요되었으며 건조속도는 0.74%/h로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밀의 건조속도는 벼에 비해 약간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 동일하게 건조속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품질 측정을 위한 발아율 측정은 초기 발아율은 98.0%였으며, 건조온도 49.6℃에서는 발아 감소율은 2.0%로 최종 발아율을 98.0% 나타났고, 건조온도 56.1℃의 발아 감소율은 5.0%로 최종 발아율은 95.0%로 국산 밀 건조 시뮬레이션과 비교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