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 모델 연구 ╶ 레고, 빌드, 발뮤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다은(Da Eun Shin),김형준(Hyeong Jun Kim),이진희(Jin Hee Lee),정지연(Je Yon Ju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20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3 No.2

        기업의 디자인 경영 요소 중에서는 경영방침, 조직 구조, 소비자, 시장 상황, 그리고 프로세스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기업을 창의적 혁신으로 이끌고 있으며 기업의 성공에 있어서 디자인 경영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경영에 성공한 기업인 레고, 빌드, 발뮤다의 사례 분석을 통해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의 필수 요소들을 추출하여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각 기업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디자인경영 방식에도 차이가 나타나지만, 서로 다른 기업의 디자인경영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한 공통점과 차이점을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필수 요소로 구성된 성공적인 디자인경영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향후 디자인 프로젝트 및 기업의성공적인 경영을 위한 기본적인 지침이 되고자 한다. Among the elements of design management are management policies, organizational structures, consumers, market conditions, and processes. These factors drive companies to creative innovation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continues to grow in their suc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model of design management process through case analysis of Lego, Build, and Balmuda, extracting essential elements of the design management process. Although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vary, certain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processes of different companies. Based on this, a model of successful design management process consisting of essential elements for the success of design management and provide basic guidance to new design projects and businesses.

      • KCI등재

        채소 분말이 첨가된 약과의 품질 특성

        김재열(Jae Youl Kim),신다은(Da Eun Shin),장경희(Kyeung Hee Jang),강우원(Woo Won Kang) 한국조리학회 2011 한국조리학회지 Vol.1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changes of Yakgwa in terms of the amount of oil assumption, acid value, TBA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texture with different contents of vegetable power which provides vitamins, minerals and fiber, at 0, 3, 6, 9 and 12% levels. As for the acid value, the control sample showed the lowest figure of 0.33 while 9% and 12% added samples showed the highest of 1.46. As for TBA, 3% added sample had the lowest of 0.140, and 12% added sample had the highest of 0.328. As the amount of vegetable powder increased, texture, cohesivenes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hile springiness de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of different contents of vegetable powder samples at 0%~9% showed little difference, but taste significantly decreased at 12% added sample. The 3% added sample got the highest scores in the overall evaluation.

      • 빈곤한 주거환경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메커니즘 -부부 및 가족갈등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매개적 작용을 중심으로-

        김광혁 ( Kwang Hyuk Kim ),신다은 ( Da Eun Shin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3 社會科學論叢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한 주거환경이 성적에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 패널 1차년도(2006년) 자료가 활용되었고, 분석방법은 SPSS 18.0를 활용한 빈도분석과 AMOS 18.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빈곤한 주거환경 중 시설기준과 면적기준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효과의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빈곤한 주거환경에 노출된 아동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서 주거에 대한 정책·제도적인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rocess that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influences on academic attainment of child. Data come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Analysis method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 show that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influences on academic attainment of child. Finding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ocietal support for families of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contributes to improving academic attainment of child.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 2007년과 2017년 비교분석과 논의

        김진화(Kim, Jin Hwa),신다은(Shin, Da E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4

        한국사회에서 평생교육사의 직무는 평생교육법 전부 개정이 이루어졌던 2007년 직무분석을 통해 9개의 책무 및 72개의 과업이 설정되었고, 중요도가 확인되었다. 그 이후에 10년이 지난 최근 까지 평생교육사가 담당하는 주요 직무의 중요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에 대한 10년의 인식변화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인식변화는 ‘교수학습’과 ‘상담·컨설팅’, ‘평가·보고’의 3개 책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사 직무 중에서 2007년과 2017년의 전반적인 중요도가 높은 책무는 ‘조사·분석’, ‘기획·계 획’, ‘네트워킹’, ‘프로그램 개발’, 낮은 책무는 ‘교수·학습’, ‘상담·컨설팅’, ‘평가·보고’로 나타났으며, 2007년 대비, 2017년에 중요도가 부각된 것은 ‘운영·지원’, 중요도가 낮아진 것은 ‘변화촉진’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교육사 직무중요도에 대한 의미 있는 구조패턴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직무중요도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평생교육사의 실질적인 직무 수행에 반영된 결과이므로, 평생교육사의 양성체제와 연수 및 승급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평생교육현장에서 평생교육사가 수행하는 주요 직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지식과 정보의 재구조화와 확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Lifelong educator’s job model in Korean society included nine duties and 72 tasks and their importance was proved through job analysis in 2007.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s duties and tasks included in the job model have steadily changed between 2016 to 2017.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ir duties and tasks over 10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macro-level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s’ dut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ree responsibilities. Second, out of their nine duties, four duties such as investigation and analysis, designing and planning, networking, and developing programs indicate high continuing perception of importance in 2007 and 2017. Three dutie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counseling consulting and evaluation reporting indicate low perception of importance. The duty of supporting operation indicate higher in 2017 than in 2007, and the duty of changing facilitation indicate lower in 2017. Third, meaningful changes in structural pattern of the importance of their dutie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nge in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ors’s duties were reflected in their actual performance of duties, such change should be reflected in the system to cultivate and train them and the process to promote them.

      • KCI등재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의 분류와 지식구조의 탐색

        김진화(Kim Jin Hwa),신다은(Shin Da E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의 분석을 통해 분류체제의 형성과 객관적인 지식구조의 이해를 위해서 탐색-분류-유형화-분류체제의 원리를 적용하여 다음의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문적 위치와 비중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류체제의 형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주제를 거시적으로 분류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객관적인 지식구조를 명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연구영역 및 주제에 대한 동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교육학의 하위 학문영역으로서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야의 관련 연구의 현황과 실태는 124편 논문과 5.08% 비율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주제는 프로그램전문가, 프로그램개발과정, 프로그램분류, 프로그램 내용 및 성격, 프로그램 원리 및 이론 등 5개 영역의 연구동향이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상세한 분류체제의 8개 영역에 대한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과 실태가 시기별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야의 학문적 위치와 비중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로서 가치가 있고,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성장을 위한 이론 및 분류체제, 지식구조를 형성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ademical knowledge structure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classification and taxonomy of research trend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exploration-classification-typology-taxonomy and abductive reasoning approac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the academic locus and focu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assify knowledge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discuss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s a sub academic area of the lifelong learning, was revealed to have 124 dissertations at 5.08%. Second, for the research subjec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ive areas of research trends such as program expert, development process, classificatio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 and theory were identified. Third, the trends and status of eight research subjects on detailed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ere investigated by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had significance as empirical grounds that show academic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lso, it has value in that the study can pave the foundation for creating theory and taxonomy for the academic identity and growth of the lifelong learning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