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se of Rupture of a Pregnant Bicornuate Uterus at Term

        신경숙(KS Shin),장애숙(AS Chang),(Marsden DE),(Martin B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2

        23세 초산부의 수술중 발견된 쌍각자궁 파열의 예이다. 자궁은 Strassman 방법에 의해 복구되었으나 수술후의 자궁조영술 결과 원래의 쌍각자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분만시의 수술은 가능한한 간단하게 마치며 임신이 아닌 상태에서 적절한 수술을 요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true incidence of congenital duplication abnormalities of the uterus is not certain because many probably cause no problem and one therefore not detected, but among obstetric patients is estimated to be between 0.5% and 2% of deliveries. Among the abnormalities the most common is uterus bicornis unicollis which was seen in almost half the cases reported by Barbero. Fertility is probably not impaired but the incidence of abortion is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with the lesser degree of uterine abnormality. apart from abortion the other complications possible incidence incoordinate uterine action, abnormal presentation, premature labour, and uterine rupture. Rupture ofa rudimentary horn is a well recognised event, but rupture of a uterus bicornis unicollis is far less common. The authors were only able to find reference to one such case, described over 75 years ago.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rupture of a uterus becornis unicollis managed at Il Sin Hospital Pusan. In particualr the problem of the method of repair is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윤동주의 「간(肝)」과 프로메테우스: 비교를 통한 읽기

        신경숙 ( Kyung Sook Shin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7

        이 논문은 윤동주의 「간」을 비교를 통해 읽는 시도다. 「간」에서 시인 윤동주의 고뇌가시에서 인유(引喩)하는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의 고뇌와 중첩되면서, 당대 지식인들이 경험한 첨예한 갈등들, 시대적 조건과 그 조건을 살아가는 개인의 고뇌를 재현함을 밝힌다. 이 재현은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특수하고, 시인의 고통을 공시적이면서 통시적인 방식으로 좌표화하는 시인 고유의 시학을 드러낸다. 「간」에서 시인은 동양의 설화와 서양의 신화를 조우시켜 대중적이고 전통적인 요소를 당시 근대의 기호이며 제도라할 수 있는 서양문학 속의 인물과 겹쳐놓고, 이를 통해서 전통과 근대, 동양과 서양,저항의 언어와 자기희생의 언어를 교차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프로메테우스의 형상화에 초점을 맞춘다. 인간을 위해 불을 훔치고 제우스의 몰락을 예견하기때문에 제우스에 의해 처벌받는 혁명적 인물, 프로메테우스가 아이스퀼로스(Aeschylus), 앙드레 지드 (Andre Gide), 퍼시 B. 셸리 (Percy B. Shelley)같은 작가들을 통해 윤동주에게 수용되면서 재형상화 되고 있음을 보이고, 특히 아이스퀼로스의 비극, 『프로메테우스의 결박』(Prometheus Bound)과, 영국 낭만 시인 셸리의 프로메테우스 다시 쓰기라 할 수 있는 서재극, 『프로메테우스의 해방』(Prometheus Unbound,1819)에서의 프로메테우스가 식민지 지식인들에게 저항의 정신으로 수용되었음을 논의한다. 윤동주의 시에서 독수리에게 자신의 간을 내주는 프로메테우스는, 한 편으로는 매우 급진적인 연민의 정서를 품은 셸리 극의 주인공 프로메테우스와 닮았다. 다른한 편, 마태오 복음의 구절을 연상시키면서 목에 맷돌을 달고 바다에 빠지는 프로메테우스는 “불도적한 죄”를 저지른 ‘죄인’으로서, 인간이 어둠 속 미몽에 머무르지 않도록 명민하게 깨어있는 의식의 ‘불’을 갖게 해 준 장본인, 즉 유혹자인 동시에 속죄양인인물로 변모한다. Yun Dong-Ju’s 1941 poem “The Liver” yokes together the Korean oral tale, “Rabbit Visits the Dragon Palace” with the Greek myth of Prometheus. In this essay, I examine some important possible sources for the poem, including Aeschylus’s Prometheus Bound, Kim O-Seong’s series of essays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in 1939 as well as P. B. Shelley’s Prometheus Unbound (1819), where Prometheus is more enduring, radically more forgiving and more self-sacrificing than in any other account of the Promethean myth. As a symbol of the spirit for human liberation, enduring intellect, and transgressive imagination, the Romantic Prometheus, I argue, was met with welcome in colonial Korea. While Kim’s column represents the anxiety of the intellectual during the period as something abstract and universal.as a conflict of the rational intellect in an oppressive historical moment, Yun’s poem focuses on the speaker’s internal conflict, constructing a figure of the poet as a Prometheus drowning, with a grinding mill dangling around his neck. I first sketch the transformations of the Prometheus figure undertaken by Aeschylus and Shelley, before discuss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Prometheus in colonial Korea. I then attribute the figuration of Prometheus in Yun’s poem to Shelley’s Prometheus Unbound by discussing the significant similarities in characterization. In conclusion, I show that Prometheus suffers a metamorphosis in the poem, being described as a seducer and a self-sacrificing redeemer of humankind, whose fire gave humanity (self-) knowledge, self-consciousness, and prophetic vision, thus bringing on himself and the poet a “sad” calling.

      • KCI등재

        간호대학 여학생의 골 건강 인지, 골 건강 지식 및 골질량 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신경숙(Kyoung-Sook Shin),김혜영(Hye-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 여학생의 골 건강에 대한 인지 및 지식과 골질량 증진행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와 D시 소재의 3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 여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16일부터 4월 4일까지 일반적 건강관련 특성, 골 건강 인지, 골 건강 지식, 골질량 증진행위 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 여학생의 건강 인지 수준은 1.79점이었으며, 골 건강 지식수준 8.86점, 골질량 증진행위 수준은 2.78점으로 나타났다. 골질량 증진행위는 골 건강 지식(r=-0.21, p =.005)과 초경연령(r=-0.21, p =.004), 하루 15분 햇빛노출(r=-0.44, p <.000)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골질량 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 3가지를 단계별 회귀분석으로 투입하였을 때 모델 1의 골 건강 지식(β=0.21, p =.005)과 모델 2의 초경연령(β=-0.20, p =.005)을 투입했을 때 보다 모델 3의 하루 15분 햇빛노출(β=-0.38, p <.000)이 투입되었을 때 골질량 증진행위에 대한 설명력이 증가하여 20.6%의 설명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골질량 생성에 비타민 D는 음식과 햇빛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므로 골량이 증가하는 여대생의 햇빛 노출은 골질량 증진행위에 중요한 요인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bone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and the bone mass-improving behaviors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72 nursing students attending nursing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6 to April 4, 2020, by using bone health awareness, bone health knowledge, and bone mass-promoting behavior assessment tools. Descriptive statistics are presented, and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tudents" bone health awareness was 1.79, bone health knowledge was 8.86, and bone mass-promoting behavior level was 2.78.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bone mass-promoting behavior level and age of menarche (r = 0.21, p = .004) and sun exposure (r = 0.44, p < .000). Also, bone mass-promoting behavior level and knowledge of bone heal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r = 0.21, p = .005).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knowledge of bone health (β = 0.21, p = .005), age of menarche (β = 0.20, p = .005), and sun exposure (β = 0.38, p < .000)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one mass-promoting behaviors and their variance explanation power was 20.6%.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 to improve knowledge of bone health will help to improve bone health and increase bone mass-promoting behaviors among young women.

      • KCI등재

        일제 치하 조선노래를 지켜온 창가교사, 이상준(李尙俊)―이상준 잡가집을 중심으로

        신경숙 ( Shin Kyung-soo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41 No.-

        20세기 초 다양한 형태의 잡가집이 대량으로 출간되었지만, 노래 곡목들은 대부분 중복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대부분의 잡가집들은 `엇비슷한 것`으로 속단 내려진 채였다. 이 글은 이러한 지금까지의 인식과는 달리 이 시기 잡가집들이 개개 개별성과 의의로 출간되었음을 밝히고자 하는 목표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당대 가장 많은 잡가집을 발간한 서울의 창가교사 이상준의 6권 잡가집을 하나의 사례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이상준 잡가집 출간 방향은 두 가지로 요약되어 나타났다. 하나는 재래 속곡들을 서양식 오선보로 채록하고자 한 것으로, 『조선속곡집상권』(1913) 『신찬속곡집』(1921, 1923, 1924) 『조선속곡집』(1929)이 이에 해당한다. 다른 하나는 재래 속곡사설 모음집 출간으로, 악보집에서는 지면상 제한으로 담아낼 수 없었던 노랫말들을 별도로 모아 만든 『조선잡가집』(1916) 『조선신구잡가』(1921) 『조선신구잡가』(1929)가 이들이다. 또한 이러한 두 계열의 특성 내부에서 다시 개개 잡가집들은 작품목록이 상당히 겹쳐짐에도 불구하고 당대 잡가집들과는 다른 편집내용을 갖추었으며, 이상준 잡가집 내부에서도 각각 서로 다른 성격의 잡가집들이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이들 개개 서로 다른 속곡집을 출간한 그의 조선악(朝鮮樂) 경력이 창가 작곡과 작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했다. 주로 작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대체적인 경향 분석에서 이상준 창가가사의 창작 원천은 바로 이들 속곡들에 뿌리를 두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a Korean Chang-ga teacher who had defend Korean traditional music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ose days western music spreaded into Korean society by way of Japan. Japanese administration forced to teach western music in schools in the name of "Chang-ga". Compared to Chang-ga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were disregarded even though most Koreans loved to sing them. Lee Sang-Joon, a Chang-ga teacher at that tim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music. He collected, arranged and published them. He made two kinds of publication of Korean songs. One was the publication of the western staff notaion of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They were < Joseon popular songs >, < New edition of popular songs >, < Napal Gagokjip >. The second one was collection of the words of the Korean songs. In this case he just collected many songs without staff notation and published < Joseon Japgajip >, < Joseon new and old japga >. Lee Sang-Joon was the only person who draw staff not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ngs. Many people appreciated his achievements. And they were the only staff notation Koreans could use when they wanted to sing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조 外宴의 성악정재, 「歌者」

        신경숙(Shin Kyung-Sook)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학논총 Vol.23 No.-

        19세기 궁중 연향의 외연에는 성악정재 「歌者」가 있었다. 「가자」는 남성가객에 의해, 장시간동안, 여러 곡의 우리말 가요가, 참여자들이 음식을 나누는 동안 공연되었다. 이러한 정재 「가자」가 19세기 이전에도 있었는가를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논의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l) 조선 전기 의례서인 『국조오례의』의 외연들에서 정재 「가자」의 공연이 확인되었다. 2) 조선후기 의례서인 『국조속오례의』의 외연들에서 정재 「가자」의 공연이 확인되었다. 3) 어느 경우나 공연 절차, 공연방식이 동일했다. 4) 이로써 정재 「가자」는 조선조 내내 공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There are the 〈Kaja(歌者)〉 at Royal Banquet(Woiyon, 외연) in the 19th Chosun Dynasty. The 〈Kaja(歌者)〉 is a performance at Royal Banquet by Singing Visitors in Chosun Dynasty. The 〈Kaja〉 was performed by the singing male visitors for long times. They sang some Korean Alphbet Songs while congratulators were enjoying the food and drink. The purpose of this wrritten essay is to search the existense of 〈Kaja〉 before the 19th century. I show the results as follows. 1. There are the records of the performed 〈Kaja〉 in the Kukjo-Olyeei(國朝五禮儀). Kukjo-Olyeei(國朝五禮儀) is a book of the royal various ceremonial rules in Ealy Chosun Dynasty. 2. There are the records of the performed 〈Kaja〉 in the Kukjo-SokOlyeei(國朝續五禮儀). Kukjo-SokOlyeei(國朝五禮儀) is a book of the royal various ceremonial rules in Late Chosun Dynasty. 3. All of the 〈Kaja〉 is the same in the order and form. 4. In conculusion the 〈Kaja〉 was perfomed always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가곡원류』 여창사설 확대의 의미

        신경숙(Shin Kyung Sook) 국립국악원 2002 국악원논문집 Vol.14 No.-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e of continuous singing in kagok (kagok yeonchang) between man and wom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ditorial intention revealed in the epilogue of the Kagokweollyu. Pak Hyogwan, who wrote the epilogue, was deeply concerned that the texts of the kagok were fixed among modes, songs, and singers. Therefore, he attempts an overlap of texts among the modes, songs, and singers in Kagokweollyu. The reason the texts of Kagokweollyu overlap is due to Pak s idea of singing kagok. In particular, the overlap of texts between the man s songs and woman s songs is distinctive. However, this was not Pak s unique idea. Other kinds of singing practice such as the man and woman singing shown in Kyobanggayo, the musical pieces of the songbook Seungpyeonggok by An Minyeong, and the kagok pedagogy by Hamdongjeongweol all show that the texts overlap between the man s and the woman s songs. The strict division between the texts of man s and woman s songs in the songbook should be attributed to the editorial rul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resource as a songbook literature. In practice, the texts of the man s and woman s songs could overlap in the yeonchang of kagok. If we want to learn something from Kagokweollyu, it should be simply more than learning a song. We should learn the experimental spirit of the editor that is shown in the epilogue and the editorial method of Kagokweollyu. In other words, we should learn the flexibility of the yeonchang of kagok. The yeonchang was performed according to different performance situations and purposes, for which the man and woman singers sang various songs with diverse texts, and thus, the texts were not fixed between man s and woman s songs.

      • KCI등재
      • KCI등재

        中大葉ㆍ慢大葉과 臺歌

        신경숙(Shin Kyung-sook)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본고는 중대엽ㆍ만대엽의 臺歌를 찾은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중대엽ㆍ만대엽 대가를 보여주는 문헌으로는 『지음』과 『현학금보』가 있다. 『지음』에 의하면, 초중대엽과 초수대엽, 이중대엽과 이수대엽, 삼중대엽과 삼수대엽이 짝을 이루는 대가이다. 『현학금보』에서는 『지음』에서 알 수 없는 약조 관계와 작품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현학금보』에서 생략된 악곡과 대기는 『지음』을 참고로 재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만대엽ㆍ중대엽의 ‘원곡과 대가는 다음과 같은 악곡들이 서로 짝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우조 초중대엽-우조 초수대엽’ ‘우조 이중대엽-우조 이수대엽’ ‘우조 삼중대엽-우조 삼수대엽’ ‘계면조 초중대엽-계면조 초수대엽’ ‘계면조 이중대엽-계면조 이수대엽’ ‘계면조 삼중대엽-계면조 삼수대엽’ ‘북전-계면 중거’ ‘평조 만대엽-우평조 이수대엽ㆍ계평조 이수대엽’. 이들 대가들은 19세기 기록이지만, 18세기부터 불렸던 연창방식임도 밝혀졌다. In this thesis, I aimed to find out Daega of the Joongdaeyeop and Mandaeyeop. There are two books, Jieum and Hyunhakgeumbo, which was written about it. According to Jieum, the first Joongdaeyeop and the first Sakdaeyeop, the second Joongdaeyeop and the second Sekdaeyeop, the third Joongdaeveop and the third Sekdaeyeop make pairs. In Hyunhakgeumbo, I found musical tones and works which was not written in Jieum. As a result, I found out 'the original song and Daega' of Joongdaeveop and Mandaeyeop. This is as follows. 'Woojo the first Joongdaeyeop-Woojo the first Sakdaeyeop' 'Woojo the second Joongdaeyeop-Woojo the second Sekdaeyeop' 'Woojo the third Joongdaeyeop-Woojo the third Sakdaeyeop' 'Gyemyeonjo the first Joongdaeveop-Gyemyeonjo the first Sakdaeyeop' "Gyemyeonjo the second Joongdaeyeop-Gyemyeonjo the second Sakdaeyeop' 'Gyemyeonjo the third Joongdaeyeop-Gyemyeonjo the third Sakdaeyeop' 'Hoojunghwa-Gyemyeon Joonggeo' 'Pyoungjo Msndaeyeop-Woopyoungjo the second Sakdaeyeop . Gyeoyoungjo the second Sakdaeyeop'. I found that this is not only a record of the 19th century but also a singing form since the 18th centu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