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본인이 그린 通信使

        宋憙暻(Song Hee-Kye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7 No.-

        통신사는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총 12차례에 걸쳐 일본에 파견된 문화 사절단이다. 특히 17세기 중반부터 통신사는 외교 사절로서의 역할보다는 문화 사절로서의 의미가 한층 강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1763년 8월부터 그 이듬해인 1764년 7월까지 진행된 癸未使行은 제10대 將軍인 德川家治 (1737~1786)의 關白 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渡日한 제11차 통신사 사행이다. 이는 조선, 일본 양국을 통틀어 동아시아의 정치 외교의 정세가 매우 안정적인 시기에 수행되었으며, 지속된 사행 경험으로 정례화가 완성된 사행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癸未使行 때 제작된 수많은 문헌과 유적 중에서 조선통신사 수행사원의 인물상이 그려진 자료에 주목하였다. 특히 癸未使行에서는 여느 사행과는 달리 제술관, 서기 등 諸學士의 사적인 필담 장면이 적지않게 시각화되었다. 이는 〈조선통신사행렬도〉를 비롯한 기록화가 三使臣, 上上官 등 외교 행정 실무진의 공식적인 행사장면을 도해한 것과 대비되는 현상이다. 文士로 구성된 ‘문화사절단’은 ‘詩文贈答圖’와 ‘단독상’으로 시각화되었다. 시문증답도는 양국 문인의 모임 현장을 도해한 아회도였다. 필담집에 삽도형식으로 수록된 ‘단독상’은 일본인이 만남을 간절히 원했던 조선 지식인의 표상이었다. 『東?餘談』과 『傾盖集』은 江戶에서 사행단이 ‘문객’으로서 수행한 행적을 알려주는 필담집이다. 두 문집은 江戶라는 발행처, 인물상을 삽도로 처리한 방식, 三使臣이 아닌 諸學士의 형상화 등 유사점이 많다. 『東?餘談』의 諸學士는 일본문화를 차용하고 일본인으로 번안된 조선인이었다면, 『傾盖集』의 四文士는 학식과 덕이 높을 뿐 아니라 풍류와 공안에 잠긴 문인이 었다. 『東?餘談』과 『傾盖集』의 제작자는 그들이 인식하고 기억한 통신사를 필담집에서 다양하게 표상화 한 것이다. 이렇듯 일본인이 그린 조선통신사의 회화는 한일 간 공적으로 수행된 문화외교의 기록물 이상의 의미를 간직하고 있었다. 일본인이 호기심 어린 눈으로 ‘구경’한 외국문물이자, 조선지식인과의 아회풍경을 담은 소중한 추억이었다. As a diplomatic envoy, Tongshinsa (通信使) was dispatched 12 times in total from 1607 to 1811. In particular, since the mid 17thcentury, the envoy acted more like a cultural delegate rather than focusing on diplomatic issues. GyeMiSaHaeng (Tongsinsa travel literature in 1763, 癸未使行), dispatched from Aug. 1763 to the next year, 1764 as the 11thTongshinsa, was to congratulate the succession of the 10thshogun, TokugawaIeharu(德川家治. 1737?1786). It was evaluated as one of the most well-established envoy procession due to the previous experiences as it was implemented in the highly stable period of time in terms of politics, and diplomacy in East Asia including Joseon and Japan. This thesis gave attention to portraits of the delegate among numerous literatures and relics produced during the last Tongshinsa, GyeMiSaHaeng. Unlike other delegates, GyeMiSaHaeng had not a few paintings depicting private communications by means of writing among writers from both countries including Jesulgwan (製述官), and clerks. When categorized roughly, they were portraits of writers and ShiMunJeungDapDo (詩文贈答圖), which depicted scenes of conversing through poetry and prose. ShiMunJeungDapDo was a kind of Aheodo depicting writers’ gathering from both countries and portraits were insets included in books containing conversations through writing. These are noticeably different from documentary paintings of historic events which usually visualized officers like Jeongsa and Busa working in realms of diplomacy or administration and their official events. Among well-known books of conversation through writing are Tousayodan (東?餘談) and GyeongGaeJip (傾盖集). They were written from the end of February to the early March when the delegate stayed in Edo, its final leg in which the then-Japanese bakhu was located. The two books are noticeable in the fact that both Miyase Ryumon and Heyrin, the publishers were from Edo. Additionally they were interestingly similar in terms of editing type and depicted folks. These types of books are not present in our domestic documents at the moment and even portraits have never been discovered yet. Therefore the portraits of Tongshinsa depicted by Japanese take on a special meaning beyond their inherent roles as proofs of diplomatic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y can be evaluated as unofficial records of Joseon culture within Japanese perception and serve as results from their willingness to keep the gatherings in their mind.

      • KCI등재

        조선후기 소옹고사도(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송희경 ( Hee Kyeong S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49

        ``조선후기 소옹고사도의 유형과 표상``은 소옹(邵雍, 1011-1077)의 고 사인물화를 선별하여 양식과 형식을 기술하고 제재안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며 다양하게 표출된 시각언어를 고찰하고자 시도된 논문이다. 소옹은 주돈이(周敦이, 1017-1073), 정호(程顥, 1032-1085), 정이(程이, 1033-1107), 장재(張載, 1020-1077), 사마광(司馬光, 1019-1086)과 함께 북송 육현(六賢)이라 명명되었던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었다. 독특한 일화나 행적을 바탕으로 한 소옹고사도 중에서 가장 많이 제작된 제재는 사마광과의 일화를 그린 화외소거(花外小車)와 그의 어초대문(漁樵對問) 에 나오는 구절을 토대로 한 어초문답(漁樵問答)이다. 화외소거와 어초문답을 포함한 많은 소옹고사의 제재들은 성현고사첩에 포함되기도 했고, 별도의 작품으로 독립되었다. 다른 성현의 고사도 역시 이러한 특징을 함유하고 있지만, 소옹의 경우처럼 육현과 함께 장첩되며 저서에 근거한 제재까지 시각화 된 예는 매우 드물다. 이것이 조선시대 고사인물화에서 소옹고사도의 차별화된 특징이자 의의이다. 소옹은 동시대 성리학자였던 사마광이나 주자만큼 지명도가 있지 않았지만 문인들의 기억에 항상 존재했던 사상가이자 문학가였다. 흠모했던 스승에 대한 추억은 위엄과 덕을 지닌 군자상으로, 철학과 문학을 사유한 고사상으로, 청담으로 진리를 전달한 처사상으로 화면에 승화되었다. 조선시대의 소옹고사도에서 참선비의 도학과 안락을 누릴 수 있는 이유이다. Shao Yung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learned men of his time belonging to six sage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along with Zhou Dunyi, Cheng Hao, Cheng Yi, Zhang Zai, and Sima Guang. Scholars in later times remembered him as a mathematician with unparalleled knowledge of nature including cosmogony based on principles of IChing(BookofChanges) and a philosopher who developed it into a system of thinking. In addition, he was notable with a gift to be able to foresee things in the future, and respected as a hermitish literary man and poet who kept avoiding governmental positions throughout his entire life. Shao Yung left a number of stories which served as good subjects for painting. He was often depicted along with a group of saints or sages of his time who represents the genealogy of Taoism. Additionally, he was chosen as one of subjects in paintings along with other saints for their daily banal stories or reclusive life styles, and most of them were entitled HwaWoeSoGeo(Floral landscape with a small carriage). Among the mostly common subjects were those titled EoChoMunDap(A fisherman in dialogue with a woodcutter) which realized imaginary scenes relevant to excerpts in his EoChoDaeMun(The title of one of Shao Yung`s books, meaning conversation between a fisherman and a woodcutter). Shao Yung was often described as a fisherman casting a fish rod at the shore of the Isu River, or a woodcutter resting, seated on a large flat rock after putting down his load. As this study illuminates icons incorporated in ShaoYungGoSaDo and their implications, it leads into an understanding of ShaoYung`s diversified aspects as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and a hermitish writer.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 정선이 그린 정호(程顥),정이(程이) 고사인물화

        송희경 ( Hee Kyeong So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선이 그린 정호 정이고사도의 시각적 특징과 조선시대 이정고사도의 전개양상, 그리고 정선의 제작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북송대 유학자였던 정호와 정이는 정반대의 성격을 지닌 한 살 터울의 형제이자, 도학의 새로운 흐름을 열었던 지적 동반자였다. 그들은 강한 개성과 독특한 일화를 남긴 선학으로, 혹은 주자에게 절대적 영향을 준 신유학의 창시자로 기억되었다. ``방화수류(傍花隨柳)``, ``정문입설(程門立雪)``, ``부강(부江)`` 등의 제재로 표현된 이정고사도는 정선이 그린 송대성현의 고사인물 중에서 제재와 작품수가 가장 많았다. 정선이 그린 이정고사도의 형식은 자연배경에 고사상이 배치된 산수인물화이며, 기법은 남종화법을 근간으로 한 수묵담채화였다. 그의 다른 고사인물화와 마찬가지로 고사의 일화를 도해할 때 조선중기의 전통을 계승한 산수인물형식을 도입해서 풍류와 낙도(樂道)를 누리는 정호 정이상을 완성했다. 16세기에는 정호, 정이가 도학의 계승자들과 함께 화첩이나 병풍에 장첩되었는데, 그림의 주인공들은 도통계보의 인명도설에 포함된 인물들이었다. 정선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어유봉의 <병화십찬>을 통해 고사일화형식을 갖춘 송대성현의 고사도가 18세기 전반에 이미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선의 그림에 표현된 정호와 정이는 권위를 내세운 관료도, 위엄을 갖춘 지도자도 아니었다.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유학자였지만, 때로는 자연을 즐기고 때로는 세상사에 초연할 줄 아는 처사이자 참진리를 추구하는 진정한 지식인이었다. 정선은 정호, 정이의 고사를 해석하면서 자신만의 화법으로 새로운 화면을 창안했다.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Jeon Seon`s gosa paintings of JeongHo and JeongE, JeongHo and JeongE were Confucians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brothers who were born only a year apart, and intellectual companions who helped open a new chapter for Taoism. They are remembered as founders of a new Confucianism, who gave absolute influences to Zhu xi as well as pioneering scholars with spirited personalities whose exploits are well known and without comparison. JeongEGoSado, which is composed of a number of subjects such as banghwasuryu, jeongmunipseol, and bugang, It is also the kind of painting that he produced in the biggest quantities. The genres of JeongHo and JeongEGoSaDo as painted by Jeong Seon, belong to the tradition of SanSui figurative painting, featuring gosa seared within a natural background, using softly colored water and ink painting based on the NamJong style (a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Like other gosa figurative painting by JeongSeon, in which he depicted the daily lives of gosa, he incorporated the SanSui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that developed from the traditions of the mid-Joseon period, and represented JeongHo and JeongE, who were known to have enjoyed pungryu and nakdo. According to literature, before Jeong Sean the gosa paintings of JeongHo and JeongE were known to have predominantly been incorporated within SeongHyeonGoSaCheop. In the 16thCentury, JeongHo and JeongE featured within picture books or wall screens along with the followers of Confucian from that time. In this way the main characters depicted in these paintings were from an Confucian Diagrams. ByeongHwaSipChan by EoYu-bong - a painter from the same period as Jeong Sean - helped ensure that goon painting of saints from the Song dynasty, employing SanSui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became established in the early l8thCentury. As depicted in Jeong Seon`s paintings, JeongHo and JeongE appeared as neither powerful officials nor majestic leaders. Even though they were analytical and logical Confucians, we are reminded that they knew how to find amusement within nature, and to find relief from everyday worldly concerns as genuine intellectuals pursuing fundamental truths. Jeong Seon created a new style of his own while interpreting the old legends of JeongHo and JeongE.

      • KCI등재후보

        18세기 전반 회화의 새 경향 : 정선(鄭敾)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의 유형과 그 표상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9 한국문화연구 Vol.17 No.-

        18세기 전반에 활약한 겸재 정선은 조선후기 회화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한 거장이었다. 그는 고전을 형식적으로 모방하던 기존의 정형산수화를 뛰어 넘어 진경산수화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것 못지않게 참신한 고사인물화 역시 많이 제작하였다. 실존했던 역사적 인물을 화폭에 환생시키기도 하고, 존경하고 좋아했던 고사적 소재를 보편화하여 자신의 산수화에 이입하기도 하였다. 또한 문학작품의 내용을 도해하면서 그 의미전달의 정확함을 위하여 고사를 재현하기도 하고 추상개념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여 작품을 완성하기도 하였다. 나아가 과거의 고사(멕却)를 현실에 이입하거나 동시대인으로 번안하여 조선의 산천에 포함하기도 하였고 이러한 고사적 해석을 바탕으로 아회도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조선 초중기 고사인물화의 화면 구성과 구도를 계승하되 17세기부터 유입된 판화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화제에 따른 적절한 유형의 인물상을 선택하였다. 특히 개자원화전은 그의 고사표현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형화된 점경인물상은 정형산수화에도 일부 삽입되어 보편화된 고사 이미지를 확산하는데 기여하였다. 고전적 이상형인 고사(멕却)를 실물적 이상경인 진경 안에 이입하여 탈속은일의 정신을 익히며 실천하는 은자의 모습을 연출한 것이다. 이렇듯 정선은 고사인물화에서 고사를 중국에 생존했던 ‘성현(聖賢)’이나 ‘고사(高士)’로 인식하여 이들을 ‘사고인(師古人)’하고 ‘사조화(師造化)’하려 하였다. 전통의 계승과 신화법의 수용을 추구하는 정선의 작업태도는 18세기 후반에도 영향을 미치며 19세기에도 지속된다. Through his many accomplishments in the early 18th century, Gyeomjae Jeong Seon(謙齋 鄭敾(1676~1759)) is known as a luminary who led a new genre of painti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oteworthy that Jeong painted ‘figurative paintings about the ancient stories’(故事人物畵), except becoming famous for establishing the beginnings of real shan shui painting(眞景山水畵), moving beyond the rules of the previous era that had limited painters to depictions of idealised scenery. He brought each of the historical figures back to life on canvas, and incorporated relatively unfamiliar subjects about the gosa(멕却, hermit-like old gentlemen of integrity) into his paintings, there by making his respectful and favorite items generally known to the world. In addition, his interpretations of literary works helped him depict the gosa figuratively, thus assuring the clarification of messages and embodiment of abstract concepts. Further more, he incorporated the subjects into Joseon scenery, transforming the figures of the past into the present tense as contemporaries, and created AhHeoDo(雅會圖). From the early and middle gosa portraits in the Joseon era, he drew upon traditions of how to compose subjects and structure each element on canvas. Jeong chose pertinent types of figures accordingly under each theme, absorb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nt which had been introduced since the 17th century.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芥子園畵傳』) was particularly influential on him in regards to the expressions of gosa painting, and it is note worthy that the styles of JeomKyeong figures, which literally mean, “an image of landscapes dotted with human figures” were partly inserted into formalized shansui painting, there by contributing tot he popularization of gosa imagery. As a classical ideal man painted in actual scenery, the gosa created a scene of hermit dedicated to spiritual learning by pursuing freedom from social conventions. As such, Jeong attempted to pay respect to gosas as his mentors(師古人),, and to be in harmony with their spirit(師造化), by recognizing them as real saints or respected gentlemen through his gosa portraits. Jeong, with his cease less efforts to pass on traditional techniques, and accept new ones from NamJongHwa(南宗畵), continued his study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and finally created more stylized painting in th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