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양식 금붕어(Carassius auratus)와 수입 진주린(Carassius auratus)에서 Cyprinid Herpesvirus 2 (CyHV-2)의 검출

        송해덕 ( Hae Deok Song ),박정수 ( Jeong Su Park ),권세련 ( Se Ryun Kwon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1 No.4

        Goldfish hematopoietic necrosis (GHN) affects hematopoietic organs and causes high mortality in goldfish. The causative agent of GHN is cyprinid herpesvirus 2 (CyHV-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CyHV-2 in ornamental cyprinid fish. CyHV-2 monitoring was conducted on a monthly basis for 1 year using goldfish Carassius auratus and pearlscale goldfish Carassius auratus that had been cultured at a domestic aquafarm and imported from Singapor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s using specific primers for the CyHV-2 helicase gene showed that 27.8% of goldfish and 33.3% of pearlscale goldfish were positive for CyHV-2. No cytophatic effects were detected in koi fin or common carp brain cells inoculated with tissue homogenates from either fish. Our data provides the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quarantine and disinfection policie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성찰적사고 지원요인 탐색

        송해덕(Hae-Deok S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성찰적 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 펜실베니아 주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접과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 학생들은 미 항공우주국에서 지원하여 개발된 웹증진 문제중심학습용 과학과 보조 교육과정에 참가하였으며, 면접결과는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성찰적 사고를 지원하는 주요 요인들은 실생활의 비구조화된 과제, 학습에 대한 주도권, 사회적 학습과 스캐폴딩 지원등으로 나타났다. 실생활의 비구조화된 과제는 탐구지향적인 학습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주도권을 촉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며, 과제해결을 위하여 사회적 학습과 스캐폴딩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세 가지 요인들은 서로 상호관련성을 가지며 성찰적 사고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연구로 문제중심학습에서 성찰적 사고를 지원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 탐색되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reflective thinking in a web-enhanced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is purpose,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were conducted for 9 6th 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s located in a rural area at Pennsylvania st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a web-enhanced science supplementary curriculum that were designed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principles.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interviews. Three factors were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identified factors included authentic ill-structured problem task, learner ownership over their learning process, and social learning and scaffoldings. Authentic problem tasks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ntrol over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enable them to work with their peers and tutors with the aids of scaffolding tools. These factors interact each other and affect students reflection during problem-based learning.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in order to build a more comprehensive model that explains reflective thinking i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교수 가이던스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유형이 수학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송해덕 ( Hae Deok Song ),박주호 ( Joo H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 가이던스 관점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유형에 따른 학습효과를 학습자 특성과 관련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수 가이던스 관점에서 수학교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유형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내재적 동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와 아동의 사전 학업성취수준에 따라서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참가자는 초등학교 5학년 9개 학급의 총 293명으로 3개 학급이 디지털 교과서 교사시범형 집단에, 3개학급이 디지털 교과서 학생적용형 집단에, 다른 3개의 학급이 통제집단인 서책형 교과서집단에서 각기 학습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 집단(교사시범형, 학생적용형)에서 학습한 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인 서책형 교과서로 학습한 집단의 학생들보다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성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특성중 아동의 사전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적 하위집단에서 디지털 교과서 학생적용형 집단에서 학습한 학생들이 통제집단인 서책형 교과서형 집단에서 학습한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성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수학교과 태도 및 수학교과에 대한 내재적 동기면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교수 가이던스 관점에서 교실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교사에 의한 시범뿐만이 아니라 학생이 이를 직접 적용실습할 기회까지 함께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학습효과성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은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digital textbooks on learning outcomes from the perspective of instructional guidance. This study, therefore, examined the effects of types of digital textbook use (teacher demonstration, students application, control group) and level of prior academic achievement (high, low)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intrinsic motivation on mathematics, and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 total of 293 5th grade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group of students application ear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an those studying in the control group. Only students with low level of prior academic achievement also earned higher scor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ypes of digital text book use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intrinsic motivation. One important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a complete guidance with the opportunities of students applications should be provided for the effective use of digital text book at classrooms. Results also imply that students with low levels of achievement can benefit most from the applications of the digital textbook.

      • KCI등재

        멀티미디어 기반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설계원리 탐색

        송해덕(Hae-Deok Song),신서경(Suh-Kyung Sh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문제중심학습은 비구조화된 과제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학습자들에게 인지적·메타인지적 곤란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내면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캐폴딩이 요구된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환경의 경우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원들이 이러한 스캐폴딩을 지원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스캐폴딩 전략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스캐폴딩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학습자의 문제해결지원을 위해 개념적, 전략적, 메타 인지적 스캐폴딩이 사용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스캐폴딩은 문제중심학습의 학습과정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문제중 심학습의 학습과정 단계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 스캐폴딩 유형과 사례를 검토한 후, 문제표상, 해결책개발, 해결책 검토 및 평가의 단계별로 효과적인 스캐폴딩 설계원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성공적인 문제중심학습을 위해 문제해결과정의 각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스캐폴딩 설계원리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Problem-based learning needs scaffolding for making students-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because the complexities of the ill-structured tasks bring about cognitive.metacognitive challenges to students. A variety of learning resources can also bring challenges to students such as audio, video, animation, and so on in a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Previous studies on scaffoldings suggest that three types of scaffoldings(conceptual scaffolding, procedural scaffolding, and metacognitive scaffolding) have been used to support students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such as problem representation, solution development,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solutions during problem-based learning. Given the difference of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se scaffoldings should be provided differently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appropriately. Thus, this study first, explored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s and their examples in a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hen, were suggested to scaffold different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problem representation, solution development,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solution). The suggested scaffolding design principles are expected to provide instructional designers with useful strategies that can be employed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media based problem-based learning.

      • KCI등재

        미래학습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모델 개발

        송해덕(Hae-Deok S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signed for ubiquitous learning at future classroom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classrooms, first were examined. The future classrooms using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were characterized by distributed cognition, an unity of both electronic spaces and physical spaces, and situated context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ubiquitous learning was built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on the field of distributed intelligence. Instructional design elements, first were identified. The identified elements include authentic task, affordance of ubiquitous learning, distributed learning procedure, interaction strategies with guided inquiry and social learning, and authentic evaluation. Next, specific instructional-learn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for learning task, media use, interaction strategies, respectively.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in order to build a more vali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u-learning at future classroo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테크놀로지 컴퓨팅에 기반하여 성공적인 미래교실학습을 위한 교수학습모델을 제시하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미래교실의 특성을 유비쿼터스의 공간적 특성에 따라 분산성, 융합성, 상황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미래교실에서의 u-러닝 학습을 위한 주요 교수설계원리들을 도출한 후,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들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래교실학습을 위한 교수학습설계원리로 첫째, 학습과제 측면에서 실제적이고 복잡한 과제를 제시하여야 하며, 둘째, 학습절차 측면에서 상황에 대한 인지, 자기 주도적 및 협동적 학습을 통한 자료이 수집, 자료 분석 및 해결책 고안, 일반화와 추론의 단계를 거치고, 셋째, 학습매체 측면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테크놀로지의 잠재적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넷째, 상호작용 측면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통한 가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지원하는 것과 함께 안내된 참여를 통하여 인지활동을 조장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업지배구조 결정요인과 인적자원개발 활동간의 관련성 연구

        송해덕 ( Hae Deok Song ),신덕정 ( Duck Jung Shi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의 결정요인들이 인적자원개발의 실시여부와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지배구조 결정요인과 인적자원개발(HRD) 실시여부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기업지배구조의 결정요인으로 전문경영체제, 사외이사의 수, 외국인 경영참여여부,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에 대한 노조관여, 기업규모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오너의 경영 개입이 절대적인 경우 집체식 사외교육과 인터넷학습이 활성화되었으며, 완전한 전문경영자체제에서는 임원교육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외이사의 수가 적은 경우 지식마일리지프로그램, 국내연수, 해외대학원 학위과정 지원, 인터넷학습, 경력개발제도 등의 인적자원개발활동들이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이 경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OJT 프로그램, 해외대학원과정지원, 하청업체에 대한 기술지원, QC 품질분임조 등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활발하였다. 넷째, 교육훈련/경력개발에 대한 노조의 관여는 인적자원개발 활동 실시와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해외연수, 인터넷학습, 멘토링, 핵심인재육성 등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 factor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To analyze this relations,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was used. The major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ngle best management system to perform HRD. Different forms of HRD were activ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such as owner-manager firms and professional-manager firms. 2. The numbers of outside directors wa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HRD. Outside directors are likely to keep CEO from avoiding long-term investment such as HRD. 3. Foreign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was not helpful in implementing HRD activities. HRD was activated when there was no foreigner`s participation. Foreigners are more likely to take short-term profits by selling stocks. 4. The involvement in labour unions was not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HRD activities. 5. Enterprise size wa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HRD. Only large enterprises are likely to implement HRD activities.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인과 교수설계원리의 탐색

        송해덕(Hae-Deok S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주요 구성요인들을 확인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설계원리들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주요 요인들을 중심으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설계의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의미를 살펴본 후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모형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구성하는 요인들과 이들 요인들간의 관계를 나타나는 이론적 틀의 형태로 제시되었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인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요 구성요인으로 학습자특성, 교수전략,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학습자 특성, 상황적 특성의 다섯 가지 요인들이 포함되었다. 셋째,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한 주요 연구변인들을 중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교수설계원리를 제시함으로써 실천적인 측면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특성차원에서는 문제해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함양 및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이해와 통제를 신장시키고, 문제해결과정차원에서는 합리적인 문제해결절차의 습득이 요구되고, 문제특성차원에서는 실생활의 맥락화된 비구조화된 과제를 제시해야 하며, 교수전략차원에서는 영역특수적 교수전략의 제시가 요구되고, 문제해결상황차원에서는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문제상황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componen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uggest design principles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To achieve this purpose, a model on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built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creativ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solving.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s. First, the meaning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defined. Second,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omponents consis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examined. Third, design principl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the identified componen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 KCI등재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초등학교 수학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송해덕 ( Hae Deok S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 활용의 학습효과를 학습자의 사회경제적 배경변인들(아버지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유형, 지각한 경제적 생활수준, 1인당 방의 소유개수, 도시규모)과 관련하여 검증하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경제적 배경변인에 따라 수학교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유형이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실험참가자는 대도시, 중소행정도시, 중소공단도시 소재 초등학교 3개교 5학년 6개 학급의 총 197명으로 3개 학급이 디지털 교과서 활용 집단에, 다른 3개 학급은 통제집단인 서책형 교과서집단에 배정되었다. 조사 결과 사회경제적 배경변인 중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도시규모 변인들에서 디지털 교과서로 학습시 수학교과 학업성취에서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아버지의 교육수준변인과 관련 하여 아버지가 대졸이상인 집단에서 아버지가 고졸이하인 집단보다 높은 학업성취를 올렸으며,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이 서책형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또한 도시규모변인과 관련하여 도시규모와 디지털 교과서 활용여부 간에 의미있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대도시와 달리 중소도시 소재 학교에서 아동들이 디지털 교과서로 학습한 경우 서책형 교과서로 학습하였을 때 보다 높은 학업성취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효과성이 학습자의 배경변인, 특히 사회경제적 배경변인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digital textbooks on mathematic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 to family background, especially for socioeconomic variables. The family background variables included father`s school years, father`s occupational status, perceived income level, housing density, and citi size that reflects the degree of affluence at neighbourhood. The sample consisted of 197 children at a total of six classroom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Students at three classrooms were participated in a digital textbook learning environment whereas those at the rest of classrooms in a traditional textbook learning environment.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wo socioeconomic related family background variables (fathers` school years, size of city). First, ANCOV A shows the main effect for type of fathers` school years (college, community college, high school). ANCOVA also shows a main effect for the type of text books (digital, traditional). Second, ANCOVA show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ype of city size (large, small) and type of text book(digital, traditional). Students in the digital textbook learning environment earned higher scores on a mathematic test than those in the traditional textbook learning environment. These results were found only at an occasion where the participating school is located at small size city.

      • KCI등재

        수행공학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송해덕(Hae-Deok S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2 No.1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RD)은 기업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이러한 환경변화를 보다 체계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업과 인적자원개발간의 관계를 전략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달성을 촉진시키는 것과 함께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학습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에서 조직 효과성 및 수행에 대한 강조는 인간수행공학(Human Performance Technology)의 논의에 힘입은 바 크다. 수행공학은 시스템적 사고에 근거하여 인간수행의 문제를 조직과 관련하여 보다 거시적인 맥락 속에서 파악하도록 하며, 결과지향적인 접근을 취함으로써 문제해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전략적 관점에 대해 유용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수행공학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가지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비교나 검토가 아직 체계적으로 시도되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행공학의 정의 및 특성을 중심으로 수행공학이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수행공학의 특성에 비추어 수행공학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간의 개념적 관계를 조사한 후, 끝으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특성과 비교하여 예기되는 이슈들을 살펴봄으로써 전략적 인적지원개발의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SHRD) is to facilitate the a accomplishments of the organization outcomes and to satisfy the employee`s desire to learn by strategically alig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emphasis on results and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n SHRD is related to theoretical assumption of the Human Performance Technology(HPT). HPT is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rategical approach of the SHRD because it analyzes the human performance problems systematically in the broader context with the system thinking. Despi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HRD and HPT, little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review the main concepts of those two fie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PT and SHRD. For this, firs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PT were examin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HPT and SHRD was reviewed. Third, possible issue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SHRD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HPT.

      • KCI등재

        동기화된 HRD e-Learning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송해덕(Song, Hae Duc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 No.3

        e-Learning을 통한 HRD 프로그램의 경우 훈련참가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할 기회가 제한되므로 HRD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서 학습자들을 적절히 동기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요구된다. 목표지향(Goal Orientation)은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훈련을 위한 학습과 수행을 동기화 시킨다는 점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동기변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지향이론의 관점에서 HRD에서 학습 및 수행을 촉진시키기 위한 동기전략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RD의 두 가지 패러다임인 학습 패러다임과 수행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이들을 촉진시키기 위한 동기전략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uccess of any organization is dependent on its ability to maximize the abilities of its workforce.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any organizations, acquiring new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HRD training programs os necessary. Motivation is a key factor to be considered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HRD training programs in e-Learning environments because learners have limited opportunity to interact each other in such environments. Goal orientation is an important motivation variable because it guides trainees` intrinsic motivation in HRD program. Recently, some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a person`s goal orientation can be modified by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goal orientation.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ncrease goal orientation in the area of HRD.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otivation strategies that ate designed to improve trainee`s learning and performance in HRD program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examined learning and performance paradigms, two main paradigms in HRD research. Next, motiv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facilitate these two paradigms from goal orientation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