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금융위기로 인한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법제의 변화

        송재일 ( Song Jae Il ) 한독법률학회 2015 한독법학 Vol.20 No.-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우리나라는 2번의 금융위기를 겪게 되었다. 1997년의 IMF 외환위기와 2007년의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따른 금융위기가 그것이다.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저성장 시대에 진입하였으며, 새로운 성장동력, 일자리의 창출과 복지가 화두이다. 2007년 1월 3일 법률 제8217호로 제정된 사회적 기업 육성법과 2012년 1월 26일 법률 제11211호로 제정된 협동조합기본법은 우리나라에서 기업과 시장경제를 바라보는 패러다임 자체의 변화를 상징한다고 본다. 즉 자본주의 시장경제만 있던 나라에서 호혜연대주의 시장경제, 즉 사회적 경제도 함께 균형을 잡아가는 선진국형 경제체제로 한 단계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경제, 사회연대 경제, 협동조합 생태계와 같은 개념이 자연스럽게 나오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일자리와 성장동력, 복지문제가 해결되고 있다. 물론 사회적 경제에 대한 지원은 금전적 지원과 같은 낡은 생각으로 접근하면 절대 금물이며, 선진국에서 하듯이 법과 제도를 통한 환경적 지원이 정말 핵심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이다. 이 글에서는 선진국 경제의 양대 날개, 금융위기나 저성장 기조 속에서 인간의 얼굴을 한 연대의 사회적 경제에 관한 법제의 변천과 우리나라에서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동안 우리나라 경제질서가 자본주의 시장경제 일변도였고, 국가와 사회를 나눠보는 이분법적 시각에서도 너무 국가일변도의 학문풍토였기에, 앞으로 선진국의 경제질서와 그 법철학적 토대를 잘 살펴 호혜연대주의 시장경제와 시민사회 주도형 법학으로 균형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것이다. In den letzten Jahren hat Sudkorea zwei Runden der Finanzkrise war zu leiden. Sie sind 1997, IWF-Krise und den Vereinigten Staaten von der subprime-Hypotheken im Jahr 2007 durch die Finanzkrise. Nachdem die Finanzkrise ist Sudkorea im Zeitalter von geringem Wachstum Montreal, neues Wachstum, Schaffung von Arbeitsplatzen und Wohlergehen ist erforderlich. 3. Januar 2007, wurde erlassen Gesetz der Sozialen Unternehmens(Nr. 8217) fordern und 26. Januar 2012 trat die Genossenschaftsrecht(Nr. 11211) in Kraft ein. Dies sieht an die Unternehmen und Markt-Wirtschaft in Korea, als Symbol fur die Veranderung des Paradigmas selbst. Dies bedeutet, dass die kapitalistischen Marktwirtschaft wurden nur in dem Land, d. h. die soziale Marktwirtschaft, festgestellt, dass die gegenseitig vorteilhafte Solidaritat Wirtschaft das Gleichgewicht mit der entwickelten Weltwirtschaftssystem halten und hat einen Schritt weiter gesucht. Seitdem in Korea, wird Mehrere Konzepte z.B. Sozialwirtschaft, Sozial- und Solidaritat Wirtschaft, kooperative Okosystem und das gleiche Konzept diskutiert naturlich. Dadurch ermoglicht eine Reihe von Fragen (z. B. Arbeitsplatze und Wachstum und Wohlbefinden Fragen) werden behandelt. Mit die Unterstutzung der finanziellen Unterstutzung fur die Sozialwirtschaft-Ansatz ist naturlich verboten, wie das Gesetz- System in den entwickelten Landern die Kern Umwelt Unterstutzung ist wirklich durch eine nachhaltige Entwicklung die Grundlage, die es moglich macht. Dieser Artikel bezieht sich auf die Sozialwirtschaft und der Entwicklung von Flussen und geanderte Rechtsvorschriften und suchte Richtung aus dem Korea. In der Zwischenzeit war Koreas Wirtschaftsordnung verklebt, auf die Marktwirtschaft und Kapitalismus, Dichotomie(Staat- Gesellschaft). In Zukunft die rechtphilosophischen Grundlagen fur die Wirtschaftsordnung der entwickelten Welt und das Gesetz uber Reziprozitatsgesetz, Marktwirtschaft und der zivilen Gesellschaft gefuhrten Koalition Aufmerksamkeit, Gleichgewicht, wie es sein sollte.

      • KCI등재

        협동조합의 자율성과 사적자치(私的自治)로서 정관자치(定款自治)에 관한 법적 연구

        송재일 ( Jae Il Song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3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1 No.2

        Every Cooperative has its own articles (‘by-laws’), providing internal norm under the national legal system. It is important that the autonomy of a cooperative and its member could be reached by autonomy of cooperative by-laws (‘Satzungautonomie’ in German). Without ‘Satzungautonomie’, any cooperatives can`t realize ICA principles. This study focuses on “the autonomy of articles of association”, another form of private autonomy (freedom of contract) in field of organizations or groups. In general, enterprise law consists of compulsory articles considering public order (‘l’ordre public’ in French) regulating Investor-Owned Firm (IOF). Korean Supreme Court held to deny the nature of compulsory articles applying to special personal IOF in some cases. Futhermore, this jurisprudence can be invoked to Patron-Owned Firm, especially cooperative, considering its personal and mutual reliance character. Under this rule, individual cooperative can regulate its own membership. Special cooperative laws in Korea have not yet accepted this rule, while either Japanese or German law has accepted this rule. This autonomy rule is necessary for cooperatives to realize the ICA principles.

      • 철도경쟁체제에 관한 유럽사례 연구

        송재일(Jae-Il Song)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5

        유럽공동체는 상하분리와 오픈액세스를 주요 골자로 하는 공동체 철도발전에 관한 유럽강령 91/440을 제정함으로써 유럽철도산업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우선적으로 국제화물철도서비스의 자유화(경쟁도입)에 노력을 기울였다. 이후 관련 강령의 제정과 보완을 통해 국제여객서비스에 대한 경쟁도입도 선언하는 등 경쟁 확대를 통한 효율성 증진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연합의 정책방향과는 별개로 유럽 각 국의 자국내 여객철도서비스의 경우에는 경쟁의 도입 정도가 나라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영국, 스웨덴, 독일 등은 실질적인 경쟁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그 성과도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연합과 각 국의 철도경쟁체제에 관한 정책내용과 도입과정, 운영경험에 관한 여러 연구 결과들을 조사 정리하였고, 국내 고속철도서비스의 경쟁체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우리나라 정책 시행에 있어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European has proposed the railway framework which consisted in vertical separation and open access by enacting the European Directive 91/440 on the railway development, then tried to make competition environment, expecially internationa freight railway services. After that, they have aimed the expansion of competition by declaring the competition of international passenger railway services from 2010. However, though this kind of European's policy, many countries in Europe did not try to introduce the competition system on his domestic passenger railway field aggressively. Among these situation, it is said that the actual competitions are occurring in United Kingdom, Sweden, Germany, and so on, they get the performance and effect of competition to some extend. In this study, the European competition policy and each country's introduction process and operational experiences are investigated, which will be useful to us for preparation of railway competition rule.

      • KCI등재후보

        농업분야 외국인 근로인력의 활용을 위한 법제의 개선

        송재일(Song, Jae-I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6 법률실무연구 Vol.4 No.1

        Due to the population aging and seasonal character in Korean agriculture and rural area, serious shortage of labor occurred in the field of agriculture. Korea recently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foreign workers in agriculture over time. There are some relevant legal system for example Labor Standard Act as basic law and Act on Foreign Workers’ Employment as special law. In order to utilize foreign labor in the field of agriculture, this article researches similar legislation in some foreign countries and analyses the problems of korean legal system and proposes some meaningful solu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orm foreign workers’ employment permit system to meet demand of the seasonal workers and establish the legal culture about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e.g. reasonal labor usage, and labor contrac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finite the workplace in agriculture in another way to manufacturing industry. That solution makes it possible to terminate the unnecessary dispute about compulsory labor and to change or add the workplace in agricultural off-seas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article 63 of labor standard act to take a flexible application of working hours and conditions in the light of the seasonal intensive agricultural character and agricultural foreign workers. Lastly, win-win model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in agri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over the legal culture. It conclude so many field of the careful concern about hiring, education, supervision, evaluation, control and encouragement of agencies such as Korean agricultural Cooperative (Nonghyup), ect.

      • KCI등재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한국협동조합의 역할 -우리나라 협동조합법제의 개정을 덧붙이며-

        송재일 ( Song Jae-il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6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4 No.3

        유엔은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ium Development Goals)의 후속과제로 2015년부터 2030년까지 15년간의 의제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7개 목표를 채택했다. 이는 빈곤퇴치, 불평등, 기후변화 등 사회, 경제, 환경측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을 포함한 모든 나라들에서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시민사회 등 모든 주체들이 힘을 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담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협동조합은 지속가능한 기업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겪으며, 유엔은 협동조합을 경제위기에 강한 새로운 경제·사회 발전의 대안 모델로 보아 2012년을 `세계협동조합의 해`로 선포하고 회원국에 협동조합법 제·개정을 권고하였다. 세계 여러 나라와 더불어 우리나라도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유엔은 협동조합의 순기능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2012년 협동조합의 해 선언과 2016~2030년 Post 2015 의제, SDGs 작업과정에서 협동조합 측과 함께 만들었다는 것으로 반증된다. 유엔 SDGs는 선언적 의미를 넘어선 “강한 의미의 연성 국제법(Soft law)”으로서 매년 회원국 정부(지방정부 포함)와 단체, 기업에 대하여 SDGs 이행여부를 감독함으로써 구속력을 가진다. 따라서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경제가 SDGs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동조합다운 조직구조와 사업전략을 갖춰 장점을 발휘하게 해주는 것이 시급하기에 이를 위해 우리나라 협동조합법제의 개정을 함께 제안하였다. The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f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dopted by world leaders in September 2015 at an historic UN Summit - officially has come into force from 2016 to 2030. Over the next fifteen years, in pursuit of this new set of goals, member countries will mobilize efforts to end all forms of poverty, fight inequalities and tackle climate change, while ensuring that no one is left behind. The SDGs build on the success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but aim to go further, ending all forms of poverty. The new goals are unique in that they call for action by all countries, poor, rich and middle-income, to promote prosperity while protecting the planet. The UN also respected the role of the cooperative by declaring 2012 as the International Year of the Cooperative (IYC-2012), recommending the reform of better cooperative laws in their members countries. While the SDGs are not legally binding, governments are expected to take ownership of them and establish national frameworks to achieve them. Countries have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following up on and reviewing the progress made in implementing the SDGs, which will require quality, accessible and timely data collection. Regional follow-up and review will be based on national-level analyses and will contribute to follow-up and review at the global level. Thus I suggest the reform of the existing cooperative legal system in Korea to facilitate implementation of the SDGs.

      • KCI등재

        한국의 협동조합 발전에 관한 사례연구 : 법적 쟁점과 개선을 중심으로

        송재일 ( Song Jae-il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1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9 No.3

        대한민국에서 협동조합운동은 1950~53년 한국전쟁 이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오늘날 혁신과 창의성에 바탕을 둔 성공적인 민주주의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경제발전과 사회 민주화를 통해 이바지하였다. 그 과정에서 협동조합 운동을 위한 정부의 법적 지원도 있었다. 헌법은 농업인, 소비자, 중소기업을 위한 자조조직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국가의 의무를 강조하였고, 각 산업별 협동조합과 소비자협동조합을 위한 8개 개별협동조합법이 차례로 제정ㆍ시행되었다. 나아가 2012년 국제연합(UN)이 정한 ‘세계 협동조합의 해’에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ㆍ시행한 이후, 한국 협동조합 운동은 역동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이 법은 누구나 5인 이상이면 자유롭게 협동조합의 설립을 할 수 있게 하여 협동조합운동의 질적인 전환을 가져왔으며, 공유경제를 넘어 사회적 경제의 붐을 가능하게 하였다. 대한민국의 협동조합법제를 구성하는 협동조합기본법과 8개 개별협동조합법은 사회환경의 변화와 이해관계자, 특히 조합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 개정되었지만, 아직도 개선해야 할 법적 과제가 있다. 이 글에서는 협동조합법제의 특성 -예컨대, 상호성, 독자성, 공익성- 을 중심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공통된 쟁점으로 공동행위나 공동사업을 둘러싸고 독점규제법의 적용제외를 해야 하는 점, 협동조합 공제의 보편화를 위한 법적 지원, 그리고 협동조합 맞춤식 자본조달이나 회계제도, 조합원제도 등을 들 수 있다. 저자는 그 동안 저자가 입법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디지털 전환시대에 맞춘 미래의 협동조합 법제를 전망하고, 한국사례를 세계 협동조합과 연대의 관점에서 공유해보고자 한다. Korea has been one of the dramatic countries in the field of cooperatives’ development. You could tell the role of cooperatives in Korea, which has evolved from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after the Korean Civil War (1950-1953) to a successful democratic advanced power today. In the process, Korean cooperatives have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democratization thanks to the provisions of support for agriculture, consumers, and SMEs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and eight Co- operative Acts for some industries and consumers. Moreover, after 2012, so called “International Year of Cooperatives” by the United Nations,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2012 brought her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into the era of ‘Social Economy.’ Korean legal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and individual Co-operative Acts, has been amended several times, and there are still many legal problems. I would like to share with you my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revision work and the legal issues under the principle of three elements: mutuality, independence, and public interest. It would helps prepare for in the future digital age.

      • KCI등재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이후 협동조합 발전에 대한 중간점검 -법·제도적 측면에서-

        송재일 ( Song¸ Jae-il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1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9 No.2

        다가오는 2022년은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10주년을 앞두고 있어서 협동조합기본법의 입법평가를 하여 향후 협동조합법제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협동조합기본법이 2012년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협동조합 2.0’에 비유될 만큼 긍정적인 변화가 늘어났다. 사회적 연대나 공동선을 추구하는 많은 관련 법령들이 제정되었으며, 협동조합과 사회적 경제는 삶의 수준을 높여주고 있다. 협동조합기본법은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모습을 다양하게 바꾼 것으로, 과학사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에 비견될 수 있겠다. 그 동안 여러 차례의 개정을 통해 그 규범적 효력이나 현실에서 적용되는 모습도 점차 개선되어 왔다. 그런데 아직도 우리나라의 협동조합 법제 하에서는 여러 가지 관련 문제들이 있어서 법령의 정비 및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기본법 협동조합과 개별법 협동조합을 통일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법인의 성격에서 영리와 비영리에 대한 혼선이 존재하며, 조합원거래와 비조합 원거래(원외 거래)에 대한 인식의 한계, 독점규제법 적용제외, 협동조합 회계의 독자성이나 적립금의 특성을 더 고려하여 재구성하는 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법제도의 개선에서는 어떠한 관점에서 봐야 하는지도 중요하다. 해외 사례도 살펴야 하지만, 사회경제시스템이 나라마다 상이하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유사사례도 살펴 실무에서 원활하게 작동되는 우리만의 협동조합 법제도가 필요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미래사회의 협동조합을 전망하여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장래 협동조합이 한층 더 발달하여 국가사회 경제 전체적으로 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조합원의 사업이용을 도모하고 법인으로서 활동하는 데 필요한 법제도와 세제를 정비하는 것이 핵심적인 과제라 할 것이다. It has been almost 10 years since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commenced,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legislative evaluation of it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of Cooperative laws. Since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was enacted in 2012, positive changes have increased enough to be compared to 2.0 of cooperatives in Korea. Man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eeking social solidarity or the common good have been enacted, and cooperatives and social economy are raising the standard of living.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fundamentally changed the appearance of cooperatives in Korea and can be compared to a paradigm shift in the history of science. In the meantime, through several revisions, its normative effect and application in reality have been gradually improved. However, there are still a number of related problems with cooperative law in Korea that need to be sorted out and improved.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sic law cooperatives and individual law cooperatives are not recognized in a unified way, there is confusion between for-profit and non-profit in the nature of a corporation, and there is a limit to the recognition of member transactions and non-member transactions (out-of-house transactions). There are also issues such as the need to reorganize the cooperative accounting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ness of the cooperativ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e. It is also important to see its point of view while improving the legal system. Although it is needed to look at overseas cases, since socio-economic systems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it is natural to need our own legal system for cooperatives that can work smoothly in practice by examining similar cases in Korea.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cooperativ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연대 및 협동조합간 협동의 관점에서 본 이탈리아 협동조합 법제 -BCC 사례를 중심으로-

        송재일 ( Jae Il Song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14 협동조합경영연구 Vol.41 No.-

        이탈리아 협동조합은 협동조합기본법은 따로 없지만, 그보다 상위법인 헌법의 협동조합 지원조항, 그리고 민법전의 협동조합 관련 규정, 개별적인 협동조합법 등을 통해 협동조합 발전의 모델 국가로서 자리매김해 왔다. 이는 협동조합연대기금(Fondo Sviluppo)을 통해 협동조합의 인규베이팅과 상호자금지원 기능을 하여 이종 협동조합간에도 협동을 가능하게 하고 지역사회에서도 연대를 통한 지역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농촌형 신협인 이탈리아의 BCC(이하 BCC, Banche di Credito Cooperativo)2) 사례를 통해 이를 검토·분석하였다. 특히 BCC의 조합원제도는, 당초 농촌금고 성격에서 독일·프랑스처럼 지역주민에게도 열린 지역조합으로 변화되었다. 1993년의 은행법 개정은 EC의 은행규정에 맞추기 위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BCC의 조합원수도 증가하고, 기존 조합원인 농민이나 수공업자 그리고 지역주민 모두의 상생이 가능하였다고 평가된다. 즉, 이탈리아 협동조합의 성공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공헌자는 협동조합법제이다. 협동조합법제는 협동조합의 경제적 존속가능성을 강화하고, 협동조합에 그 이념을 견지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이탈리아의 사례는 우리나라 협동조합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먼저 협동조합간 협동의 관점에서 생산, 유통, 소비, 금융 각각의 부문에서 이종 협동조합 상호간 새로운 협력전략을 구축할 수가 있다. 이종협동조합간 협동을 이루지 못한 농협으로는 국민농업의 형성이 매우 어렵거나 부분적일수밖에 없다. 다행히 농협은 풍부한 자원과 조직, 인력을 이미 확보하고 있어 향후이종협동조합간의 협동과 협동조합진영의 지원과 방향 제시자로서의 큰 역할을 기대해본다. Italian legal system about cooperative is characterized to be incorporated in code civil. Though there has not been a special cooperative law, cooperative movement has well developed in field of community solidarity and cooperation among cooperatives. Especially BCC System has an unique of solidarity fund so called “Fondo Sviluppo”, while membership was opened widely to community. In this way, agricultural coop. could develope from industry coop. to community cooperative. This study also focuses the autonomy of articles of association, in another form of private autonomy in field of organization or groups when the individual cooperative regulates what membership is. Italian case studies are implied with the blooming age of cooperative and social economy in Korea from now on.

      • KCI등재

        유럽협동조합법원칙(PECOL) 상 협동조합의 정의와 목적 조항으로 살펴본 협동조합의 정체성과 역할

        송재일 ( Song Jae-il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0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8 No.3

        유럽연합(EU)에서는 기업 분야 공통법을 마련하려고 노력하여, 일반기업분야에서는 2001년 유럽회사법(SE)을, 협동조합분야에서는 2003년 유럽협동조합법(SCE)을 제정하였다. 유럽협동조합법의 시행에 따라 각국마다 상이한 국내 협동조합법을 비교 연구하여 공통규범을 만들려는 노력의 결실이 유럽협동조합법원칙(Principles of European Cooperative Law, 약칭 PECOL)이다. 이는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이 1995년 ‘협동조합 정체성 선언’에서 공표한 협동조합의 특성을 반영한 유럽협동 조합법을 실제 시행, 규제, 감독, 운영할 경우의 해석기준이 된다. PECOL은 회원국이 협동조합법제와 협동조합 관련 세법, 노동법 등을 개정할 때 입법기준이 되며, 유럽협동조합의 분쟁을 해결하는 규범이자 바람직한 미래상을 디자인하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이 글은 PECOL 중에서 제1장인 협동조합의 정의와 목적을 소개한다. PECOL의 특색은 1) 협동조합의 정의는 넓게, 2) 협동조합의 목적에서는 사회적 목적까지 포괄하고, 3) 다른 법률과의 관계에서는 협동조합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것과 정관자치(定款自治)를 강조하며, 4) 조합원자격에서는 다양성을, 5) 협동조합 거래에서는 완화된 기준과 협동조합의 목적 달성을 먼저 생각한다는 점이다. PECOL은 협동조합의 발상지이자 사회 전체에 뿌리를 잘 내린 유럽의 협동조합법 제정의 기본원칙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자료이다. 우리 법제는 주식회사 등 영리기업 중심의 상법체계, 비영리법인 중심의 민법체계라는 이원적 체제인데, 민주적ㆍ윤리적 기업형태인 협동조합은 독특한 면이 있어서 협동조합원칙과 실정법 사이에 모순, 충돌이 발생한다. PECOL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일정한 원칙을 제시하고 있기에, 향후 우리 협동조합법제의 발전방향을 모색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The European Union made a series of business law, such as Council Regulation, on the statute for a European Company (hereafter, SE) in 2001, and the Council Regulation on the Statute for a European Cooperative Society (hereafter, SCE, acronym for Societas Cooperativa Europaea in Latin) in 2003. They are two pillars of the corporate legal system, which means cooperatives are approved as democratic and ethical business in the market economy. Multi-national cooperatives can be established in the EU under the SCE, but new harmony is indispensable for conflict of law among members. Therefore, Principles of European Cooperative Law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s acronym, PECOL) showed up as a guideline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national co-operative laws in different countries in accordance with the SCE. PECOL focused on the ideal legal identity of cooperatives, drafted by a team of legal scholars, and aimed to describe the common core of European cooperative laws through a incorporated comparative stud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efinition and objectives of the cooperatives in PECOL. The peculiarity of PECOL is that 1) the definition of cooperatives is broader, 2) its purpose includes a social one, and 3) it emphasizes self-regulation, reflecting the unique nature of cooperatives in relation to other laws, 4) diversity in membership, and 5) taking cooperative transaction as the first goal with flexible tests. To sum up, this paper introduces the merits and newly innovative legal model from EU, so as to improve the current Korean cooperative leg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