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이트 칼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업무흐름을 중심으로 한 직무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송재승,김상직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1996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19 No.37

        A systematic study on the job process is required for effective and efficient control of human resource tha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the growth of the enterprise. This study, therefore, provides the practical model for the job analysis technology focusing on the job process as a tool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white collar workers.

      • KCI등재
      • 프로덕트 라인 개발에서 피쳐 모델의 명세화 기법

        송재승,김민성,박수용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11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고자 특정 영역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재사용을 높이려는 프로덕트 라인 개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프로덕트 라인 개발 방법에서는 영역 내의 여러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류하는데 피쳐 모델링이라는 분석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 피쳐 모델링에서는 피쳐를 비정형적으로 명세화하기 때문에 모호성, 이해의 오류, 잘못된 해석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피쳐를 추상화하여 도메인에 독립적인 메타 모델로 나타내고 정형화 기법을 도입하여 명세화 한다면 기존의 피쳐 모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메타 수준에서의 피쳐 모델링을 통하여 피쳐의 구조와 속성을 정의한 후 다중 패러다임 정형화 명세 언어를 사용하여 피쳐를 명세화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피쳐에 대한 정형화 명세 프로세스를 기술하였으며, 셋째, 명세화된 피쳐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피쳐 상호작용 관리기법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시된 피쳐의 정형화 명세 기법을 분산 미팅 스케줄러 시스템에 적용시켜보았다. In a feature modeling, problems such as ambiguities, interpretation errors, incompleteness, etc caused by informal specification occur in the modeling phase. Therefore, feature specification method and processe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structure and language of feature modeling is defined in this paper to specify various features. First, this feature model is abstracted in the meta-level to get predicates and attributes. Formal feature model specification method is proposed using multi-paradigm language. Second, Feature specification process is proposed to describe how to specify feature formally. And third, Feature interaction management is defin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etween specified features. Finally, the proposed feature spec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Distributed Meeting Scheduler System domain.

      •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중심 사물인터넷 표준 플랫폼

        송재승 한국통신학회 2021 정보와 통신 Vol.38 No.10

        본고에서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스마트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술을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표준 기술에 대해서 알아본다. 기존 표준 기반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다양한 공통 기능에 대한 표준을 개발함으로써, 사물인터넷 서비스들이 서비스 로직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었던 것과 같이,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에 필요로 되어지는 다양한 기술들을 IoT 플랫폼의 공통 표준 기능으로 인공지능 개발하는 표준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에서 전문가 그룹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 지원 표준 활동과 글로벌 사물인터넷 표준 기관인 oneM2M 에서 개발되는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서비스에 활용되는 데이터 관리 기능에 대한 표준 개발 현황에 대해 공유한다.

      • KCI등재

        프로덕트 라인 개발에서 피쳐 모델의 명세화 기법

        송재승,김민성,박수용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12

        In a feature modeling, problems such as ambiguities, interpretation errors, incompleteness, etc caused by informal specification occur in the modeling phase. Therefore, feature specification method and processe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to resolve these problems.The structure and language of feature modeling is defined in this paper to specify various features. First, this feature model is abstracted in the meta-level to get predicates and attributes. Formal feature model specification method is proposed using multi-paradigm language. Second, Feature specification process is proposed to describe how to specify feature formally. And third, Feature interaction management is defin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etween specified features. Finally, the proposed feature spec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Distributed Meeting Scheduler System domain.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고자 특정 영역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재사용을 높이려는 프로덕트 라인 개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프로덕트 라인 개발 방법에서는 영역 내의 여러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류하는데 피쳐 모델링이라는 분석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기존 피쳐 모델링에서는 피쳐를 비정형적으로 명세화하기 때문에 모호성, 이해의 오류, 잘못된 해석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피쳐를 추상화하여 도메인에 독립적인 메타 모델로 나타내고 정형화 기법을 도입하여 명세화 한다면 기존의 피쳐 모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메타 수준에서의 피쳐 모델링을 통하여 피쳐의 구조와 속성을 정의한 후 다중 패러다임 정형화 명세 언어를 사용하여 피쳐를 명세화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피쳐에 대한 정형화 명세 프로세스를 기술하였으며, 셋째, 명세화된 피쳐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피쳐 상호 작용 관리기법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시된 피쳐의 정형화 명세 기법을 분산 미팅 스케줄러 시스템에 적용시켜보았다.

      • SCIESCOPUSKCI등재

        Equivalent Pre- Xenon-Oscillation Method for Core Transient Simulation

        송재승,이창규,이정찬,유춘성,김용래,Song, J.S.,Lee, C.K.,Lee, C.C.,Yoo, C.S.,Kim, Y.R. Korean Nuclear Society 1995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27 No.6

        노심 천 이 현상의 모사계산을 위해서는 노심상태 의 초기조건을 실제노심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특히, 제논동특성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천이현상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추정이 불가능한 노심내 제논분포의 초기상태가 천이현상의 해석결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초기상태의 노심이 정확히 제논 평형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 노심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잘 예측하기 위해서는 비평형 제논분포를 모사하는 초기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이현상 이전에 관측된 비평형 제논진동을 등가 제논진동으로 모사하여 천이현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제논 초기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영광 3, 4호기 시운전 시험에서 입수된 실측자료를 통하여 그 적용성을 입증 하였다. The initial condition of a core transient should be consistent with real core state for the simulation of the core tansient. The initial xenon distribution, which can not be measured in the co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ient with xenon dynamics. In the simulation of the transient starting from non-equilibrium xenon state, the accurate initialization of the non-equilibrium xenon distribution is essential for the prediction of the core transient behavior. In this study, a xenon initialization method to predict the core transient more accurately was developed through the equivalent pre-xenon-oscillation which represents the tenon oscillation before the transient and verified by the application of the simulation for a startup test of Yonggwang Unit 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