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성선원(寶成禪院) 삼존불(三尊佛)의 복장전적(腹藏典籍) 연구(硏究)

        송일기,Song, Il-Gi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4

        이 연구는 보성선원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불 문수상 보현상 등 삼존불에서 수습된 복장전적에 대해 서지학적 측면에서 분석한 글이다. 보성선원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삼존불은 1647년 이전에 경상도 거창의 견암사(見巖寺)에서 조성되어 현재의 보성선원으로 이관된 불상이다. 삼존불 중 석가불에서 37책이, 문수상과 보현상에서는 각각 18책이 수습되어 전체 13종 73책에 달하는 복장전적이 수습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는 새로운 3종(화엄경, 금강경, 천태사교의집해)의 불교전적은 처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보성선원의 복장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13종 73책 중 경전류가 6종 65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이 중에는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간행된 5계통의 법화경 46책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판본은 불상이 조성된 이전에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개판된 사실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relics settled from the inside of Buddhist triad - Buddha,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 which is located in the main building of Boseong Temple. This Buddhist triad was made in Gyonam Temple in Geo Chang, Gyongsang-do before 1647 and transferred to Boseong Temple. It is revealed that this Buddhist triad has 13 kinds, 73 volumes altogether including 37 volumes from Buddha and 18 volumes from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each. Of these books, three kinds are founded for the first time. Also,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se sacred books, it is confirmed that most of the books, 6 kinds 65 volumes, are the Sutra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re are 5 kinds, 46 volumes in these Sutras which were published by Korea itself. Analysis shows that these publications were revised mostly in Jeolla-do and Gyeongsang-do before the Buddhist triad was made.

      • KCI등재

        開運寺 阿彌陀佛 腹藏本 「華嚴經」 硏究

        송일기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7 No.-

        Through analyzing physical features, this study attempts to ascertain the approximate date of making the Avatamska Sutras(華嚴經) found from the inside of Amitabha statue(阿彌陀佛) of Gaeunsa(開運寺) in Seoul.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all the Sutras of Gaeunsa have 17 characters per line, the same as other existing Sutras, but most of them have 26 lines per sheet. Since the Sutra was produced in scroll form with 26 lines per sheet and letters in the manuscript style, and its heading appeared in only one line, it could be estimated to be made in the 9th or 10th century. With this criteria, at least 4 volumes of the Avatamska Sutras are assumed to be made in the late Silla Dynasty, and considered as valuable as the National Treasures. The other 13 volumes are presumed to be made in the 12th century in the Goryo Dynasty. 이 연구는 서울 소재 개운사 아미타불좌상에서 수습된 복장전적 중 화엄경만을 대상으로 그 현상 및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여 대략적인 간사(刊寫)의 시기를 밝히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그리하여 각 장의 행자수를 분석해 본 결과, 자수(字數)는 모두 17자본으로 국내전본과 일치되고 있으나, 행수(行數)의 경우 사경과 판경 모두 대부분 26행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장정의 형태가 권자본인 불경의 경우에 있어서 권수제가 1행이면서 동시에 각 장이 26행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체(字體)에 사경체자가 보인다면, 대체로 9-10세기 사이에 刊寫된 자료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개운사 복장본 화엄경 20점 중에는 적어도 4점 이상이 신라하대에 간사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국보급 전적문화재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13점도 고려 초기 12세기 이전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麗代鮮初의 17字本 『法華經』 板本 硏究

        송일기,정왕근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9 No.-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characteristics of the 17-character editions of Beobhwagyeong (the Sutra of the Lotus, 法華經) published during Goryeo Period and early Joseon Period. There are 23 different Beobhwagyeong editions during the period. Among them, the 17-character editions were the most by 6 editions, 26%.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form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17-character editions, 2 editions were independently published in Korea while 4 editions were Song (宋) editions, which were the remaking or republishing of the Song (宋) edition.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standard to identify the type and line of the editions by analyzing ‘the number of character in a line’ and ‘the head title describing the detail of the edition’ of the 17-character editions published during Goryeo Period and early Joseon Period. It is hoped that the identification standard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be a help for the estimating of published year and classification of edition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이 연구는 고려시대로부터 조선 초기 사이에 간행된 법화경 가운데 17자본을 대상으로 그 형태적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해당시기에 간행된 법화경 판본은 모두 23종이 현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 중 17자본이 가장 많은 6종으로 전체 2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7자본을 대상으로 형태 서지학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간행한 판본이 2종이며, 송판본을 모본으로 복각 또는 번각한 송판계통이 4종으로 파악되었다. 고려에서 선초 사이에 간행된 법화경 판본 중 17자본을 대상으로 행자수 및 판수제 형식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서 판본의 유형과 계통을 식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별 기준을 참고하게 되면 이 시대에 간행된 판본의 분류와 간년 추정에 일정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泰仁 龍藏寺 開板佛事 硏究

        송일기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1 No.-

        This research deals with Buddhist scriptures which are published at Temple YongJang, Tae-In in Jeolla province in late Joseon dynasty of 1635. In those days, eleven series of the Buddhist scriptures had been published for three consecutive years at Temple YongJang. Mostly, those are prerequisite teaching textbooks for educating Buddhist monks at Temple and books of ritual which is necessary for performing Buddhist ceremony. Such a huge Buddhist scriptures publishing stuff had been done based on the great aspiration of Soyo Taeneung(逍遙太能)―the best disciple of Seosan(西山) and Byeogam Gakseong(碧巖覺性) who leaded the rebuilding temples after Japanese Invasion in 1592. Over 500 supporters including Choegyejjang(崔繼長), Shinbok(申福) participated in publishing books and covered the needed cost. Also, it is determined that twelve engravers, including Inhwa(印和) who are with many engraving experiences from several temples had participated in the actual process of publishing the Buddhist scripture with painter Gyehak(戒學) as central figure, and it had taken approximately fourteen months to complete. In conclusion, publishing the Buddhist scriptures was progressed in order to supplement some parts of the Buddhist scriptures which were disappeare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us, the intention was to distribute teaching materials and ritual of Buddhist scriptures which showed no historical evidence regarding publication by neighboring temples at that time. 이 글은 조선 후기 1635년에 전라도 태인 운주산에 소재하였던 용장사에서 개판한 불서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당시 용장사에서는 3여 년에 걸쳐 11종의 불서를 간행하였는데, 이들 불서는 주로 사찰의 승려교육에 필수적인 강원교재와 불교의식에 필요한 의례불서이다. 개판 불사는 당시 서산 문도의 최고 제자인 소요 태능과 임난 이후 중창불사를 주도한 벽암 각성 등의 발원으로 최계장과 신복 등 500여 명의 시주자가 참여하여 이 불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충당하였다. 그리고 실제 개판 작업에는 화사 계학을 중심으로 여러 사찰에서 각수 경험이 풍부한 으뜸 각수 인화 등 12명의 각수가 참여하여 대략 14개월에 걸쳐 완각해 냈던 것으로 파악했다. 결론적으로 이 개판불사는 임란 이후 산일된 불서를 보충할 목적으로 당시 주변 사찰에서 전혀 개판한 사실이 없는 강원교재류와 의례불서를 간행하여 인근 사찰에 보급할 의도에서 추진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六經合部」의 板本 硏究

        송일기,김유리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Yukgyeonghapbu is a scripture collection which had been published by binding six important scriptures of Mahayana Buddhism. This study identified the publication history of Yukgyeonghapbu and analyzed them by classifying the participating persons recorded in each edition by their function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prefaces of various Yukgyeonghapbu editions and studied the purpose of editing/publishing of Yukgyeonghapbu. It was possible to find 49 different editions of Yukgyeonghapbu however, only 30 of them were studied. 19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changed in later period. It was possible to find the first publishing of Yukgyeonghapbu in the preface by Seong Dal-saeng in the first edition of Yukgyeonghapbu published by Ansim-sa Temple(安心寺) in the year 1424. There had been a Geumgang Scripture edition which had been previously transcribed by Choi Sa-rip; however, it was difficult to read because it had been too old and deteriorated. Accordingly, the ascetic Shin Hyeon asked Seong Dal-saeng to transcribe Geumgang Scripture again. Seong Dal-saeng agreed and he further included five more important scriptures, in addition to Geumgang Scripture. This became the first Yukgyeonghapbu. The result of analysis on 30 kinds of editions was that 28 out of 30 had been first published before the Imjin Waeran War (Japanese invasion to Joseon in 16th century). They had been mainly publish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ll editions used relatively simple style by using Sajoo(世祖) Danbyeon style (text in rectangular box made of single line, 四周單邊) and 8-row/17-character format. Ansim-sa Temple which first published Yukgyeonghapbu is located in Gosan, Cholla-do Province. Since then Chollado area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Yukgyeonghapbu editions continuously. 이 글은 대승경전의 주요경전으로 꼽히는 6종의 불경을 합부하여 편찬 간행한 「六經合部」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六經合部」의 간행현황을 파악하고, 판본에 기록된 참여자를 역할별로 나누어 분석했다. 또한 이 책이 처음으로 간행될 때 수록된 성달생의 발문을 분석하여 편찬 및 간행 동기를 고찰했다. 이 책은 전국적으로 49종의 판본을 발견했지만 후대에 변용이 일어난 19종의 판본을 제외한 30종의 판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이 책은 1424년 안심사에서 도인 신현이 성달생에게 금강경을 필서해 줄 것을 요청했는데, 이에 성달생은 금강경 이외에도 당시 수행인들이 존중했던 5종의 불교경전을 함께 필서하여 간행하였다. 연구대상본 30종의 판본을 분석한 결과, 이 중 28종이 임진왜란 이전에 개판되어 조선 초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던 사실을 조사하였다. 모든 판본의 형태적 특징이 사주단변과 8행17자의 판식을 준용해서 비교적 단순한 판식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 분석을 통해 전라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판본이 개판되었는데, 이는 전라도 안심사에서 처음으로 「六經合部」가 개판된 이래 이 지역을 중심으로 간행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 생전예수재 의식집 <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의 서지적 연구

        송일기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2

        Yesusiwangsaengchiljaeuichanyo is published when most of the Buddhist ritual books in Joseon tend to be edited and compiled in a format suitable for Korean Buddhist rituals. However, in the compilation of this book,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more than 110 years difference between the editor’s lifetime and the date of compilation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rituals in a compil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I tried to shed light on one side of this problem by examining all the editions of ‘Yesujae’ published in the Joseon period and analyzing their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book’s preface, the editor’s name is Daeu (大愚), who live in Yeongam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the 18the century), so scholars have accepted without doubt. However, since there is a time difference of more than 110 years between the publication date and the birth year of Daeu,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mpiling Daeu from Yeongam. Currently, it is thought that there must have been another Daeu who lived in the late 16th century.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is book compiles the main contents of Jungnyemun, another ritual book, but it refers to various rituals other than Jungnyemun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 of the time. Furthermore,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donors of Buddhist believers mainly contributed to publish ‘Yesuja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hat it was established as a folk Buddhist ritual from its beginnings. 임란 이후, 조선의 불교의 의식집은 대부분 조선의 불교 의례에 적합한 형식으로수정되어 간략하게 편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조선에서 편찬된생전예수재 설행에 기본 의식집인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預修十王生七齋儀纂 要, 이하 예수재로 줄임)가 등장하였다. 그런데 이 예수재의 편찬에는 종래 알려진 찬자의 출생년과 편찬 시기와의 차이, 편성과정에서의다른 의식집과의 연관성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필자는 이 글에서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예수재 판본을 모두 조사하고 이들의 서지적 특징을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의 일단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예수재 의식집의 권수제(卷首題)에는 대우(大愚)가 집술(集述)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종래 학계에서는 이 찬자를 아무런 의심도 없이 조선 후기 영조 때 주로활동했던 영암 출신의 대우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간행시기와 대우의 출생연도와는 무렵 110년 이상의 시차를 보이고 있기에, 영암 출신의 대우의 편찬 가능성은 전무한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로서는 16세기 후반에 조선에서 활동했던 ‘同名異人’ 의 또 다른 대우(大愚)가 존재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우는 단순하게 중례문의 주요 내용을 선편해서 편찬한 것이 아니라, 중례문 외에 다양한 의식집을참고해서 당시의 상황에 맞게 성편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예수재 의식집은 주로 승속인의 시주에 의해서 간행되었다는 사실로미루어보아 생전예수재는 그 출발부터 민간의 불교 의식으로 정착되었다는 점에서주목해 볼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조선시대 목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송일기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2 No.-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books printed using wooden typ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a bibliographical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24 kinds of Buddhist books published using wooden typ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at currently exist. In terms of the types used for publication, there were 6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Eulyuja type, 3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Inkyongja, 6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Bokwangsaja, 2 kinds of printed editions by Bonginsaja, 6 kind of printed editions of Buddhist Monk books by different wooden type. Among them, The Buddhist books printed using Eulyuja type and Bogwangsaja were 50 % of total with the highest quantity of 12 kinds. In terms of periods of publication, it was found that 9 kinds and 15 kinds of Buddhists books were published respectively in the first and latter parts of Joseon Dynasty periods. Among them, there were 14 kinds of editions published during the King Sejo and Kojong period that occupied 58% of total. Such a phenomenon was deeply due to King Sejo's Buddhism-friendly tendency and shows that continuous Buddhistic service with court ladies were continued through the whole Dynasty to King Kojong. 이 연구는 조선시대 목활자로 간인한 불교서적에 대해서 서지학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목활자로 간행한 불교서적은 모두 24종이 현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간행에 사용한 활자별로 분석해 보면, 을유자체자본이 6종, 인경자본이 3종, 보광사자본이 6종, 봉인사자본이 2종으로 파악되었으며, 그리고 고승문집이 6종이 목활자로 인출된 사실이 밝혀졌다. 그 중 을유자체자와 보광사자로 간인된 불서가 12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어 전체 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를 간행시기로 분석한 결과, 조선전기에는 9종이, 조선후기에는 15종의 불교서적이 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세조와 고종 대에 간행된 목활자본은 14종으로 조사되어 전체 58%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조의 호불적 성향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고종대의 상궁을 중심으로 왕실에 여전히 신불 행위가 지속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睡隱 姜沆 編撰 『看羊錄』의 校勘 硏究

        송일기,안현주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보 Vol.0 No.33

        이 연구는 간양록의 내산서원 소장 필사본과 후대에 간행한 목판본을 교감하여 필사본의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교감결과 176 곳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그 중 <적중봉소> 부분에서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내산본에서 중복된 내용을 삭제하거나, 수정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내산서원 필사본은 목판본에 앞서 작성된 원고본의 일종으로 판단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aesan- seowon-b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versions, ‘Naesan-seowon- bon’ and woodblock edition of Gan-yang-rok. As the result, there are 176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ersions. In the text, most differences were found at <Chukchung-bongso>. It is concluded that woodblock edition was published after deleting and correcting overlapping sentences or paragraphs on ‘Naesan-seowon- bon’. Finally ‘Naesan-seowon-bon’ is thought to be the original version.

      • KCI등재

        불교의례서 「中禮文」의 編纂考

        송일기,한지희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ompiling Jungryemun(中禮文) whose original title is Ch'ŏ'njimyŏngyangsuryukchae'ŭichanyo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Jungryemun is the manual of Shuilu, that is, Buddhistic ritual for delivering the spirits of all creatures of land and water. In this research, some manuals of Buddhistic rituals which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Jungryemu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shows that Tiandi mingyang shuilu yiwen written by Yang E(楊諤)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was later summed up and edited by Zikui(仔夔) as Tiandi mingyang shuilu yiwen in one hundred chapters.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is manual of Chinese rituals, Jungryemun was later compiled by Jugam, a Buddhist monk in the Goryeo Period. Among many manuals of Shuilu, Jungryemun was so detailed and well organized that it was frequently published and had much influence on the publication of manuals of Shuilu in the later period. 「중례문(中禮文)」은 수륙재(水陸齋)를 설행(設行)하기 위한 절차를 기록한 의식집(儀式集)이다. 이 연구에서는 불교의례서인 「중례문」의 편찬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례문」의 편찬에 영향을 미친 의식집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례문」이 편찬된 과정과 「중례문」의 체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북송대 희녕(熙寧)연간에 양악(楊諤)이 편찬한 「천지명양수륙의문」을 산삭(刪削)하여 금(金)나라의 자기(仔夔)가 100편의 「천지명양수륙의문」을 찬집하였고, 이에 영향을 받아 1342년 고려의 승려 죽암(竹菴)이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즉 「중례문」을 편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중례문」은 많은 수륙재 의식집 중에서도 자세하고 정리가 잘 되어있어 빈번히 간행되었으며, 이후의 수륙재 의식집 간행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