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층건축공사 적시생산을 위한 관리모델 사례 -콘크리트 자재의 Life Cycle을 중심으로-

        송영석,임형철,최윤기,Song Young-Suk,Lim Hyung-Chul,Choi Yun-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2 No.4

        초고층 공사의 다양한 공정들을 정해진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최근 자재의 생산에서부터 현장반입, 설치에 이르는 자재 생애주기별 관리를 시스템화하고, 정보화하는 작업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건설공사에서의 자재 적시생산 개념은 초고층평면의 다양화 및 각종 새로운 설비, 자재들의 적용으로 인해서 앞으로도 건설프로젝트 각 부문별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적시생산의 기법을 활용한 그동안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자재의 생애주기(Life Cycle)을 고려한 현장 작업 흐름별 관리 포인트를 설정하여 적시생산 개념을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현장의 활용가능성 및 적용을 통한 검증의 용이성, 또한 현장 내부의 양중 및 소운반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낮은 골조공사로 연구범위를 설정하여 콘크리트와 철근자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골조공사에서의 적시생산(Just-In-Time) 개념 도입은 앞으로 커튼월, 가구공사, 창호공사, 철골 등의 부재로의 확대적용을 위한 방향성 제시를 함과 동시에 자재의 생애주기에 따른 정형화된 관리 운용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건설공사의 최종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Effectiveness of Just in time managing system can be obtained by removing unexpected lead-time and maintaining consistency on the physical transportation of construction resource. Construction resource management is essential on checking on load data from production of shop to field, and it is based on building resource life cycle information. In this study,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assembly disciplines of concrete construction should real time communications exchanging information related to shop-field with each other, Establishing information support system is an important initial step for promoting active cooperations among these resource life cycle on data flow. To achieve this, on suitable using management point, we suggest a concrete construction control model.

      •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기술

        송영석,이준환,최은영,박주호,이훈,Song, Y.,Lee, J.H.,Choi, E.,Park, J.,Lee, 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1 No.1

        이동통신 시스템은 무선 트래픽 공급의 양과 질 양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왔다.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및 태블릿 pc 등 이동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대규모 보급과 늘어난 사용자 트래픽의 증가로 기존 3GHz 이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통신 용량 측면에서 한계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와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가용 대역이 풍부한 mmWave의 5세대 이동통신 활용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mmWave 대역을 위한 5G 표준화 동향과 채널 모델링, mmWave 대역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기술 및 현재까지 ETRI를 비롯한 여러 회사에서 개발되거나 개발 중인 mmWave 이동통신 시스템을 소개한다.

      • KCI등재

        산불발생지역에서 상부토층의 공학적 특성 변화

        송영석,채병곤,김경수,Song, Young-Suk,Chae, Byung-Gon,Kim, Kyoung-Su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2

        산불이 발생될 경우 상부 토층의 공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게 되고, 이러한 변화는 산사태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산불로 인한 토질의 공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토질시료를 채취하여 각종 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토질시료는 최근 산불이 발생된 강원도 양양일대에서 채취하였다. 그리고 산불로 인하여 상부토층이 연소된 정도에 따라 완전연소구간, 중간연소구간, 산불 미발생구간으로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각 구간에서의 토질시험결과, 완전 및 중간연소구간에서의 비중과 건조단위중량은 산불 미발생구간에서 보다 작게 발생된다. 이는 산불로 인하여 흙입자의 전기력 및 이온 성분 변화와 토질 내 유기물이 연소되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투수계수는 중간연소구간에서 가장 작게 나타나고, 완전연소구간에서는 가장 크게 나타난다. 산불이 발생될 경우 토층상부에는 불투수성의 막이 형성되는데 이는 중간연소구간에서는 존재하지만 완전연소구간에서는 붕괴가 발생된다. 즉, 약 $400^{\circ}C$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는 불투성의 막이 붕괴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surface soils in natural terrain are changed due to wildfire. This change of engineering properties induced by wildfire is related to landslides occurrence.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oil properties caused by wildfire, the various soil tests are performed. The soil samples are obtained from the recently burned slopes of Yangyang area, Kangwon Province. The soil samples obtained from the burned slop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burning grade: the perfect burning grade, the intermediate burning grade, the non-burning grade. As the result of tests, the specific gravity and the dry unit weight of soils obtained from perfect and alternative burning grades are less than those of soils obtained from non-burning grade. It judges that an electronic force, ionic components and of soils are changed and organic matters in soils are burned by wildfire. The permeability of soil obtained from alternative burning grade is the lowest and that of soil obtained from perfect burning grade is the highest. The water-repellent layer is formed on soil surface by wildfire. The water-repellent layer is existed at the area of alternative turning grade, while the layer is not existed at the area of perfect burning grade. The water-repellent layer is collapsed in high temperature more than about $400^{\circ}C$.

      • KCI등재

        주문진 표준사의 상대밀도에 따른 불포화 투수계수함수 산정

        송영석,Song, Young-Suk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불포화 조건에서 흙의 초기 밀도에 따라 흙-함수특성곡선이 변화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불포화 조건에서 투수특성도 변화하게 된다. 이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상대밀도 40%, 60% 및 75%의 주문진 표준사에 대한 건조 및 습윤과정에서의 흙-함수특성곡선(SWCC)과 불포화 투수계수함수를 산정하였다. van Genuchten (1980)의 방법을 이용하여 흙-함수특성곡선(SWCC)을 산정한 결과 공기유입값과 관계된 계수 ${\alpha}$는 습윤과정에서 더 큰 값을 가지며, 변곡점의 경사에 관계된 계수 n과 잔류함수비에 관계된 계수 m은 건조과정에서 더 큰 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대밀도가 증가할수록 공기함입치는 증가하지만 수분함입치는 감소하며, 동일한 상대밀도에서 공기함입치는 수분함입치보다 크게 발생된다. 한편, 계수추정방법 가운데 하나인 van Genuchten (1980)의 방법을 적용하여 불포화 투수계수함수를 산정한 결과 불포화 투수계수는 포화시 투수계수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공기함입치 혹은 수분함입치 직전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과정에서의 포화투수계수는 습윤과정에서의 포화투수계수보다 크게 나타나며, 상대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조 및 습윤과정에서의 포화투수계수는 감소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주문진 표준사의 초기 간극비에 따라 흙-함수특성곡선(SWCC)에서의 공기함입치(AEV)는 감소하고 포화투수계수는 증가하므로, 흙-함수특성곡선(SWCC)과 불포화 투수계수함수(HCF)는 초기 간극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oil-Water Characteristics Curve (SWCC) is affected by the initial density of soil under unsaturated condition. Also, the characteristic of hydraulic conductivity is changed by the initial density of soil. To study the effect of initial density of unsaturated soil, SWCC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Function (HCF) of Jumoonjin sand with various relative densities, 40%, 60% and 75% were measured in both drying and wetting processes. As the results of SWCC estimated by van Genuchten (1980) model, the parameter related to Air Entry Value(AEV), ${\alpha}$ in the wetting process is larger than that in drying process, but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SWCC slope, n and the residual water content, m are larger than those in wetting process. The AEV is increased or Water Entry Value (WEV)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lative density of sand. The AEV is larger than the WEV at the same relative density of sand. As the results of HCF estimated by van Genuchten (1980) model which is one of the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the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maintained at a saturated one in the low level of matric suctions and then suddenly decreased just before the AEV or the WEV.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drying process is larger than that in wetting process.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lative density of sand in both drying and wetting processes. Also, the hysteresis in unsaturated HCFs between drying and wetting process was occurred like the hysteresis in SWCC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AEV on SWCC is decreased and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itial density. It means that SWCC and HCF are affected by the initial density in the unsaturated soil.

      • KCI등재

        급경사지재해 안정화기술에 대한 특허분석

        송영석 ( Young Suk Song ),김재곤 ( Jae Gon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10 지질공학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재해 안정화기술 분야에 관하여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에서 출원 공개/등록된 특허를 중심으로 특허동향을 분석하였다. 중분류는 예측기술, 계측기술, 대책/보강/저감기술, 실내실험과 같이 4개로 분류하였으며, 2,134건의 최종 유효 분석대상 특허를 선별하였다. 특허건수와 출원인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포트폴리오 분석결과 한국 및 미국의 경우 발전기 단계에 있으며, 일본과 유럽의 경우 퇴조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경우 국가주도의 연구활동으로 인하여 특허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분류 기술 분야별 분석 결과, 일본은 급경사재해 예측분야, 미국은 급경사재해 실내실험분야가 각 국가의 경쟁력 분야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한국의 경우 급경사재해 예측과 급경사재해실내실험 분야가 공백기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술별 향후 연구개발 방향을 정리하면 예측기술 분야에서는 신규 유한요소해석 방법 또는 수치해석 모델 정립이 필요하고, 계측기술 분야에서는 센서개발기술, 정보취합을 통한 재해예측기술, IT기술과 융합을 통한 장치관련 기술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재해/대책/저감기술 분야에서는 기존 사방구조물의 개량, 차별화된 사면보강공법 등의 개발이 필요하며 실내실험분야에서는 새로운 최적화된 구조의 실험장치 또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We analyzed patent trends regarding stabilization technology for steep slope hazards, focusing on patents applied for and registered in Korea, the USA, Japan, and Europe. The technology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t the second classification step: prediction techniques, instrumentation techniques, countermeasure/reinforcement/mitigation techniques, and laboratory tests. A total of 2,134 patent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effective analysis. As a result of portfolio analysis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atents and the applicant for each patent, the Korean and USA situations wer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developing period, and the Japanese and European situations wer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ebbing period. In particular, patent activity in Korea has been enlivened by government-led research. As a result of technology analysis at the second classification step, prediction techniques arising from Japan are evaluated as a competitive power technique, and laboratory tests arising from the USA are evaluated as a competitive power technique. However, prediction techniques and laboratory tests arising from Korea are evaluated as a blank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s regarding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s, a new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and a numerical model should be established as part of prediction techniques, as well as sensors, and hazard prediction should be developed by integrating information and equipment using IT technology as part of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addition, improvements to existing structures for erosion control and the development of new slope-reinforcement methods are required as part of countermeasure/ reinforcement/mitigation techniques, and new laboratory apparatus and methods with an optimizing structure should be developed as part of laboratory tests.

      • KCI등재

        독도 동도지역의 토질특성 및 산사태가능성 조사

        송영석 ( Young Suk Song ),채병곤 ( Byung Gon Chae ),조용찬 ( Yong Chan Cho ),이춘오 ( Choon Oh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독도 동도지역의 토질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산사태발생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독도의 동도지역에 대한 토층분포 및 심도를 조사하고, 토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동도지역의 토층은 일부구간에 부분적으로 분포해 있으며, 토층의 심도는 1~50 cm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층의 심도는 대부분 구간에서 10 cm 내외로 존재하고 있다. 토질은 모암의 오랜 풍화로 인하여 생성된 풍화잔류토층으로서 썩은 나무뿌리 혹은 나뭇잎과 같은 유기물 성분이 매우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토질의 함수비는 평균 23.2%, 액성한계는 평균 42.2%이며, 비소성(non-plastic)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 입도분포가 불량한 모래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부 롬(loam)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상지역에 대한 토층의 발달양상을 파악하여 독도 동도지역의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구간에서 토층의 심도가 매우 얕고 토층의 분포지역이 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산사태 발생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the landslide probability are investigated in East Island of Dok-do. The distribution and depth of soil layer were investigated and the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oil layer in East Island. As the results of field investigation, the soil layer was partly distributed in specific location and the soil depth was ranged from 1cm to 50cm. Also, the soil depth was mainly ranged about 10cm in the large part of soil layer. The soils were classed as the weathered residual soils and involved many organic contents such as rotten roots and leaves. The average of water contents is 23.2%, and the average of liquid limits is 42.2%. Also, the soils is non-plastic condition. Also, the soils were mainly classed as the poor graded sand including loam contents. Meanwhile, the landslide probability was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of the soil layer distribution in East Island. The soil depth was very shallow in the large part of the soil layer, and the distribution area of soil layer was small. Therefore, it may predict that the landslide probability is very low due to the dissatisfa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condition.

      • KCI등재

        강우특성을 고려한 배수로 유지관리 방안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전환돈(Jun, Hwandon),김상단(Kim, Sangd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3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rainfall events and, consequently, the sedimentation of soil and debris in drainage. The decrease of discharge cross-section can cause sediment disaster due to drainage overflowing. Moreover, it can create inundation damage due to the inflow of soil and debris into sewerage. Therefore, a maintenance plan is required to treat the soil and debris in order to secure the function of drainag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design standard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the sedimentation of soil and debris flowing into drainage by monitoring an experimental basin.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drainage maintenance were required when total rainfall was equal to or larger than 30 mm or maximum rainfall intensity was equal to or higher than 9 mm/hr. In addition, a formula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debris sedimentation according to total rainfall is suggested.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발생의 증가는 토사 및 유송잡물의 배수로 퇴적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수로의 통수단면적 감소는 배수로 월류에 따른 토사재해가 발생하고 토사 및 유송잡물의 하수관거 유입으로 내수침수피해를 발생시킨다. 배수로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토사 및 유송잡물을 처리하는 유지관리방안이 필요하나 설계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유역의 모니터링을 통해 강우특성에 따라 배수로에 유입되는 토사와 유송잡물이 퇴적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강우량이 30 mm 이상이거나 최대 강우강도가 9 mm/hr 이상 발생할 때 배수로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총강우량에 따른 유송잡물 퇴적량 산정식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