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남성의 가족관계에서의 분노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송미경 ( Mikyoung Song ),이은경 ( Eunkyoung Lea ),양난미 ( Nanmee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남성이 가족관계에서 경험하는 분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년남성 20명(44~59세)을 심층면접 후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년남성의 가족관계에서 분노경험의 중심현상은 ‘상처받기 쉬운 자존심’이었다. 이는 ‘기대대로 되지않음’과 ‘무시당함’이 원인이 되어 ‘지위의 변화’,‘ 나이들어감에 대한 지각’, ‘가족가치와 가장역할에 대한 인식변화’의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경제적 부담’ ‘지지집단’ ‘가족의 정서적지지’, ‘화에 대한 인식변화’가 분노경험을 조절 혹은 억제하며 ‘폭발하기’, ‘회피하기’, ‘홀로견디기’, ‘자각하기’, ‘내려놓기’, ‘대화시도하기’가 상호작용전략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을 위한 실천적 제언으로 가족관계 프로그램과 중년 남성을 위한 심리지원 서비스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iddle-aged men’s anger experience in family relationships an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20 middle-aged men(44 to 59 age)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The central phenomenon was ‘vulnerable pride.’ ‘Not expected’ and ‘disappreciated’ were the causal conditions and ‘status change’, ‘perception of aging’, and ‘perception change of family value/role’ were contextual conditions. Financial burden, family and surrounding support, change of anger perception mediated the experience of anger. Interaction strategies were explosion or avoidance of anger, enduring, self-awareness, put down, and trying to communication. Suggestions for participants are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family relationship program and psychological service.

      • KCI등재

        <전우치전> 속 ‘구원받는 약자’의 결함과 그 의미

        송미경(Song, Mikyou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본 논문에서는 경판 37장본 <전우치전>에 나타나는 ‘구원받는 약자’ 형상에 주목하여 이들이 지니는 결함과 그 의미를 고찰하여 보았다. <전우치전>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결함’ 있는 인물들이 고난을 겪다가 전우치의 도술로 구제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7단락의 ‘이가’는 왕가의 부인 즉 유부녀와 사통하는 죄를 저지른 인물로, 그에게는 명백한 윤리적 ‘결함’이 있었다. 10단락의 ‘장계창’은 회계 장부를 잘못 작성해 국고의 손해를 초래한 인물로, 실수라고는 하나 그의 죄 역시 분명 ‘결함’이었다. 11단락의 ‘한재경’은 물욕에 눈이 멀어 전우치가 준 족자 속 창고를 자신의 것으로 여기다 그 실제 주인인 관가에 잡혀 간 인물로, 그에게는 과도한 욕심이라는 ‘결함’이 있었다. 이처럼 <전우치전> 속 ‘구원받는 약자’는 그저 선하기만 하고, 아무런 흠결 없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한편 이들은 전우치의 도술로 구원되었지만, 그 ‘결함’은 해소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았다. ‘이가’·‘장계창’·‘한ᄌᆡ경’이 처한 죽을 위기의 부당함, 신비하고 초월적인 도술이 동반되는 전우치의 구원 행위에 서사의 초점이 맞추어지면서, 그들의 죄나 흠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고 만 것이다. 이 서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작품 내적으로 보면, ‘구원받는 약자’들의 처지나 결함이 주인공 전우치의 그것과 직간접적으로 통한다. 전우치는 민중적 성격을 지닌 불완전한 주인공으로, 그 자신부터가 약자들의 사정에 민감하며, 선/악 구도만으로 단정 짓기 어려운 인물이다. 결함의 설정은 주인공에서부터 부수적인 인물에 이르기까지 작품이 인물을 보다 역동적으로 형상화하는 하나의 방식이자, 작품 전반에 흐르는 독특한 미감을 조성하는 요인이 된다. 다음, 작품 외적인 의미는 독자의 비판적 인식과 관련된다. ‘구원받는 약자’들이 겪는 위기는 대부분 국가 또는 관리의 무능이나 횡포에서 비롯되며, 이는 ‘구원받는 약자’들이 지니는 결함보다 훨씬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주인공 전우치가 도술로 이들을 구원하는 행위가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나, 독자들에게는 적어도 해당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이때 결함의 설정은 ‘구원받는 약자’로서의 백성에 대한 독자의 동질감 형성에 기여하면서 해당 문제를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그래서 더욱 중요한 일상의 문제로 바라보게 한다. 경판 37장본 <전우치전>이 성취한 ‘구원받는 약자’의 입체적인 형상화는 이처럼 나름의 유의미한 서사 전략이었으나 후대로 가면서 점차 그 성격이 변모하였다. 경판 22장본, 17장본으로 가면서는 흥미 본위의 도술담에 밀려 백성 구원의 서사 자체가 소략하게 다루어지게 되었으며, 활자본인 신문관본 및 그 독서 경험에 근거한 20세기의 한 설화에 이르러서는 주인공 전우치의 ‘선한’ 민중 영웅적 성격이 강화됨에 따라 ‘구원받는 약자’ 형상은 상대적으로 단순화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Weak Man Saved" features in the Gyeongpan 37-leaf-version Jeon Woochi-jeon and examines their meaning and flaw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defects, it is often found that negative characters, after suffering hardships, are saved by Jeon Woochi"s Taoist magic after suffering hardships. In the seventh paragraph, Mr. Lee commits adultery with Wang"s wife; he thus had a clear ethical defect. Jang Gyechang, who appears in the tenth paragraph, causes damages to national property by incorrectly filling the accounting books; although this was a mistake, his crime was a clear flaw. In the eleventh paragraph, Han Jaekyung is blinded by greed and claim that the warehouse drawn in the magic scroll given by Jeon Woochi is his own; his defect is thus excessive greed. The "Weak Man Saved" in Jeon Woochi-jeon are not nice and flawless. Although they were saved by Jeon Woochi"s Taoist magic, their "defects" remained. Their sins or faults are hidden when the narrative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deaths of Mr. Lee, Jang Gyechang, and Han Jaekyung were unjust and the rescue was due to mysterious and transcendent Taoist magic. The meaning of this narrative is as follows. First, the situation or defects of the "Weak Man Save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 with those of the main character Jeon Woochi. Jeon Woochi is an incomplete protagonist but a popular character; he is a person who is sensitive to the difficulties of the weak, and it is difficult to conclude by good/evil alone. The defects are way to more dynamically shape characters, from the protagonist to the extras. They create a unique aesthetic that flows throughout the work. The following extrinsic meaning relates to the reader"s critical perception. Most of the crises faced by the underprivileged stem from the incompetence or tyranny of the state or management, which is treated as far more important than the defects of the underprivileged. The main character Jeon Woochi"s act of saving the weak with magic does not play a fundamental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 but it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readers to recognize the problems critically. Moreover, the setting of the defects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 sense of homogeneity with the people who are saved, while viewing the problem as a more important everyday issue that can happen to anyone. The stereoscopic representation of the "Weak Man Saved" achieved by the Gyungpan 37-leaf-version Jeon Woochi-jeon was a meaningful narrative strategy, but the character gradually changed as it progressed. The Gyungpan 22-leaf-version and 17-leaf-version were increasingly dependent on the interesting story of Taoist magic and summarized the story of saving the people. In the printed version of Jeon Woochi-jeon and one narrative of the twentieth century, as Jeon Woochi"s public heroism increased, the "Weak Man Saved" was relatively simplifi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대 피해 청소년에 대한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

        정진(Jin Jung),송미경(Mikyoung Song) 한국심리치료학회 2024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 피해 청소년에 대한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을 심도 깊게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대 피해 청소년을 만나는 상담자 8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상황적 구조는 10개의 구성요소와 22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전개되었다. 일반적 구조는 내현적 반응과 외현적 반응은 순환적 관계를 가지며 그 과정에서 맥락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질적 의미는‘학대 피해 청소년과 상담자의 사랑 받고 싶은 어린 자아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났다. 부연하면, 학대 피해 청소년과 상담자의 인간적이며 연약한 어린 자아 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나타나는 혼돈의 경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학대 피해 청소년을 만나는 상담자의 전문적 역할에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역전이 관련 슈퍼비전과 교육 분석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 of abusive victim you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unselors who met abused adolescents and analyzed using phenomenology metho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irst confirmed that the situational structure was developed according to 10 components and 22 sub- components. The essential meaning appeared to b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young self of abusive victim youth and the counselor who want to be loved.’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as an experience of confusion that occurs between the abused youth and the counselor’s human and vulnerable young sel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 supervision for counselors who meet abusive victim youth. Additionally,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 간 공격성, 인지조절전략 및 행복 차이

        양난미(Yang, NanMee),이정훈(Lee, JeongHun),송미경(Song, Mikyoung),이은경(Lea, Eunk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1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이 공격성, 인지조절전략, 행복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0~65세의 중년 4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 1 높은 분노관여 집단, 군집 2 적응적 분노조절 집단, 군집 3 억제 및 표출집단, 군집 4 낮은 분노관여 집단으로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에 따른 하위집단을 다른 연령대와 비교한 결과, 연령대별로 분노표현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억제 및 표출 집단은 신체적 공격성과 언어적 공격성이 높고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을 사용하며 행복 수준이 낮아 4개 군집 중에서 가장 부적응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의 분노표현 양식과 적응적인 삶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ubgroup of middle-aged people according to anger expression styles and their differences on the scores of aggress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happiness. 409 surveys of middle-aged people between 40 and 60 years old were analyzed. A result suggested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 (high anger-involving group, adaptive anger-control group,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and low anger-involving group). By comparing anger expression subgroups of middle-age to other ag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anger expression by age. Moreover,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showed most maladaptive aspect in 4 clusters with high physical and verbal aggression, low happiness and using maladaptive strategy than adaptive i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inally, this study ends with the discussion of the anger expression styles and adaptative life of middl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