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청소년의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중심으로-

        손윤영,우덕상,김민,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8 국악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5~6학년 생활화 영역에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가 도입된 것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정규 음악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집단 국악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여 국악수업을 통한 국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중 생활화 영역 중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와 국악교육 영역의 2015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을 분석 후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예시도 분석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초등 5~6학년 대상으로 전통음악 요소와 국악치료 기법을 융합하여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치료목적으로 집단치료활동중심의 학습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국악치료가 초등 5~6학년 음악수업 시간에 자연스럽게 도입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국악치료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집중력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선호하는 국악 듣기, 민요 메기고 받으며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해 노래하기, 자기순서가 될 때까지 기다리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자기 순번에 노래하기, 장단과 간단한 가락 따라 하기, 합주, 합창, 율동에 자기 순서를 기다렸다가 국악 활동에 참여하기, 장단에 맞추어 신체표현하기, 가락선을 그리고 표현하기, 1인 1국악기 배우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성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가락 바꾸기, 오음음계 활동, 인간조각 기법, 노랫말 바꾸기, 말붙임새 붙이기, 즉흥연주, 국악적 대화, 가락 창작, 즉흥 노래 부르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을 수업에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였으나 집중력․창의성 증진에는 놀라울 만한 긍정적 치유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행해졌던 국악치료교육을 정규 음악시간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했으며, 다문화가정, 탈북가정, 특수아, 중증 장애 등의 학생으로 행해졌던 소수의 치료대상을 일반학생으로 전체 확산 시켜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초기 단계에서 발견 될 수 있는 집중력 저하로 인한 수업 부적응이나 부족한 창의성 등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담임교사나 음악 전담교사가 음악시간을 통해 5~6학년 학생들의 유전적 DNA와 사회적 DNA를 함께 공유하는 전통음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를 해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교육과 국악치료를 융합한 국악치료교육이 이제 학교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생활화해야 할 새로운 과제로 제시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커다란 의미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겠다.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o closely observe the introduction of the ‘music and health’ element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to music education for 5th and 6th grades. Based on this, it also aimed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with the use of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that could naturally combine Korean music therapy in regular music classes in conformity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u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therapy through Korean music classes. To this, the study examined ‘music and health’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he revised content of music curriculum for 5th and 6th grades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analyz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examples for each achievement criterion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posal development research II.' Combin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nd Korean music therapy skills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as a therapeutic purpose targeting 5th and 6th grades, the study verified its positive effect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a learning objective and a teaching-learning plan that centered on group therapy activities. Afterwards,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plan that enabled Korean music therapy to be seamlessly introduced to the 5th and 6th music classes and sought new direction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Korean music classes as follows. For the area of ​​concentration improvement, the plan include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one’s favorite Korean music, singing while responding to one’s given role in a call and respond form of folk songs, waiting for one’s turn and then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to sing in order, playing along rhythmic patterns and simple melodies, participating at Korean music activities such as ensemble, choir, dance in one’s turn, making physical expression to rhythmic patterns, expressing melodic contour, and learning an musical instrument. For the area of creativity enhancement, the plan included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a pentatonic scale, sculpture techniques for human figures, modifying lyrics, exploring rhythmic variations of lyrics, improvised performance, musical dialogue, melodic composition, and improvised singing. As a result of verify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but there was a remarkably positive healing effect on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improvement. Thi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platform to perform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regular music classes, which used to take place out of music classes or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time in previous studies. Also, the target recipients of therapy were restricted to a small number of groups, such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refugee childre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everely disabled students, but can be extended to all genera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justification and necessity of Korean music therapy in which homeroom teachers and music teachers should share the genetic DNA and social DNA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during music classes, while not neglecting class maladjustment or lack of creativity due to the deterioration of concentration that can be found at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that Korean music therapy, convergence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a new task to be made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music curriculum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 따른 진로목표의 차이

        손윤영,김민,김영인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8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dolescents' career goals in adolescenc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In order to do this, self-determination and career-goal motivation tests were conducted to high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Inchon. 273 out of 320 students' final data were analyze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SPSS statistics 21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and chi-squ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re high among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hile introjected motivation and identified motivation were high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group of students such as the male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female academic highschool students and the second year highschool students were highly-oriented in their career goals. While the group of first year academic highschool students were high in immersion. In addition, the 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stability factor and among the stability subscales, male academic highschool students and female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were high in career plan stability. Where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highschool students were high in career decision-making certain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he career goals had variables that affect and did not affect each other. In other words, whether amotivation and intrisic motivation increases or decreases the career goals that had much environmental influence were directedness and immersion. However, stability was not greatly affected by any mo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에 입각해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 따른 진로목표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고등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동기 검사와 진로목표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 27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여 t-test와 ANOVA, 카이제곱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서 특성화고는 무동기와 내재적 동기가 높았고, 인문계고는 부과된 동기와 확인된 동기가 높았다. 둘째, 진로목표에서 지향성이 높은 그룹은 특성화고 남학생과 인문계고 여학생, 그리고 2학년 학생들이었다. 그리고 몰입성이 높은 그룹은 인문계고와 1학년 학생들이었다. 또한, 안정성이 높은 그룹은 남학생이었고 안정성의 하위요인 중 진로계획 안정성이 높은 그룹은 인문계고 남학생과 특성화고 여학생이었으며 진로결정 확신성은 1, 2, 3학년 모두 높았다. 셋째, 자기결정성 동기유형과 진로목표의 관계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변인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변인도 있었다. 즉, 무동기와 내재적 동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마다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진로목표는 지향성과 몰입성 이었다. 그러나 안정성은 어떠한 동기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 小型 컴퓨터 效率向上을 위한 密結合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設計및 具現

        孫潤永,吳胄煥 영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85 연구보고 Vol.13 No.2

        As the cost of basic micro-computer decreases, it becomes economically feasible to connect many together, producing hardware configurations equalling or exceeding larger single process or systems in total computing ability, system flexibility, and performancecost ratio. In this paper, design and realization of master-slave type multiprocessor system with common memory are presented. The slave processor which is assigned tasks by a master shared main memory with the master-slave processor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are capable of running the CP/M operation system by itself. In case of a large scale matrix calculation, each of processors can do computation each partitioned matix in parallel, reducing overall excuting time. In other case of sort-merge processing on massive data, it may be possible to split up the job in a number of tasks and run each on a different processor individually. In other words, this mutiprocessor system which is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used for tasks that currently require large uniprocessor capable of executing the job.

      • KCI등재

        국악치료교육이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우덕상,손윤영,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classroom model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by reconstructing lesson plans of teaching-learning in various ways, thus employing group Korean music therapy classes in practice. The study recognized that 'music and health' was first introduced to the curricular elements in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for 5th and 6th graders under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was applied to school practice from 2019. I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by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lesson plans using traditional music elements. To thi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sic therapy and Korean music therapy for the past ten years were reviewed for analysis. The program for the study was designed targeting fifth and sixth graders of Dongdae elementary school in Ulsan.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veloped for Korean music therapy included creating one’s own songs, Korean music and writing, Korean music and dance, vocal psychotherapy, Korean music and relaxation, Korean music and recreation, respiratory retention and deep breathing, slow tempo and softness in dynamics. To promote ​​sociality,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veloped for Korean music therapy include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in groups, imitating sounds, transferring physical rhythms, improvising rhythms, playing motion musical instruments, therapy Nanta, playing together in gueum, and learning jandan in jangdan relays. By applying the instructional measures above to regular music class,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bility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Through this experimental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have a very positive therapeutic effect on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be able to apply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to all general students while it has been applied only to a few special subjects such as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ypically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r any other time but music class. It is also meaningful that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have educational and therapeutic effects at the same time that can allow character education and emotion-focused therapy and psychotherapy. 본 연구는 집단 국악치료 수업이 병행 가능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안을 다양하게 재구성하여 국악치료교육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수업모델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5~6학년군 생활화 영역 내용요소에 ‘음악과 건강’이 처음으로 도입되어 2019년부터 적용됨을 파악하고, 국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해 정서지능과 사회성증진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미리 알아보려 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10여 년간의 음악치료와 국악치료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울산의 동대초등학교 5~6학년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정서지능 증진영역에서는 나의 노래 만들기, 국악과 글, 국악과 춤, 노래심리치료, 국악 긴장 이완법, 국악유희기법, 호흡유지 연장활동, 느린 장단, 부드러운 세기 등을 활용하여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사회성 증진 영역에서는 집단 악기연주활동하기, 소리 모방 기법, 신체리듬 전달, 즉흥리듬연주법, 동작악기연주법, 치료난타, 구음으로 합주하기, 장단 릴레이로 장단 익히기 등을 활용하여 사회성 증진을 위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학교 음악정규 시간에 적용해봄으로써 수업 전과 수업 후에 달라진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 영역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번 실험연구를 통하여 국악치료교육이 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 영역에 매우 긍정적 치유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동안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다문화가정, 특수아동, 중증 장애 등 소수의 특정 대상에게만 적용하여 진행하던 국악치료교육을 본 연구를 통하여 모든 일반학생에게도 평소 국악 수업에 적용해 진행할 수 있다는 것에 커다란 의의가 있으며, 국악치료교육으로 인성교육과 정서․심리 치료를 함께 할 수 있는 교육적․치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 KCI등재

        소년원학교 청소년들의 수용생활 기간 동안의 환경생리학적인 연구

        추언아,남현우,정진성,박진선,손윤영,이정범 한국교정학회 2019 矯正硏究 Vol.29 No.3

        This study analyzed the environmental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female youths during their stay in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female juveniles. Red blood cells, platelets, and hemoglobin were analyz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ree months before and after no special program was conducted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juvenile females are highly stressed and depressed due to limitations of their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pressure during the stay. We also suggest an integrated program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tivities that can help them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a follow-up study as physiological tests.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여자 청소년들의 수용생활 기간 동안의 환경생리학적 변화를 알아보고, 향후 소년원생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치유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소년원학교 수용생활 기간 동안 자발적으로 치료프로그램 참여 활동에 따른 적극적인 실행이 없는 약 18세의 여자 소년원생 8명을 대상으로 특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고, 3개월 전과 후에 동일한 조건에서 채혈하였다. 면역지표와 Red blood cell, Platelet, Hemoglobin을 분석한 결과, Red blood cell, Platelet, Hemoglobin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년원학교 여자 청소년들이 수용 기간에 활동의 제한과 심리적 압박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우울이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심리적 표현과 신체적 활동 등이 매우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또한 소년원학교의 환경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신체, 심리 통합적 접근 프로그램 및 생리학적 검사 지표로써의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되는 통합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