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임상 ; 식이부전으로 소장 조영술을 시행 받은 조산아 46례의 임상적 고찰

        손세형 ( Se Hyung Son ),김윤주 ( Yoon Joo Kim ),이주영 ( Ju Young Lee ),이은희 ( Eun Hee Lee ),손진아 ( Jin A Sohn ),김은선 ( Eun Sun Kim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최중환 ( Jung Hwan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2

        목적: 조산아에서 식이 진행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조산아에서 소장조영술의 안정성과 유효성 평가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소장조영술의 최근 경험을 조사하여 조산아에서 식이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46명의 조산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재태기간과 평균출생체중은 각각 30(+1)±3(+5)주(24-36주), 1,435±623g (460-2,810g)이었다.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평균 수태후 연령은 37(+2)±4(+2)주(중간값 36(+2)주, 27(+2)-45(+4)주)였고 이는 생후 46.8±27.3일(5-126일)에 시행되었다.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결과에서 기계적 장폐색이 없었던 경우는 29명(63%)이었고 이들 중 22명(47.8%)은 위장관 이행 시간이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완전 장관 영양에 도달하였고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11.2일이었다(중간값 6일).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신생아들을 출생체중에 따라 1.5kg 미만 군과 1.5kg 이상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 27명, 19명이었다. 1.5 kg 이상 군에서는 검사를 더 일찍 시행하였다(P=0.027). 1.5kg 미만 군에서는 27명 중 15명(55.6%)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거나 인큐베이터 내에서 치료 중으로 침상 옆에서 검사를 시행하였다. 1.5kg 미만 군에서는 신생아괴사성장염, 태변연관 장폐색 및 위장관 수술 과거력이 1.5kg 이상 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44). 소장조영술 시행 시 사용한 조영제는 바륨, 텔레브릭스, 가스트로그라핀이었고 조영제 사용 후 관련된 합병증으로 구토 및 조영제 정체가 있었으나 대부분 호전되었고 흡인이나 패혈증 등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식이 부전이 있는 조산아에서 적극적인 소장조영술 검사는 식이부전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므로 식이를 진행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Small bowel series (SBS) may be a useful test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Unfortunat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BS in preterm infants. By scrutinizing our recent experiences in performing SBS in preterm infants, we aim to provide basic data concerning the use of SBS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Methods: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08, SBS was done in 46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reterm infants. Results: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the 46 infants were, 30(+1)±3(+5) weeks, 1,435±623 g, respectively. The mean postconceptional age when SBS was done, was 37(+2)±4(+2) weeks, 46.8±27.3days. SBS proved that 29 infants did not have mechanical obstructions and 22 of these infants had delayed bowel transit time. Eventually, 35 infants attained full feeding except those who underwent operation. SBS was done at their bedside in 15 out of 27 infants in the group less than 1.5kg. History of NEC, meconium related ileus, and gastrointestinal opera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less than 1.5kg. The adverse effects of SBS in preterm infants included vomiting, delayed transit of the contrast media, all of which resolved in the end and there were no reports of aspiration or sepsis. Conclusion: Actively performing SBS test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ill promote feeding advancement by discovering the cause of feeding intolerance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the specific problem.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녹색도시’의 개념 정립과 실현 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

        이동철(Lee, Dong-Chul),손세형(Sohn, Se-Hyung),김도년(Kim, Do-N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도시를 전 지구(地球)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주체로 인식하고, 국제사회를 대표하는 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NGO)의 목표와 실현요소를 분석하여 포괄적이고 공통된 녹색도시의 개념을 정립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현재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경제 중심의 발전으로 인한 환경적?사회적 가치의 희생과 경제적 불균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 생태계 파괴, 자연자원의 고갈, 생물종의 멸종, 환경질의 저하 등 환경적 문제와 질병, 빈곤 등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과 관련된 사회적?경제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사회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실현하려는 주요 요소는 탄소저감 및 흡수, 수자원 관리, 생태계보호, 폐기물 관리, 자연재해의 예방 및 복구, 빈곤 퇴치, 교육, 성평등, 국제적 파트너십 등으로 나타난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탄소저감과 화석에너지 사용 절감이 ‘녹색’ 실현의 최우선 과제로 강조되고 있다. ‘녹색도시’는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와 화석연료 소비 저감을 중심으로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지속가능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Having recognized a city as the main subject for solving the global problem,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a comprehensive and common green city, by analyzing the goals and practical elements presen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 which a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summary, the latest worldwide issues are caused by the fact that economic-oriented development damaged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which brought the economic imbalance. It leads to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ecological damage and resource depletion, as well as social and economic issues such as disease and poverty related to the basic survival. The major agenda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solve the problem include reduction and absorbtion of CO2 emission, water management, ecosystem conservation, waste management, protection from natural disaster and etc. Especially considering the uprising crisis of climate change,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 and fossil energy consumption have been emphasized mostly. Therefore the concept of "Green City" is referred to as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le one, focused on reducing CO2 emission and fossil fuel consumption.

      • KCI등재

        개발도상국의 건전한 도시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 (ODA)의 방향 연구

        이나래(Lee, Na-Rae),손세형(Sohn, Sae-Hyung),김도년(Kim, Do-N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4

        최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는 도시화 현상은 궁극적으로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으로 하여금 개발의 첫 단계에서부터 건전함을 도모한 도시화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먼저 개발을 경험한 선진국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DA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건전한 도시화에 기여한 특징을 갖고 있다고 평가받는 미국의 1960~80년대 한국 원조 사례와 그렇지 못한 일본의 1980~2000년대 인도네시아 원조 사례를 원조의 주체, 목적, 내용 및 과정 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평가를 하고 향후 한국 ODA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론을 정리하면 수원국의 자립기반 조성을 목적으로 수원국 정부 및 기관과의 장기간의 협력이 필요한데, 특히 최상위계획 수준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원조를 통해 수원국의 산업 및 도시 생태계 조성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형태의 기반시설 건설사업과 함께 지역 리더에 대한 우선 교육(top-down)과 인재 양성(bottom-up)이라는 소프트웨어 지원을 통해 원조가 끝난 이후에도 수원국이 스스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In developing countries, rapid urbanization is taking place recently, and it is ultimately causing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sound urbanization is important from the first phase of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so it is necessary of advanced countries’s help. Thus, in this paper, I compared United States’s assistance to Korea in 1960~80s which had contributed to the sound urbanization of Korea and Japan’s to Indonesia in 1980~2000s which had not did it, and got an evalu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Korea’s ODA. In its final analysis, through lessons of the foreign assistance program for Korea of USAID, this study suggested korea?s ODA directions for sound urbaniz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foster the independence of recipient country rather than generate revenue of donor country and its private company. In addition, systematic assistance which takes place from the preceding plan can help building industrial and urban ecosystem in recipient countr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support self-fulfilling development even after the end of the donor country’s assistance through prior education for local leaders, training for the talents and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스마트폰을 활용한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효율화 방안

        노수성(Su-Sung Roh),손세형(Sae-Hyung Sohn),김도년(Do-Ny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오늘날 세계는 빠르게 도시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인구밀집현상은 교통 혼잡, 생태환경악화등 도시의 전형적인 문제들을 초래하였으며, 폐기물 처리 및 공공위생, 치안 문제 등 도시 관리의 어려움은 점점 증대하고 있다. 특히 도시시설물 관리에 있어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리대상의 시설물 수와 종류가 많은 반면 관리인의 부족과 적정관리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도시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시설물의 유지관리 효율화를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관리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시설물의 사진과 위치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기 때문에 시설물의 정보관리, 유지보수관리, 이력관리 등 원스톱으로 유지관리 업무가 가능하다. 둘째, 유지보수관리는 스마트폰의 위치가 아닌 시설물, 즉, 피사체의 위치 및 사진정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시설물의 상태파악 및 빠른 조치가 용이하며,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유지보수 관리자에게 접수와 동시에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셋째, 시설물의 정보 및 각종 자료와 도면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이력관리 및 데이터의 활용이 용이하다. 넷째,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도시민 누구나 쉽게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프라 투자 없이 시설물관리자 기능으로서 확대가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위치 정보 기반으로 도로, 수목, 산책로 등 비 시설물의 관리가 가능하다. Rapid urbanization is being portrayed around the world au causing difficulty to manage public hygiene and maintain public order. Common problems often detected in urban areas including traffic conges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re also being exacerbated. Despite all the effort being made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manage urban facilities, urban residents are subjected to various levels of difficulty, due to the number of facilities to be managed exceeding the number of management personnel and the lack of an adequate management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phones to improve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urban facilities. First, the one-stop maintenance of urban facilities, including facilities information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and history management, is made possible by using smart phones to collect and transfer pictures and the locations of the urban facilities. Second, maintenance management is based on the location and picture information of the subject, not the location of the smart phones, which enables a prompt understanding of and actions to be taken for the facility. This method is especially effective as the smart phone application sends the facility status information directly to the maintenance personnel. Third, all of the information and figures relating to the facilities is managed using a database, resulting in the easy utilization of the history management and data. Fourth, all of the urban residents have access to this information via smart phone applications and, therefore, expanding the role of the facility maintenance personnel is made possible without any additional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Lastly,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enables the management of roads, trees and trails.

      • KCI등재

        녹색도시지수의 핵심지표에 관한 연구

        조유정(Jo, Yoo-Jung),손세형(Sohn, Sae-Hyung),김도년(Kim, Do-N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6

        도시가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지목받게 된 이유는 도시의 산업화에 있으며,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도시의 산업, 교통, 건물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에 기인한다. 결국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과제는 도시의 탄소배출 감축이며, 지금까지 이를 실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다양한 지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 개발된 녹색지수는 도시가 아닌 국가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특히 선진국 중심의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도시 및 지역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평가로 공정성을 저해함과 동시에 전 세계 도시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 힘든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 세계 가능한 모든 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 높은 녹색도시지수를 위한 핵심지표(Key Indicator)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적합한 지표의 성격 및 역할은 자료 확보의 용이성 및 범용성을 갖춘 지표로서의 대표성이 있어야 하며, 쉽고 단순한 용어의 사용 및 평가결과로 일반인도 이해가 가능하여 탄소저감의 중요성을 대중이 쉽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기본 원칙과 도시의 탄소배출요인 관점에서 OECD 환경지표를 중심으로 기존 지표를 분석하였으며,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핵심요소로서 1인당에너지소비량(TOE), 2차산업비중, 1인당자동차보유대수, 도시화율, 지역내총생산(GRDP) 다섯가지를 연구결과로 도출하였다. Climate change has resulted from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ity. Especially fossil fuel-dependent industry, transportation and CO2 emission out of buildings are heavily responsible for the climate change. One of the main global issues is to identify the definition of the green city in order to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The one of the key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establishment of a green city is to reduce CO2 emission. This study aims to draw key indicators of the index for a green city applicable for cities having different regional conditions. The appropriate indicators should be drawn from the big data on basis of generality and easiness for the data retrieval. In addition, the terminology and the evaluation result for the index should be easy and simple enough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ducing CO2 emission. The key indicators for the index of a green city drawn from the analysis consist of TOE, 2nd industry weight, car possession per person, urbanization level and GRDP.

      • KCI등재

        산업과 첨단기술을 연계한 도시개발사례 연구

        고성민(Ko, Sung-Min),손세형(Sohn, Sae-Hyung),김도년(Kim, Do-N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4

        전 세계적으로, IT기술은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그 경쟁력과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개발모델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U-city란 명명 하에 새로운 도시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나, 첨단도시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비전보다는 신기술 도입만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반해 세계주요도시들의 전략적 도시개발은 첨단기술과 산업을 핵심으로 하여 사회정책, 도시설계, 부동산개발, 교육 등 사회 전반적인 전 분야의 융,복합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과 산업, 도시와의 관계는 상호 발전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역사가 증명하듯이 IT기술과 앞으로의 도시개발은 상호 발전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산업과 첨단기술을 연계한 대표적인 도시개발사업의 분석을 통해 미래도시개발에 있어서 앞서가는 도시가 되기 위한 공통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산업과 새로운 산업의 융합, 글로벌 커뮤니티의 거점장소, IT 인프라와 특화 인프라 구축, 단계적인 개발과정과 새로운 파트너쉽 창출, 인적 자원과 사회적 자본의 창출 이라는 5가지 공통가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계획될 국내 미래도시분야에 일련의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서, 그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formation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new model of urban development, which solves the urban issues and improves the quality of urban life. New urban development projects under the name of U-city have been proposed in the country. However, without clear understanding and strategic vision of U-city, only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On the contrary, strategic urban developments of major international cities are realized by more complex and convergent approach from all parts of the overall society with the major point of cutting edge technology and industry. With the lesson of history proving the developmental interaction between city, technology and industry, IT and urban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the mutual advance. In this study, common values were derived for a leading city in the future urban development, through analysing primary urban developments linked on industry and cutting edge technology. As a result, five common values were presented; convergence of traditional industries and new industries, place based on the global community, construction of IT infrastructure and specialized infrastructure, creation of step-by-step development process and new partnerships, creation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capital. By deriving the elements, this study will help the related fields of upcoming future city.

      • KCI등재

        경인선 구도심 역세권의 도시재생 전략 및 방향

        이중원(Lee, Joongwon),이경아(Lee, Kyung-A),손세형(Sohn, Saehy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6

        본 연구의 목표는 철로 부지 활용을 통해 낙후된 구도심의 재생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구도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재 해결을 위한 재생 계획 요소 및 마스터플랜을 제시하며, 재생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도심 지상철 역세권 분석 결과, 철로가 도심 내 심한 단절요소로 작용하여 단절된 두 지역의 연계 성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낙후를 가속화하는 문제가 있다. 역 광장 주변 인근도로의 주차장화는 시간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으며 문화 컨텐츠프로그램의 부족은 젊은 층의 유입을 저해하고 있다. 지역 주민을 위한 공원 및 어메니티 시설의 부족 또한 커뮤니티의 낙후를 가속화 한다. 구도심 역세권 재생 계획 요소로써 입체 녹지 네트워크, 오픈 스페이스, 새로운 역사 제안, 입체 동선체계 및 인근 지역 주민에 대응하는 역세권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고, 이것들의 재생 효과를 검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시 경인선 도원역세권을 실 사례로 검토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하나의 구체적인 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특수한 상황에 대한 도시 재생 계획 요소 및 재생 효과인 점이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regenerate the old urban centers by rehabilitating the railway district. The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draw the problems of existing railway station and its district in the old urban centers; second, propose regenerating design strategies and; third, analyze the possible effects by the strategies proposed. The problems of the railway station and its district were; first, the above-ground railway functioned as a urban barrier; second, the adjacent roads became parking lots; third, deficiency in the provision of cultural contents and public amenity facilities dissuaded the young generation to move into the urban centers. To solve these inherent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s three-dimensional green network system, openspace, renovation of the station building, complex circulation system, and community-based urban programs as solutions. Corresponding effects are also reviewed.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is paradoxically from the selection of a particular site. The claims of the research are subjected to be site-specific. The next research should be a comparative analysis on, at least, three stations to meet the shortcomings of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