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자의 성설

        손세제(Se Je Son) 철학연구회 1998 哲學硏究 Vol.43 No.-

        小論을 이제까지 性惡設이라고 알려지고 주장되어 온 荀子의 性說을 과연 그렇게 보아도 되는 것이지, 개념을 정의한 「正名篇」과 `性`에 대해 전론한 「性惡篇」을 자료로 삼아, 孟子의 性說과 대비하여 고찰한 것이다. 여기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荀子의 性設을 性惡說이라고 하는 것은 `性`을 欲·情 일면에서만 본 것이다. 오히려 `性` 안에 인간을 善에로 이끄는 소질이 있다는 것을 언급한 점에서 보면, 맹자에서 논해지는 性善設과 유사한 면이 있다. 2) 인간의 `性`은 천연적인 자연의 상태이다. 그런데 순자는 `性`을 善惡이라는 가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술어를 사용하여 표현했다. 과연 이렇게 표현해도 되는 것인지 의문이다. 또 `性惡`이라는 견해에서는 善의 발생이라는 문제를 설명할 길이 없다. 3) 순자가 자연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性`을, 가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惡을 술어로 하여 표현한 것은, 制帝運動이라는 戰國末期의 사회 윤리적 환경과 관련 있다.

      • KCI등재

        자로(子路)의 인물됨과 사승(師承) 관계 고찰

        손세제 ( Son Se-j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7 No.-

        자로는 공문 십철(孔門十哲) 가운데, 특히 정사(政事) 방면에 뛰어난 재주를 지녔던 제자였다. 그는 노나라 변 땅 사람으로, 공자보다 아홉살 적었으며, 공자를 만나기 전에는 낭인 생활을 하였다. 그는 공문의 제자들 가운데 누구보다 따뜻한 정을 갖고 있었고, 정의로운 일을 보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실천했으며, 좋은 물건이 있으면 함께 나누어 쓰고자 했다. 또 누구와도 격의 없이 지냈기 때문에, 세상을 등진 은자들도 그를 좋아했다. 하지만 그는 세련된 교양을 갖춘 사람들로 가득한 공문의 분위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었다. 거칠고 조잡했으며 격식보다 실질을 중시했던 사람이다. 그래서 공자에게 ‘온당치 못한 죽음을 맞게 될 것’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그렇다면 이런 성정을 지닌 자로가 공자와 사제관계를 맺게 된 까닭은 무엇인가. 불굴의 노력으로 어려운 가정 환경과 주위의 냉대를 극복하고 성웅(聖雄)의 덕과 인간다움[仁]을 이룬 공자에게서 큰 감화를 받았기 때문이다. 그후 자로는 공자를 ‘주군’으로 받들며, 때로는 보디가드로서 때로는 조언자로서 때로는 공문의 해결사로서, 공자와 생사고락을 같이 한다. 공자 또한 자로에게서 일종의 동질감 같은 것을 느꼈다. 자신은 문(文)과 예(禮)를 실천해야 하기 때문에 행할 수 없는 것들을 거리낌 없이 행하는 자로를 보면서, 자신에게도 인간적이고 순수한 면을 발견하였고, 소위 ‘뜨거운 정열의 사나이’로서의 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자로가 자기 곁에 머물도록 배려했다. 자로와 공자는 서로에게 정체성을 확인시켜주는 존재였다. 그들은 사제 간이었지만 동지애로 뭉쳐진 사이였다. 그래서 서로에게 이끌려 사제관계를 맺게 된 것이다. Tsze-lu(子路) was one of the ten leading disciples of Confucius(孔門十哲) and renowned for political affairs. He was born in Bian(卞), Lu(魯) nine years after the birth of Confucius(孔子) and roamed around until meeting Confucius. Then when meeting Confucius for the first time, Tsze-lu was so impressed by his moral virtue(德) so asked him to accept as a disciple. Since then, Tsze-lu never left his side except for the last year of the death and sometimes acted as a bodyguard, an counselor, or a trouble-solving broker in the Confucian school (孔門). No-one was more warmhearted and unreserved than Tsze-lu in the Confucian school, and he had the courage of his convictions in justice. He also had no qualms about sharing good things with his friends. His honor and distinction was spread out to the world, so all the people, even hermit scholars wanted friendship with him. Tsze-lu, However, seemed ill-matched with the sophisticated Confucian cultures. He took a serious view of substance more than formality, so he was coarse and uncultivated. Even Confucius was always worried that Tsze-lu would die an unnatural death. If then, despite of his rough personality, why did Tsze-lu request to be permitted for the Confucian schoo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Tsze-lu was impressed by Confucius who overcame all kinds of adversity by strenuous effort. He also respected Confucius for his virtues proper to a protagonist of an epic and humanity, both which he adored badly. That’s why he asked to accept as a disciple, and he devoted himself Confucius as his master ever since. Confucius’ motivation to accept Tsze-lu as a disciple was not much different. Confucius perceived himself many points of likeness in character with him. Besides, he was inspired by Tsze-lu who did his way in everything without any hesitates, which Confucius could never do because of the cause of truth(文) and the rites of propriety(禮). Through it, Confucius discovered that he had a pure heart and passion like Tsze-lu. They, so to speak, recognized their own identities from each other. It was the motive for them to make a relationship. It formally seemed between a master and a disciple, but intrinsically it was comradeship.

      • KCI등재

        청광자 이근주의 생애와 의리정신

        민황기 ( Min Hwang-ki ),손세제 ( Son Se-je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2

        본 논문은 청광자 이근주의 생애와 의리정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그는 성품이 매우 강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절의지사를 존경했고, 을미년 거의 때에는 동지들과 고난을 같이 하기 위해 스스로 체포되고자 했다. 경술년 국치 때에는 자결로써 의리를 지키고자 했고, 처사로서 자결하는 것을 세상 사람들이 오해할까 염려하여 처의론를 제시하기도 했다. 자결할 때 `존화양이척사부정(尊華攘夷斥邪扶正)`을 명분으로 삼았으며, 죽어서까지도 몸이 더렵혀지는 것을 걱정하여 화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근주는 『맹자』의 `웅어장(熊魚章)`을 특히 좋아했는데, 이 부분이 그의 의리정신의 핵심 포인트이다. 그에 의하면 선비의 본업은 뜻을 키우는 것이다. 도에 뜻을 둔 자가 세(勢)를 쫒거나 생의 즐거움을 추구한다면 그는 이미 선비가 아닌 것이다. 그러나 세상의 선비라 칭하는 자들은 그렇지 못해서 `의`를 추구해야 하는 곳에서 `세`를 헤아리고 `생의 즐거움`을 추구한다. 이것이 을미년 거의가 실패하게 된 원인이요 작금에 펼쳐진 누란의 원인이다. 그가 경술년 국치 때 자결을 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선비된 자에게 망국은 도를 행할 터전을 잃어버렸다는 의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도를 실천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 국권을 빼앗은 이적(夷狄)에게 봉사하는 길이 될 뿐이다. 그렇다고 선비 된 자가 `세`를 쫒으며 `생의 기쁨`을 위해 살 수도 없다. 성인의 덕화(德化)가 수천 년 이어져 온 내 나라를 버리고 다른 나라로 떠나는 것도 내키지 않는다. 의도(義徒)를 모집해 치욕을 설욕하고 싶어도 `세`를 쫒는 무리들 앞에서는 요연한 일일 뿐이다. 게다가 수십 년 간 병마에 시달려 몸도 가누기 힘든 상태이다. 결국 그가 선택할 수 있는 `사생취의(捨生取義)`의 길은 자결로서 선비의 삶, 즉 의리를 지키는 길밖에 없었다. 그는 지천명(知天命)의 나이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중화`의 위대함과 `이적`의 사악함을 깨달았다. 그래서 `대소중화(大小中華)`의 한결같은 가르침과 `인수화이(人獸華夷)`의 분변이 더 없이 소중하게 생각되었다. 이제부터라도 `화이`를 준별하는 선비의 삶을 살아야 한다. `절개를 세우는 자는 그 죽어야 하는 의리를 잡으면 나가서 죽을 뿐이다.` 그가 `존화양이척사부정`이라는 8자(字)를 남기고 `화장`을 당부하며 생을 마감한 데에는 바로 이러한 뜻이 있었다. 그의 의리정신은 자결로서 민족적 자존의식을 대변하며 항일투쟁을 선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Cheong-gwang-ja (淸狂子) Lee Geun Ju(李根周)`s career and loyalty spirit. About his character, it can be said that he was such a man of integrity. He had great respect for faithful patriots (節義志士), and in the revolt breaking out in Wood-Goat year (乙未), to share hardship with the comrades, he let the enemy arrest himself voluntarily. In 1910, means the time of `national humiliation` (國恥) [Korea was officially dominated by the Emperor of Japan], he committed suicide to maintain his loyalty;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about that decision - to suicide as a reclusive scholar (處士) -, he left 5 “arguments of the uprightness of the recluse” (處義論). Committing suicide, he considered the `respect for morality and removal of the savage and uncivilized, the rejection of the wickedness and protection for the justice` (尊華攘夷斥邪扶正) the obligation; and feeling worried that his body could be violated, he requested to be cremated. He had a great appreciation of the “Chapter of bear and fish” (熊魚章) of the book “Mencius”, it can be said that this was the major point of his loyalty spirit. The major duty of the scholar was to cultivate his mind and will. A gentleman who should have had a strong will to pursue the Tao (道) but in reality a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to get a life of pleasure, in his opinion, that was not a true scholar. However, in this society, many of the so-called `scholars` counted the situations to pursue the favorable life right in the time when they should have followed the righteousness. That was the very cause for the failure of the Hong-ju insurgent army which rose up in 1895 and for the mess and war that were spreading in the whole country. That also was the reason why he committed suicide in 1910, after the national humiliation. Because with a true scholar, the loss of the sovereignty meant the loss of the field in which he can realize the Tao. In that situation, not only the Tao could not be realized but also the people inland must serve the foreign intruders (夷狄, the vicious group) who had stolen their sovereignty. Thus the scholars should not merely ac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pursue the life of pleasure. They also should not leave their own country in which the cause of civilization (德化) of the sages (聖人) has been carried out in thousands of years to come to another country. Although the righteous organizations (義徒) could be established and they wanted to revenge the humiliation (of losing the sovereignty), if those organizations a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then those desires were nothing but remote goals. Furthermore, Lee Geun Ju was not in a good mental state since he suffered from disease in several years. Thus the only thing he could choose was the commitment on suicide to keep the righteousness and the reputation of an upright gentleman. If there is something regretable, it would be the fact that only when reaching the age of 50 could he be aware of the greatness of the civilized things and morality (`中華`), and the wickedness of the uncivilized things (`夷狄`), thus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lesson on the civilized things a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ivilized and uncivilized things. Until now the gentlemen must live a life of being well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ivilized and uncivilized things, and aiming at the former and eradicating the latter. 8 words of `respecting morality and removing the savage and uncivilized, rejecting the wickedness and protecting the justice` (尊華攘夷斥邪扶正) that he left, and his request to be cremated at the point of death were tangible proves of that idea.

      • KCI등재

        백야 김좌진의 민족의식과 국권회복운동

        민황기 ( Min Hwang-ki ),손세제 ( Son Se-j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이 논문은 백야 김좌진의 민족의식과 국권회복운동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즉 김좌진의 타고난 품성과 어린 시절의 행적 그리고 자의식이 성장할 때까지 김좌진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문의 분위기ㆍ교육ㆍ지역정서ㆍ서울에서의 체험 등을 바탕으로, 김좌진이 국망 이전에 펼쳤던 국권회복운동(가노해방ㆍ호명학교 설립)의 실제와 목적 및 정신을 고찰한 것이다. 홍주지역은 1905년까지만 해도 봉건적·수구적·척사적 의식이 보편적으로 드리워져 있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가노를 해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민족의식을 갖도록 다듬어준 여러 인연들, 이런 인연들을 자기 것으로 소화할 수 있었던 그의 반성 능력, 무엇보다도 사내다움과 호협적 기질을 타고난 본성으로서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호명학교에 대해서는 설립 시기에서부터 설립 주체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많지만, 1908년 김좌진에 의해 주도적으로 설립된 것으로 보인다. 호명학교 설립은 그가 서울에서 교유하였던 인물이나 단체 그리고 이 시기에 그가 가졌던 사상ㆍ이념에서 볼 때 개명이나 계몽보다 구망 즉 미래의 독립운동에 참여할 인재를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던 것 같다. 따라서 호명학교 설립은 그의 독립운동의 준비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김좌진은 근대의식이 비교적 옅은 사람이었다. 민족을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구원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가노해방이나 호명학교 설립도 `계몽`보다 `구망`을 위해 결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민족을 압제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는 `구망`의식이 매우 강했던 사람이다. 이것은 그의 내면에 있던 민족의식과 구망의식이 계몽의식을 압도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좌진의 국권회복운동(`계몽`)과 독립운동(`구망`)은 사내다움과 호협을 동경하던 그의 품성이 때와 장소에 맞게 옷을 바꿔 입고 나타난, 본질적으로는 서로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건이었다. 이 둘의 관계는 전자는 후자의 준비이고 후자는 전자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Baek-ya Kim, Jwa-Jin`s national consciousness and mov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It means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the goals and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slavery emancipation,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etc) that Kim, Jwa-Jin spread before the national mourning, based on his family`s tradition, the local spirit and the experiences from the time he lived in Seoul that exerted enormous influence on his natural character and activities when he was young, and the improvement of his self-consciousness when he reached adulthood. Until 1905, the Confucian spirit and the spirit of `expelling perverse religions` remained widespread in Hong-ju area. In that context, his awareness of slavery emancipation developed under various reasons, in which beside his ability to self-reflect there were also his innate bravery and courage. About Ho-myeong school, although there was much discussion about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time of establishment or the principle agent (of the school), the school was finally opened in 1908 with the decisive role of Kim, Jwa-Jin. When considering his relationship with figures and organizations in Seoul, and his opinions in that time, it can be said that his goals when opening that school was to educate the talented for the movement of national independence in the future, more than the renovation or enlightenm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implies his preparation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Kim, Jwa-Jin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class contraction. Since the question of national contraction was more urgent at that time. Thus the slavery emancipation or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were carried out to the goal of `independence`, more than the `enlightenment`. That can explain the predomination of the Confucian spirit and the spirit of `expelling perverse religions` over the `enlightenment` spirit in his thought. The movements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and `independence` of Kim, Jwa-Jin, taken priority over different contexts, have a specific relation between them. That is the former is the preparation of the latter, and the latter is the ultimate goal of the for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