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형제를 둔 음악치료사의 성장경험에 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이지은(Lee, Ji-Eun), 소혜진(So, Hye-Ji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2 교육치료연구 Vol.14 No.3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searcher’s growth experience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a music therapist with a sibli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er analyzed arts-based data related to her growth experiences through an art-based autoethnography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life under the shadow of a broth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d the researcher to develop a desire to be approved by the parents, resulting in the suppression of thoughts and emotions. The researcher also discovered that her nurturing character, which was developed from having a brother, led her to become a music therapist. Finally, the researcher was able to achieve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a process of self-awareness and insight during music therapy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perceptions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to implement a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system, especially for non-disabled siblings.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형제를 둔 음악치료사가 음악치료 훈련과정을 통해 스스로의 성장경험을 이해하고 음악치료 전문가로의 발달과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장애형제이자 음악치료 훈련과정 중에 있는 연구자의 성장경험을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발달장애 형제에게 가려져 부모님께 인정받고 싶은 욕구로 인해 생각과 감정을 억압했으며 부모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나는 장애형제를 통해 돌봄 성향을 발달시켜 음악치료사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치료 상황에서 해결되지 못한 욕구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으나 자기 인식 및 통찰과정을 거쳐 개인적 성장 및 전문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장애인 및 가족구성원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비장애형제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지원제도가 시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깊이 탐색함으로써 보다 전문성을 갖춘 음악치료사로 성장하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내부자적 관점에서 발달장애인 가족 및 비장애형제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지원제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박진희(Park, Jin-Hee),소혜진(So, Hye-jin)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music therapist’s job self-efficacy and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Upon review, one hundred seventeen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s that were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s that are composed of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s, job self-efficacy,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dditionally,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Scheffé’s post hoc test was us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noted statistical differ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noted between age, education, and career.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the reasons of the music therapist’s turnover, intention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ist’s job security.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심리 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고찰한 것으로, 음악치료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학사학위이상을 소지한 남녀 전문음악치료사 117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결 과에서 연령(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 최종학력(직업적 자기효능감), 경 력(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이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의 인과모형은 완전매개모형을 가진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 를 낮추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과 고용안정성과 관련 된 후속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중간아이로서 음악치료사 발달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최시원(Si Won Choi),소혜진(Hye jin So)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간아이로 살아온 음악치료사가 자신의 삶을 수용하고 깊이 있게 성찰하는 경험을 통하여 음악치료사로서 직업적 발달과 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을 성찰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중간아이이자 음악치료사로서 연구자의 직업적 발달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중간아이로 살아오면서 경험한 어려움은 한국의 가족문화 중 남아 선호사상과 연관되어 있었다. 더불어 연구자는 남아선호사상의 영향으로 가려진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착하게 행동하면서 부모화를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자는 음악치료사 훈련과정에서 거짓자기를 인식하고 참 자기(Self)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음악치료사로서 전문적인 성장을 할 수 있었으며 한국의 가족문화에 대한 깊은 탐색이 내담자에게도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인이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자기 성찰을 통해 음악치료사로서 발달해나가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xpertise of a music therapist who was growing up as a middle child, with the experiences of accepting her life and reflecting upon it. To that end, the researcher who is in training to become a music therapist and was growing up as a middle child, conducted an analysis on 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and described the fi ndings, using an auto-ethnography method. First,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diffi culties she experienced as a middle child, including the eff orts she made to be loved in a society with clear preference for sons. The difficulty the researcher experienced in justifying her existence amid the strong preference for sons drove her to become preoccupied with being well-behaved and experience parentifi cation in the process. Second, during the music therapist training course,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cognize the false self she had established and develop the true self. Th rough this development process, the researcher was able to grow her professional capabilities as a music therapist and realize that an in-depth review of Korean family culture was needed to help clients truly understand the diffi culties they experienced. Th 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pecifi c real-life information on how an individual grows into a music therapist, based on deep understanding of their own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self-refl ection.

      • KCI등재후보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관련 요인들과 자기조절 능력 발달과의 상관관계

        조상연(Sang Yeun Cho),소혜진(Hye Jin So),임성민(Sung Min Lim),고민숙(Min Sook Koh),송길연(Kil Yun Song),문진화(Jin-Hwa Mo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3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devices usage-related factors and self-regulation ability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Methods: Parental questionnaires of 187 children aged 3–6 years were analyzed. The metrics included smart device usage frequency (times/week, scored as uFreq), smart device usage time (hours/day, scored as uTime), parental scale for 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level (scored as uLevel), the Korean-developmental screening test (K-DST), and the scale for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scored as SRS, and including four sub-categories: self-appraisal, self-determination, behavior inhibition, and emotionality). The correlations were analyzed by total age group and by each age. Results: In the total age group analysis, uFreq and uTim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n SRS (rs= -0.366, -0.330; P<0.001) and sub-category SRS (rs= -0.186 to -0.370; P<0.05). Mean uLevel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SRS (rs=0.406; P<0.001) and most of the mean sub-category SRS (rs=0.174 to 0.362; P<0.05). In 3-year-old children, the mean SRS was strong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uFreq (rs=-0.751; P<0.001), negatively correlated with uTime (rs=-0.518; P<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uLevel score (rs= 0.533; P=0.013). Such correlations seemed to decrease at the age of 4–6 years. Conclusion: Self-regul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mart device-related factors and was the highest in the 3-year-old children. Encouraging 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will be helpful for self-regul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중국 기혼여성 유학생의 박사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업과 장거리 양육경험에 관하여 -

        안기 ( An Qi ),제혜금 ( Zhu Hui-qin ),소혜진 ( So Hye-jin )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1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arried female Chines doctoral students in South Korea who are engaged in long-distance parenting and suffering from academic stress. The first autho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Chinese doctoral students in South Korea and explored their experiences of doctoral study and long distance parenting. The researchers us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o analyze verbatim interview transcriptions.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ree themes and eight categories were emerged: Experiences of studying in Korea (including the motivation to study in Korea, positive and stressful experiences, and the release of stress), long-distance parenting experiences (including children’s negative experiences, concerns about relationships with children, dual stresses of parenting, and mother as role model), and family suppor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female Chinese doctoral students who need to parent a child left behind in Chin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a resource to create a support system for them. (Jeonju University)

      • KCI등재

        소아청소년에서의 항생제 사용량 변화에 따른 그람음성 균주의 항생제 내성률 변화 양상

        박세라 ( Sera Park ),이은택 ( Euntaek Lee ),소혜진 ( Hye Jin So ),유리나 ( Ree Nar Yoo ),이진아 ( Jina Lee ) 대한소아감염학회 2021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8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의 혈액에서 분리된 주요 그람음성 균주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파악하고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한 그람음성 균주 균혈증 중 Acinetobacter baumannii,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총 4가지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 원내에서 소아에게 주로 사용하는 정주용 항생제의 사용량과 항생제 내성률의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기간 동안 전체 혈액배양에서, K. pneumoniae (6.4%; 105/1,628), E. coli (5.6%; 91/1,628), P. aeruginosa (3.3%; 54/1,628) 및 A. baumannii (2.5%; 41/1,628)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2014-2018년에 분리된 E. coli와 K. pneumoniae의 광범위 cephalosporin 계열에 대한 내성률은 각각 49.3%와 54.4%였다. 2014년도에는 carbapenem에 내성을 보이는 E. coli 균종이 처음 출현하였고, 5년간의 내성률은 5.3%였다. 연구기간 동안 항생제 사용량과 항생제 내성률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3세대 cephalosporin 사용량과 A. baumannii의 내성률(r<sup>2</sup>=0.96, P=0.004) 그리고 carbapenem의 사용량과 K. pneumoniae의 내성률 (r<sup>2</sup>=0.79, P=0.045)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론: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그람음성균 균혈증 분석 시 3세대 및 4세대 cephalosporin에 대한 높은 내성률이 확인되며, carbapenem에 대한 내성도 확인되고 있다. 일부 항생제 사용량과 해당 약제에 대한 내성률에 선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항생제 사용량이 내성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지속적인 원내 항생제 사용량 및 내성률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며, 적절한 항생제의 선택 및 관리는 내성균주 출현 예방 및 치료 성적 향상에 필수적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ntibiotic use an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gram-negative bacteria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in a pediatric population.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June 2018,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Acinetobacter baumannii,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Pseudomonas aeruginosa obtained from bacteremic patients aged ≤18 years hospitalized at Asan Medical Center Children's Hospital was analyzed and the parenteral antibiotic consumption data were retriev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blood culture was positive for K. pneumoniae (6.4%; 105/1,628), E. coli (5.6%; 91/1,628), P. aeruginosa (3.3%; 54/1,628), and A. baumannii (2.5%; 41/1,628), and the extended-spectrum antibiotic resistance rate of gram-negative bacteria was consistently high. The overall resistance rate of E. coli and K. pneumoniae to extended- spectrum cephalosporin was 49.3% and 54.4%, respectively. Carbapenem-resistant E. coli was first detected in 2014; its overall resistance rate to carbapenem was 5.3%. There was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usage of 3rd generation cephalosporin and the resistance of A. baumannii (r<sup>2</sup>=0.96, P=0.004) and carbapenem usage and the resistance of K. pneumoniae (r<sup>2</sup>=0.79, P=0.045). Conclusions: A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ntibiotic resistance and the corresponding antibiotic usage in 3rd generation cephalosporin resistant A. baumannii and carbapenem resistant K. pneumoniae. The judicious use of antibiotics in healthcare settings is important to minimize selection for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and carbapenem resistance in gram-negative bacteria.

      • KCI등재

        임상콘텐츠모형 산출물 홍보와 운영을 위한 관리시스템 개발

        윤지현(Yun, Ji-Hyun),안선주(Ahn, Sun-Ju),이보혜(Lee, Bo-Hye),소혜진(So, Hye-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논문에서는 임상콘텐츠모형(Clinical Contents Model; CCM) 산출물의 효율적인 개발과 배포 및 홍보를 지 원하는 관리시스템인 CCM Manager를 개발했다. CCM의 개발과정에서부터 산출물 관리 및 배포까지의 업무 프로세 스를 분석하여 관리자 기능과 사용자 기능을 도출했고, CC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으며 각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여 내용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웹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CCM Manager는 모델 개발 자 상호간의 개발된 결과물이 잘 공유될 수 있게 지원하고,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산출물을 패키지화하여 배포하지 않 아도 일반 사용자에게 CCM의 모델 형식의 산출물을 배포하고 홍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검색 기 능과 시각화된 모델 브라우징 방식을 제공하고, 관리자 기능까지 포함한다는 측면에서 타 임상정보모델 지원시스템에 비해 우수함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CM Manager는 현재 CCM 개발 프로세스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결 과를 바탕으로 향후 CCM Manager 활용에 대한 효용성 분석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CCM Manager which is a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efficient development, publication and promotion of Clinical Contents Model(CCM)'s outcomes. We derived the functions of manager and user from the analysis of work process from development of CCM to management and publication, designed the database based on CCM architecture, and developed web-based system for each user to easily access and search the contents. CCM Manager supports to share the results between model developers well, distribute and promote the outcomes of model type to general users without manager's manual packaging and publishing it. This paper shows superiority compared with other clinical information model management system in aspects of providing multiple search functions, visual model browsing methods and management functions. The proposed CCM Manager is currently used in process of CCM development, and the analysis of its efficiency with the results will be mad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