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학술회의 참관기 - 제3차 태평양연안국가 국제화학대회

        소현수,So, Hyeon-Su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6 과학과 기술 Vol.29 No.4

        지난 연말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제3차 태평양연안국가 국제화학대회는 각 분야에서 1백50여개의 심포지엄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에 우리나라에서는 60여명이 참석해 논문을 발표했는데 2천년께 열릴 제4차 대회에는 더많은 한국학자들이 참가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

        소현수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1

        The followings are the landscape preference aspects from the 816 landscapes(景, Kyung), which comprise the 78 modern Palkyungs, presented by the 78 local governments in Korea. First,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selected as Kyung(景), which are topographical landscapes, mostly consist of mountain elements such as mountains, terrace(臺), rocks and stones and water elements classified as rivers, oceans, and lakes. Natural elements also include old-growth and giant trees such as pines, ginkgos, Japanese cornels and fringe trees, tree-lined streets and forests, and plant elements such as azaleas, rhododendrons, lotuses, reeds, and silver grasses which provide seasonal landscapes. Second, more than half of Kyung, selected as human environment elements, ar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such as graveyards, mountain fortresses, town fortresses, traditional villages, pavilion in villas, and temples. And it is followed by leisure tourism facilitie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exhibition halls, theme parks, beaches, and food streets, green-based structures such as trails, plazas, parks, and botanical gardens, and industrial heritages such as ranches, abandoned coal mines, stations, ports and bridges. Third, modern Palkyungs include objects not related to the views such as local representative facilities, regional products, and festivals. Fourth, although most of the modern Palkyungs consist of eight, some include 20, 38, or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objects of public relations. Fifth, a certain local government makes two modern Palkyungs with different subjects by introducing traditional Palkyung and modern Palkyung altogether. In this case, it presents several modern Palkyungs like by selecting Palkyungs in a limited area. Furthermore, one Palkyung includes numerous place names at a time in some cases. Sixth, Sosangjeonhyeong(瀟湘典型)-style modern Palkyung uses ‘NakAn(落雁)' as the name of Kyung. Sosangyusahyeong(瀟湘類 似型)-style modern Palkyung expresses ‘Hyojong(曉鐘)' and landscape of glow of the setting sun, sunset, night view, dawn, sunrise and depicts cloud, sunset, moon, and snow. There are many Myeongsocheheomhyeong(名所體驗型)-style Palkyungs exhibiting the behavior of tourism and Myeongseunghyeong(名勝型)-style Palkyungs raising the awareness only by the names of the places. Seventh, modern Palkyung's naming styles are diverse, such as using only four letters instead of specifying Kyungmul(景物) or Kyungsaek(景色) in combin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or adding modifiers specializing in places.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홈페이지에 제시한 현대팔경 78개와 팔경을 구성하는 816개 경(景)을 통해 본 경관 선호 양상은 다음과같다. 첫째, 경으로 선정된 자연환경 요소는 지형경관인 산, 대(臺), 암, 바위와 같은 산경요소와 하천, 해양, 호소(湖沼)경관으로 구분되는수경요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소나무, 은행나무, 산수유, 이팝나무 등 노거수, 가로수 길과 숲, 그리고 계절 경관을 제공하는 철쭉, 진달래, 연꽃, 갈대, 억새와 같은 식물요소가 포함된다. 둘째, 인문환경 요소로 선정된 경의 과반수가 묘역, 산성과 읍성, 전통마을, 별서누정, 사찰 등 역사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재래시장, 전시관, 테마파크, 해수욕장, 음식 거리 등 여가관광시설과 산책로, 광장, 공원, 식물원 등 녹색기반시설, 마지막으로 목장, 폐탄광, 철도역, 항구, 다리 등의 산업유산이 경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현대팔경에는지역 대표시설, 특산물, 축제처럼 조망과 관련 없는 대상이 포함되었다. 넷째, 현대팔경의 과반수가 8개 경으로 구성되었지만, 홍보대상을 늘리기 위하여 20개, 38개, 100개로 구성된 것도 있다. 다섯째, 전래팔경과 현대팔경을 함께 소개하고, 주제를 달리한 두개의 현대팔경을 만든 경우,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여 현대팔경을 선정하는 등 여러 개의 현대팔경을 제시한 지자체가 있다. 또한한 개의 경에 다수의 장소명을 넣은 경우도 많다. 여섯째, 경의 명칭에 ‘낙안(落雁)’을 사용한 소상전형과 ‘효종(曉鐘)’, ‘낙조’, ‘일몰’, ‘야경’, ‘여명’, ‘일출’을 명칭에 넣고 경관과 구름, 노을, 달, 눈을 표현한 소상유사형 현대팔경, 관광 행태를 드러내는 명소체험형 현대팔경으로구성된다. 대부분은 장소의 명칭만으로 인지도를 높인 명승형 현대팔경이다. 일곱째, 현대팔경의 명명 방식은 경물과 경색을 명시한한자를 조합한 소상팔경식 명명 대신 글자 숫자만 네 개로 맞춘 경우, 장소를 특화하는 수식어를 넣은 경우 등으로 다양했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시설물 위치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한 웹 스크레이핑 기반 도시 철도 역사 위치 추정 자동화에 관한 연구

        소현수,장민우,이상근,유승민 한국철도학회 2023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6 No.6

        이 연구는 웹 스크레이핑 기법을 활용해 시설물 위치 선정을 자동화하고 모니터링을 효율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ython 기반 인터넷 정보 수집의 대표적인 라이브러리인 Selenium은 동적 정보 수집을 함에 있어 용이하며, 자동화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활용해 도시 철도 역사 이미지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자동 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역사 출구 지도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어를 선정하고, 서울 도시 철도를 대상으로 추출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추출된 역사 출구 지도 이미지를 실제 지도에서의 참조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검토하였다. 스크레이핑 된 이미지에서 색상 코드(RGB값)의 가중치 평균을 이용하여 추정한 철도시설물 좌표를 실제 좌표와 비교하여 오차에 대해 검토하였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이미지에서의 좌표를 통해 QGIS에 시설물 정보를 도식화하고 실제 위치와 비교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소현수,So, Hyun-Su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ology of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s through both life-oriented philosophy and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which are similar to ecology. Also, useful tools for discovering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ased on the ecological thoughts in ancestors' life are shown. Ecological key words as interpretative tools on the traditional landscape replaced ecological concepts in Korean culture and landscape. There are 'Bonsung(本性; the original nature)', 'Chungjeol(中絶; moderation)', 'Hyoyul(效率; efficiency)', 'Sangsaeng(相生; symbiosis)', 'Jasaeng(自生; self-generation)', 'Chunghwa(中和; neutralization)', 'Bangtong(旁通; communication)', and 'Byuntong(變通; variableness)'. For the case study, the concepts of 'spatial structure', 'constructive elements in the traditional gardens', and 'structural elements in the dwelling houses' were extracted from $\ulcorner$Imwonkyeongjeji$\lrcorner$ as an interpretative subject. As a result, Jeongon house, Jongtaek of Choi's family(the first incoming resident) showed us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y interpretation on the composing elements. Namely, they are natural dwelling houses in harmony with natural conditions and delicate relational styles. Five kind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posed. They are: 1. land use method following natural features('本性' '相生' '中和'), 2. physical and spatial elements in a body with nature('中絶' '相生' '中和'), 3. sustainable circulation system by recycling limited resources('效率' '自生' '旁通'), 4. use of natural materials based on the regional climate ('中絶' '效率' '自生') and 5. plane and structural decision by microclimate('效率' '自生' '變通'). Consequently, the dwelling houses and their traditional gardens aimed at the consuming space of the efficient resources by utilizing and circulating natural energy more than different types of the traditional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