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

        성현진(Sung, Hyun Jin),김용세(Kim, Young S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최근 한국 내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가장 활발히 연구하고 적용하는 분야 중 하나가 의료서비스 업계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의료서비스는 치료, 간호뿐 아니라 예방, 관리, 재활의 주체로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보건 의료 종사자는 서비스 공급자이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에게는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 그리고 의료기술에 대한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또한 그에 못지않게 의료기관의 시스템, 종사자들의 태도, 정보의 전달, 터치 포인트 등의 경험은 고객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므로 이를 다루는 서비스 디자인은 더욱 주목 받고 있다. 특별히 다른 서비스업보다 고객의 예민한 상황과 감정을 다루어야 하는 의료서비스분야의 특성상 전문성이나 환경, 그리고 제품의 개선만으로는 충분한 만족감을 주기 어렵다. 그것은 감정 노동자라고 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인 의료 종사자의 서비스 마인드와 태도의 변화가 함께할 때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교육이나 문제의식을 갖고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궁극적인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에 적용된 서비스 제공자들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시스템과 교육 등을 포함한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그 효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The healthcare service industry has become one of the business industries in South Korea where service design is most actively being researched on and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upsurge of the interest in health, healthcare service is expanding its area including disease prevention, patient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s well as cure and nursing care. The health manpower is the supplier, and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y and the patients’ trust in medical technolog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ir customers. In addition, service design has come into the spotlight given that the medical institute system, health manpower attitude,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touch point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customer satisfaction. It is very hard to satisfy customers only through professionalism, the environment, and product improvement because healthcare service deals with much more sensitive and emotional customers compared to other service industries. This means that a change in the service mind-set and the attitude of the health manpower as emotional labourers have practical effects. Therefore, the fundamental solution is to establish a system that provides related education with manpower and that settles various problems by itself.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solutions, such as education for health manpower and a service design system applied to a national-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South Korea, and takes a close look at its effects.

      • KCI등재

        u-방재시스템 기반의 시설물 실시간 화재 모니터링

        문성우,성현진,Moon, Sung-Woo,Seong, Hyun-Ji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1

        산업과 경제발전에 따라서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 시설물은 대형화 복합화 되어가고 있으며, 재난시 시설물 사용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재 시스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방재 시스템은 시설물관리에 있어서 재난극복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써 화재발생시 시설물 사용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 발생시 온도와 연기를 측정하여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기술 기반의 u-방재시스템을 제공한다. u-방재시스템은 화재발생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온도와 연기를 측정하여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독립적인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며, 시공간을 극복하여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시설물 사용자는 방재시스템의 LED 전광판이 안내하는 상황별 최적의 대피경로를 따라서 화재로 부터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현장 적용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화재와 온도센서, 그리고 LED 전광판 등으로 구성되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빌딩 시설물을 대상으로 화재시 u-방재시스템의 기능을 검증했으며, 테스트 결과 USN 기반의 u-방재시스템은 화재발생 등 극한상황에서 화재대피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단없이 송수신하여 시설물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building infra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shopping malls, exhibition centers, etc. are becoming larger in magnitude and more complex in complexity. Considering a large number of tenants and visitors are staying in these facilities, it is upper most important to keep those in safe from fire outbreak. In this paper, a u-Disaster Prevention System has been presented to provide effective fire evacuation when fire breaks out in building infrastructures.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technology was applied to detect heat and smoke from fire outbreak. The information then is transmitted wirelessly to a host computer. The tenants and visitors residing in the facility can evacuate following the instruction that is displayed in LED sign boards of the u-Disaster Prevention System. A case study shows that the ubiquitous environment can help people evacuate faster in time, shorter in distance with the assistance of the u-Disaster Prevention System.

      • KCI등재

        표면조도가 있는 난류경계층 내 난류구조

        이재화(Jae Hwa Lee),이승현(Seung-Hyun Lee),김경연(Kyoungyoun Kim),성현진(Hyung Jin Sung) 대한기계학회 200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2 No.6

        Turbulent coherent structures near rod-roughened wall a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atabase of directnumerical simulation of turbulent boundary layer. The surface roughness rods with the height k/δ =0.05 are arranged periodically in Reδ = 9000 . The roughness sublayer is defined as two-point correlations are not independent of streamwise locations around roughness. The roughness sublayer based on the two-point spatial correlation is different from that given by one-point statistics. Quadrant analysis and probability-weighted Reynolds shear stress indicate that turbulent structures are not affected by surface roughness above the roughness sublayer defined by the spatial correlations. The conditionally-averaged flow fields associated with Reynolds shear stress producing Q2/Q4 events show that though turbulent vortices are affected in the roughness sublayer, these are very similar at different streamwise locations above the roughness sublayer. The Reynolds stress producing turbulent vortices in the log layer ( y /δ = 0.15) have almost the same geometrical shape as those in the smooth wall-bounded turbulent flows. This suggests that the mechanism by which the Reynolds stress is produced in the log layer has not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resent surface roughness.

      • KCI등재

        레인보우컬러에 따른 음악의 선정 및 레인보우컬러음악의 이미지 파워 융합 연구

        김혜리(Kim, Hye Ri),이일근(Lee, IL Keun),성현진(Sung, Hyun Jin),박은률(Park, Eun Ry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현대사회 인간관계의 충돌과정에서 컬러, 이미지, 자기관리, 치유요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레인보우컬러에 따른 음악을 선정하고, 그 음악이 갖는 이미지 파워 현상에 대해 연구하여 이를 공공의료시설과 교육기관 등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인보우컬러음악을 선정하고 선정된 음악이 갖는 이미지 파워를 확인하고자 문헌연구 고찰하여 정리하였고, (주)제이노블이미지랩 현장에서의 실험연구과 설문을 통해 Violinist KoN이 작곡한 음악 7가지를 레인보우컬러 음악으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음악이 갖는 이미지 파워를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레인보우컬러음악의 이미지 파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색채과학과 음악, 그리고 이미지 분야의 융합연구로서, 이미지 파워와 관련된 다학제적 연구범위를 넓혔으며, 소통의 부재, 존엄성의 상실이라는 문제로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 등을 겪고 있는 대상에게 레인보우컬러음악을 통한 자기관리와 심리치유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향후, 레인보우컬러음악이 갖는 이미지 파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레인보우컬러음악의 효과를 분석하는 폭넓은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In a modern societ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color therapy, image management, self-management and healing therapy to promote a positive approach to resolving an interpersonal confli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bout image power of music selected in relation to rainbow colors and to take advantage of its power for the public medical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even pieces of music composed by Violonist Kon which was based on research and classifi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were selected as Rainbow Color music. A field experiment research and a survey was done at the J Noble Image Lab.Inc.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image power of rainbow color music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 precedent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result on image power of music.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an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in terms of image power related to color science and music. It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self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therapy through the Rainbow Color music to the subjects suffering from the depression, anxiety disorder, a sense of emptiness and stress created by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the loss of dig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upport the assumption that needs for image power of Rainbow Color music are to be indentified and more research should therefore analyze rainbow color music selected and examine its effects in accordance with various targets’ focus.

      • KCI등재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이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환자의 건강행태와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김윤경(Yoon-kyung Kim),김보라(Bo-Ra Kim),유은숙(Eun-Suk Yoo),윤서영(Seo-Yeong Yun),정미정(Mi-Jeong Jeong),최지혜(Ji-Hye Choi),최재순(Jae-Soon Choi),성현진(Hyun-Jin Sung),강영숙(Young-Suk Kang),이민숙(Min-Sook Lee),황태윤(Tae-Yoon Hwa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2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7 No.2

        본 연구는 2021년 1월에서 10월까지 경주고당센터에서 당뇨병 환자 57명과 당뇨병 전단계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2주 간격으로 7차 교육이 실시되도록 구성되었으며 1차와 7차 교육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육은 전화로 진행되었다. 교육내용은 자가혈당측정 및 활용, 올바른 약물복용법, 저혈당 예방과 대처법, 합병증예방과 관리, 당뇨식사관리, 식사일지작성, 식사유형분석 등을 포함하고, 교육시간은 대상자마다 상이하여 20분에서 1시간까지 소요되었다. 프로그램 동안 대상자들은 자가혈당 측정치를 ‘송아리당뇨’ 앱에 기록하였고 담당간호사와 영양사는 기록된 혈당치를 근거로 개별 맞춤형 혈당관리방법을 교육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사전, 사후 설문평가 및 당화혈색소 검사가 실시되었다. 당뇨병 지식(20점 만점)은 14.77점에서 15.41점으로, 건강행태(40점 만점)는 25.50점에서 28.40점으로, 자가혈당 측정경험(6점 만점)은 2.70점에서 4.81점으로 증가하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당화혈색소는 1차 평가(n=67명)에서는 7.38%에서 6.73%로, 2차 평가(n=53명)에서는 7.27%에서 6.67%로 감소하였고, 체질량지수도 24.47kg/㎡에서 24.01kg/㎡로 감소하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후 당화혈색소는 혈당측정치 활용도(r=-0.415) 및 사후 건강행태(r=-0.313)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혈당측정치 활용도는 사후 건강행태(r=0.581) 및 사후 당뇨병 지식(r=0.493)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당뇨병 환자와 당뇨병 전단계 환자의 혈당관리에 효과적이며, 사후 당화혈색소는 혈당측정치 활용도와 관련성이 있으며 혈당측정치 활용도는 사후 건강행태와 관련성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자가혈당측정 기반의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혈당관리에 효과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dividually tailored program based on self-measurement of blood glucose on health behavior and HbA1c in diabetes and pre-diabetes patients. Methods: The program consisted of seven sessions for 12 weeks which were carried out every two weeks. Almost all sessions were progressed on untact method except for the first and last session. The 71 subjects were assessed for their knowledge of diabetes, health behavior, the experience of self-measurement of blood glucose, body mass Index (BMI) and hemoglobin A1c (HbA1c) a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y were also evaluated on their degree of utilization of blood glucose measurements after the program. Results: Each mean score on their knowledge of diabetes, health behavior and the experience of self-measurement of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4.77, 25.50, and 2.70 to 15.41, 28.40, and 4.81, respectively. Each mean score on both BMI and HbA1c (n=5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4.47kg/㎡ and 7.27% to 24.01kg/㎡ and 6.67%, respectively. The post-HbA1c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415) with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blood glucose measurements.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blood glucose measurem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0.581) with post-health behavior. Conclusions: The program shows effectiveness in improving HbA1c in Type 2 diabetes and pre-diabetes patients. The post-HbA1c might be related to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blood glucose measurements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health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