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 남성의 취업과 행복도: 상대취업률의 효과

        성지미 한국경제연구학회 2022 한국경제연구 Vol.40 No.2

        Happiness of Koreans is relatively very low compared with most OECD member countries according to the various worldwide reports and it drops as people come aged. According to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KLIPS), happiness of the older becomes lower as they are aged and, at all age groups, workers are significantly happier than nonworkers. It is notable that nonworkers becomes happier with the higher age while it is the opposite for workers. This study tries to find a best model of happiness to explain this phenomena by applying the fixed-effect model to the balanced panel data from the KLIPS (2015∼2019), of which happiness has been measured by the 0∼10 point scale. The relative employment rate, defined by the being worker(1 or 0) minus the proportion of workers out of the same aged male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lders’ happiness as expected. When applying the separate measures for workers and nonworkers, its effect on happiness is positive for nonworkers while it is the opposite for workers and its negative effect for workers’ happiness becomes higher when including both of labor income and total family income net of it as explanatory variables. 한국인의 행복 수준은, 대부분의 주요 세계보고서에서 보듯, OECD 회원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행복도가 낮아진다.「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에 따르면, 중고령자의 행복도는 연령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데, 모든 연령층에서 비취업자보다 취업자에서 높지만, 여성에서는 취업 여부별 차이가 거의 없다. 비취업 중고령 남성의 행복도는 연령에 따라 높아지는 반면 취업 남성에서는 낮아지는 상반된 양상을 보이며, 이에 따라 남성 취업과 비취업 간 행복도의 격차는 줄어든다. 본고는 이러한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을 포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한국노동패널조사」(2015∼2019년)에 모두 응답한 중고령 남성의 행복도를 일(취업 여부 등)과의 맥락에서 고정효과모형으로 실증분석하되, 상대취업률-본인의 취업 상태(1 또는 0)와 동일 연령 남성의 취업 비중의 차이로 정의-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상대취업률은 행복도에 긍정적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비취업의 상대취업률은 이에 부합하는 반면 취업의 상대취업률은 오히려 부정적 효과를 갖는데, 특히 상용직과 임시직 및 자영자에서 그러하며, 이러한 부정적 효과는 본인의 근로소득을 통제하였을 때 더욱 크게 나타난다. 동일 연령에서 일하는 남성 비중이 줄어들면, 일하는 남성의 행복도가 낮아지는 이유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성지미 한국노동연구원 2006 노동정책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한국노동패널」7차년도 자료의 맞벌이부부874쌍을 이용하여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연립방적식(FIM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인의 시간당 임금은 시장노동시간에는 음의 영향력, 근로소득은 비시장노동시간에는 양의 영향력, 가구총소득은 여가시간에 양의 영향력을 보였다. 남편의 여가시간은 여성의 시장노동시간에는 음의 영향력을 보였고, 여가시간과 비시장노동시간에는 양의 영향력을 보였다. 남편의 비시장노동시간은 여성의 시장노동시간과 비시장노동시간에는 양의 영향력, 여가시간에는 음의 영향력을 보였다. 자녀의 연령 구성에 따른 존재 여부는 시장노동시간과 비시장노동시간을 대체하고 현재 경제 상태에 대한 인식은 여가시간과 비시장노동시간을 대체하는 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ime allocation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using systems equations(FIML). The sample of the empirical study was the 874 married working women among the both working households of the 7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omen's wage showed a negative effect on market work hours. Women's earning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household work hours and total household incom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women's leisure time. Leisure time of the husband had a negative effect on women's market work hours while positive effect on women's leisure time and household work hours. The presence of children had a negative effect on women's market work hours while positive effect on household work hours. This implies that the presence of children has a substitute effect on market and household work.

      • KCI등재

        여성의 자영업 결정요인과 경력단절 가능성

        성지미 한국노동경제학회 2002 勞動經濟論集 Vol.25 No.1

        취업 중 자영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자영업 선택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 특히 여성에게 있어 결혼과 자녀 보육이 취업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의 선택이 자유로운 자영업은 여성의 가사노동과 경력 유지를 병행하는 하나의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취업·미취업의 선택과 피고용·자영업의 선택을 동시에 고려하는 이변량 프로빗 모형(bivariate probit model)을 「한국노동패널」1차년도(1998) 자료에 적용하는 한편 취업한 여성을 3차년도(2000)까지 추적하여 이 기간 중 발생한 노동공급의 변화-노동시장에서 퇴장, 근로시간 증가, 근로시간 감축-의 결정요인을 다항로짓 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취업의 선택에서 어린 자녀의 존재는 유의한 부(-)의 효과를 갖는 반면 자녀 보육 보조자의 존재는 유의한정(+)의 효과를 가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게 나타난다. 결혼과 어린 자녀의 수의 증가는 노동시장에서의 퇴장에 유의한 부정적 효과를 미친 반면 근로시간의 감축에는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임금근로자와 비교할 때, 피용자가 없는 자영자의 무급가족종사자는 근로시간 증가보다는 노동시장 퇴장에서 퇴장하는 확률이 낮고 피용자가 없는 자영자는 근로시간을 감축하는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시간의 유연성으로 가사노동과 시장노동의 병립이 용이한 자영업을 잠재 여성인력의 활용과 경력 단절을 막는 방안으로 고려하는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The self-employment can provide work time flexibility Work time flexibility would be a critical factor for married females' labor supply considering allocation of their time to market work and household work. This study used the 1998 and 2000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for the empirical analyses. Applying the bivariate probit model with partial observability, this study analyzed factors related to the choice of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choice of self-employment.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riage and the presence of younger children on changes in decisions related to labor supply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exit from the labor market, increasing and decreasing work hours. The presence of the younger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while positive, but insignificant, effect on self-employment. Compared with females working for others, self-employers without employees and unpaid family workers are less likely to exit labor market rather than increasing work hours. The self-employment w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evade females' career interruption and therefore to enhance the potential human resources.

      • KCI등재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성지미,차은영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勞動經濟論集 Vol.24 No.1

        자녀양육에 수반되는 시간적·금전적 비용부담이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한 선행 연구들은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였다. 사희복지정책이 발달한 국가에서 세대간 동거(co-residence)는 고령층의 의료 및 부양과 관련된 공적 비용을 사적 비용으로 전환하고, 공식적인 부양을 비공식적인 것으로 대체하는 동시에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을 증가시킨다는 관점에서 정책 설정에서 주요한 개선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2차년도(1999)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세대와의 동거상태, 부모 및 기흔여성 본인의 건강상태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Tobit모형의 추정 결과, 동거 여부, 여성노인과의 동거, 노동시장 근로를 하지 않는 여성노인과의 동거는 동거하는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계 없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량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간 동거는 세대간 사적 자원이전(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 of resources)을 통하여 기흔여성 의 노동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세대간 사적 자원이전이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시간자원의 이전이라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Co-residence is a type of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s of resources: money, time and space. Adult daughters and their elderly parents decide to co-reside, depending on their utility levels before and after co-residence that mainly depend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herefore, co-residence implies positive net benefits to both parties in the sense that, when they co-reside, elderly parents share childcare and adult daughter provide elderly care. In other words, formal (paid) care can be substituted with informal (unpaid) one. Both marriage and giving births are considered as the major obstacles to labor market attachment of women who bear burdens of home production and childcare. Co-residence can be a solution for married women to avoid career interruption by sharing burdens with their elderly parent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using the U.S. data on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s focused on elderly care and have concluded that they reduce government expenditures associated with public subsidies to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s on adult daughters and it examines effects of co-residence on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in Korea, who face limited formal childcare programs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It applies the Tobit model of married women's labor supply to the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1999),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f co-residence and the work and health status of the co-residing elderly as well as their own health status. Four specifications of the empirical model are tested that each includes co-residence with elderly parents, their gender, or their work and health status. Estimation results show mat co-residence, co-residence with female elderly, and co-residence with not-working female elderly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while poor health status of co-residing female elderly does not bring about any negative effects. However, co-residence with male elderly, regardless of their work and health status, has no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indicate that co-residence is closely related to sharing of home production among female elderly and adult daughters who are married and, through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s of resources in terms of time, it helps women avoid career interruption.

      • KCI등재

        공학인증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조사연구

        성지미,강승찬,민동균 한국공학교육학회 2009 공학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of accreditation programs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using questionnaire. The survey includes workers who graduated the accreditation programs, supervisors of the workplace of the graduates, and professors or related persons of the universities. Overall the results shows that related three groups of individuals evaluates the program positively. The accreditation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labor market entrance and performances in the workplace estimated by earnings. Compared with major courses, courses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needs revision to have more positive response from graduates and employers. Also the program has to give more attention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related to professionals and ethics related with job, and adjustment in the work environment. 본 논문은 공학인증 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인증졸업생, 산업체, 대학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체적으로 공학인증 교과목, 졸업생의 조직 내 활동 및 업무수행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결과로 제시하였다. 인증졸업생의 월평균 임금수준은 4년제 대졸자 또는 공학전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증졸업생이 노동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대기업에 근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전문교양, 투철한 직업의식과 윤리의식, 조직문화 적응에 대한 프로그램 지원이 상대적으로 더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며 인증졸업생에 대한 취업우대제도와 기사자격 취득 시 필기시험 면제 제도의 도입에 대해 산업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