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설현수(Hyunsoo Seol),김명숙(Myong Sook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2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는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적성개발과 진로선택을 돕기 위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에서 2002년도에 개발된 지필검사의 내용을 컴퓨터에 탑재하여 온라인으로 검사 실시 및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 검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도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 동등화 연구를 수행하면서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을 추출하고 분석해서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를 구성하는 하위검사 및 측정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시사점을 얻으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용 청소년적성검사를 구성하는 15개의 하위검사 중에서 ‘선그리기’검사를 제외한 14개 하위검사를 대상으로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을 Rasch모형을 적용한 WINSTEPS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추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른 하위검사의 차별기능문항분석 결과, ‘문자지각’검사의 경우 전체문항의 87%, ‘기호지각’검사의 경우 전체문항의 91%가 학교급에 따른 난이도 추정치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고하고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하위검사의 차별기능 문항분석 결과도 학교급에 따른 분석과 유사하게 ‘문자지각’검사 문항의 57%, ‘기호지각’검사 문항의 74.3%가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으로 집단간 집중력의 차이 및 응답반응의 성실성을 지적하였으며, 검사유형에 대한 충분한 예제숙지 및 하위검사의 재배치와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였다. The Computerized Youth Aptitude Test is an online service that provides the execution and result presentation of the paper and pencil Aptitude Test for Youth, which has been designed b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ork Information Center in 2002 to aid the aptitude development and career choice of youth from second year in middle school to third year in high school. The objective of the the study is to extract and analyze the item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ender with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2004 Computerized Youth Aptitude Test equating studies, and thereby acquire validity and implication regarding the sub-tests and measurement components. Towards this aim, the item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ender have been extracted from 14 among the 15 sub-tests of the Computerized Aptitude Test for Youth (the “Line Drawing” test has been excluded) using the WINSTEPS computer program, which applies the Rasch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items in the sub-test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level shows that 87% of the total items in the “Letter Perception” test and 91% of the total items in the “Symbol Perception” test report substantial disparity between the difficulty estimates according to school level. Second, the analysis of the items in the sub-test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similarly indicates that 57% of the total items in the “Letter Perception” test and 74.3% of the total items in the “Symbol Perception” tes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To explain this occurrence, the disparity between groups in attention span and sincerity towards item response has been noted, and the discussion about satisfactory familiarity with the test direction and exercise items and rearrangement of the sub-tests has taken place.

      • KCI등재

        정서적 공감척도의 타당화 및 차별기능문항 탐색

        설현수(Hyunsoo Seol),김동민(Dongmin Kim),이수현(Soohyun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정서적 공감과 관련한 실증적 연구에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한국어판 Mehrabian & Epstein(1972)의 정서적 공감척도(emotional empathy scale)의 측정학적 특성을 검토해 보고, 그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척도는 9점 척도로 제작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5점 척도로 변환해서 분석한 결과 5점 평정척도가 비교적 잘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항적합도 분석결과, 1개 문항을 제외한 32개의 문항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피험자×문항분포도에서 11개의 문항들이 피험자들의 정서적 공감정도를 전혀 변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서 6개의 문항이 차별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전공여부에 따라 15개의 문항들의 난이도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양적 연구결과를 기초로 해서 차별기능 원인에 대한 내용분석을 포함하는 질적인 분석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functions of 33 items of the Emotional Empathy Scale(Mehrabian & Epstein, 1972) using Rating Scale Model(Andrich, 1978). Followings are the three main finding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person-item target structure for the Emotional Empathy Scale showed a substantial number of items were not closely targeted on the persons(i. e., some items were too easy). This situation was reflected in the person separation reliability. The person separation reliability of 0.65 in this study was considered low. Second, the joint display of the expected and empirical ICC revealed that the data fit the model. If the data fit the model we could expect 19 or more out of 20 x"s to be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The result indicated that most of the dots(x) was located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along the expected score ICC. Third, an examination of the rating scale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resholds increased monotonically across the rating scale and the item fit statistics indicated that all 33 items were located within the criteria (0.5<fit<1.5). Fourth, the results of DIF(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dicated that almost half items of all 33 items in the analysis of counselor variable were detected as biased items. However, fewer number of items in the analysis of gender variable were detected as biased items.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Emotional Empathy Scale needs changes in item level to utilize in the future studies. In particular, the low reliability requires a cautious use of this scale.

      • KCI등재

        Messick의 타당도 관점에서 Rasch 측정모형 적용을 통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의 타당화

        설현수(Hyunsoo Seol)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인문?사회계열에 적용 가능한 이론중심 강의평가 문항을 개발해서 Messick(1995)이 분류한 타당도의 틀 속에서 Rasch 측정모형을 적용해서 검사문항을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문헌 분석을 통해서 개발된 15개의 문항을 가지고 51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항에 대한 타당화 분석을 시도하였다.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문항 적합도 분석결과 15개 문항 모두 양호한 적합도 지수값을 보여주었으며,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평정척도 분석 역시 5점 척도가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확인을 위한 잔차 분석결과는 평가문항의 단일차원을 지지해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 차별기능문항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이 수행되었다. 성별에 기초한 차별기능문항 분석의 경우 한 개 문항을 제외하고는 차별기능문항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신뢰도 계수 역시 양호한 값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naires which is used to evaluate instruction in univers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test the validity of item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tent, substantive, structural, generalizability, external, and consequential aspects of validity as described by Messick(1995). This study is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of rating scale model which is based on the Rasch mode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ur findings. First, fit statistics(INFIT and OUTFIT) for items were between 0.65~1.49, suggesting that items fit the Rasch measurement model. The point-measure correlation coefficient reflects the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of a single item and the Rasch measure of the scale. The point-measur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all 15 items in this study were above 0.5, indicating the hig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 value and the total score measure. Second, person fit statistics also revealed that approximately 11% in the study sample showed fit values greater than 1.5. This implies that the Rasch model requirements are not being severely violated to accommodate the data from this sample. Further, the category statistics from the Rasch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verage measures advance monotonically with category. Third, To investigate the dimensionality of the scal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tandardized residuals was perform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ercentage of variance accounted for by the Rasch model was 71.1%. Fourth,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for gender indicated 1 out of 15 items as displaying DIF.

      • KCI등재

        평정자간의 엄격성 차이정도가 피험자 총점산출 방법에 미치는 영향

        설현수(Hyunsoo Seol)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평정자에 의한 피험자 평정과정에서 평정자간의 엄격성에 따른 차이를 반영해서 생성된 모의자료를 가지고 3가지 총점산출 방법(단순총점, 표준점수, Facet점수)에 의한 피험자의 능력추정치를 산출한 다음에 모의 합격률에 따른 3가지 총점산출방법 간의 피험자 등위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모의자료는 8명의 평정자가 2개의 문항을 평정하는 상황을 설정하고, 1000명의 피험자 점수를 평균 0, 표준편차 1의 정규분포 형태로 발생 시켜서 4개의 집단에 무선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평정자의 엄격성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 5가지 상황(무선적인 엄격성, 엄격성 동일, 엄격성이 낮을 경우, 엄격성이 높을 경우, 엄격성의 범위가 넓을 경우)을 가정한 다음에 그에 해당하는 모의자료를 생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모의 합격률을 상위 10%, 20%, 30%로 설정한 다음에 평정자의 엄격성에 따라서 설정한 5가지 상황에서 3가지 총점산출 방법 간의 합격등위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점수와 표준점수 보정방식의 일치율은 평정자간의 엄격성과는 상관없이 거의 변하지 않은 일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평정자의 엄격성 분포가 크면 클수록 원점수와 Facet점수간의 일치율은 급격하게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러한 결과가 실제 평정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측정학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s raw score and score adjustments using standardized score and facet score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rater's severity. To demonstrate how various rater severity manifest themselves in this analyses, data were simulated to represent five types of rater severity: (1) no effect (2) random (3) leniency (4) harshness (5) wide spread of rater severity. Data generation was performed using WinGen and Facet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reement between person's raw score and standardized score was high regardless of rater severity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as the magnitude of the rater severity increases, the agreement of raw scores and facet score was dramatically low. The reasons for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Rasch 측정 모형을 이용한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의 타당화

        설현수(Hyunsoo Seol),유은경(Eunkyung Yu)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K-척도를 가지고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해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총 415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척도의 신뢰도, 문항 적합도, 척도의 차원성 검증 및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 문항 분석을시도 하였다. 분석 결과, 척도가 검사의 단일차원성을 가정하는 Rasch 측정모형에 부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분석결과, 한 문항을 제외하고 모든 문항이 양호한 적합도 지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 척도 역시 양호하게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에서 2 문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Korean Adolescence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K-scale) using Rasch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reveal that item-fit statistic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standardized residuals provide evidence of K-scale unidimensionality. Two out of 26 items display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for gender. A number of issues concerning K-scale were dis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박해준(Haejun Park),설현수(Hyunsoo Seol)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총 34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우울은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은 각각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감사, 인지적 유연성 및 심리적 안녕감을 감소시켰으며,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은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은 각각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울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는 대학 현장에서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lso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41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Depression decreased gratitude,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versely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both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lso a dual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e role of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will be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depression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at university settings.

      • KCI등재

        G-TELP 영어 능력 평가 검사 문법 영역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김형중(Hyongjung Kim),설현수(Hyunsoo Seol)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해서 공인영어 평가시험에서 사용되는 G-TELP 레벨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문법, 청취, 독해 영역 중에서 문법 영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TELP 레벨검사에 응시한 피험자 500명을 무선 표집해서 응답한 자료를 가지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문법 영역의 점수분포는 부적 편포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0.82로 높게 나타났다. 타당도 분석 결과, 검사 문항들이 피험자들의 능력분포를 잘 변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별 문항 적합도 분석결과 역시 부적합한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G-TELP 문법 영역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TELP Level Test, which is used in official English evaluations and examinations. The study used the Rasch model to analyze the areas of grammar. The subjects consisted of 500 individuals that took the G-TELP Level Test and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Their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ammar section showed a 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 with a high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score of 0.819. The analysis of individual items in fitness showed that most items were adequate at discriminating the abilities of the subjects. Second,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test was at an appropriate level. The valid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st items were adequate at discriminating the ability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The study analyzed the individual items and found that no items were unfi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nalysis of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a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의 도형추론지능과 일반지능간의 관계 및 배경 변인 분석

        김혜진(Hye-Jin Kim),설현수(Hyunsoo Seol)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도형추론지능검사인 APM이 일반지능검사를 대체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인 영향이 최소화된 지능검사인지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인천 및 경기 지역의 초등 4, 5, 6학년을 대상으로 APM과 K-WISC-Ⅲ를 실시하고 학업성취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APM의 도형추론지능을 K-WISC-Ⅲ를 통해 산출한 일반지능지수와의 상관 및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APM 수행수준을 성별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PM의 도형추론지능은 일반지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APM 수행수준은 성별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PM 점수는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APM) is generally accepted as a general intelligence test with a low level of culture-loading. APM was designed to de-emphasize cultural and academic content, sexual differ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whether figural reasoning ability test of APM can substitute for general intelligence test and whether APM is the culture-free intelligence test. Total score of APM was correlated with K-WISC-III" IQ and school achievement test scores. Also APM scor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ex,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PM and Verbal IQ(r=.44, p<.01), Performance IQ(r=.45, p<.01), and Full Scale IQ(r=.49, p<.01) were shown. There were no sexual differences and socioeconomic status differences. And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otal scores of APM and achievement test scores. All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APM can be used as a measure of general intelligence, and thus can be used for various studies especially for identifying the gifted in the future.

      • KCI등재

        A Multiple Mediation Analysis of Smart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between Negative Peer Relationships and Cyber Delinquency

        정지은(Jieun Jeong),설현수(Hyunsoo Seol)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또래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사이버 비행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부정적 또래관계와 사이버 비행 간 관계에서 스마트폰 의존도 및 공격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2,404명을 jamovi와 jAMM 모듈을 통해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또래관계,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사이버 비행은 각각의 변수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정적 또래관계는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사이버 비행에 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부정적 또래관계와 사이버 비행 간 관계에서 스마트폰 의존도 및 공격성이 중다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관계에 대해 부정적으로 느끼는 정도가 강해지면 스마트폰 의존도가 심해지고, 이에 따라 공격성이 높아져 사이버 비행의 정도가 심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또래관계에 민감한 학생이 사이버 비행에 빠지게 되는 메커니즘을 입증하여 사이버 비행 관련 상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eer relationships, smartphone dependency, aggression, and cyber delinquency was investigated while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eer relationships and cyber delinquency was verified. 2,404 middle school 2nd grade student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nd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jamovi and jAMM modu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eer relationships, smartphone dependency, aggression, and cyber delinquency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variable. Second, negative peer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y, aggression, and cyber delinquency respectively. Third, smart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wer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eer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This means that students with negative peer relationships tend to have a higher dependency on smartphone use, and accordingly, the degree of cyber delinquency is intensified by aggression increased from the over-dependency on a smartphone. This study proves the mechanism by which students who are sensitive to peer relationships fall into cyber delinquency, an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cyber delinquency-related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