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공주의와 그 적들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일련의 사회적 정치적 현안들을 통해, 현 보수 정권은 ‘총체적’ 무능과 부도덕성, 오만과 독선, 부정의와 퇴행적 민주주의의 실체적 본성을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절반’(?)은 그야말로 철옹성처럼 단단히 결집하여 현 집권 세력을 한 결 같이 지지 옹호하고 있다. 이처럼 비합리적인 ‘모순적인’ 사태가 야기된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논자는 다음의 사실을 ‘주된 원인’의 하나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곧 시대착오적 유물로 전락해 가고 있다고 봤던 반공주의라는 ‘사상적 망령’이 현 보수 집권 세력에 의해 다시금 정교하게 변용되어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는, 오늘의 한국 사회의 ‘실체적 진실’이 바로 그것이다. 현 보수 정권은, 과거 독재 체제의 ‘정당화 논리’로 기능했던 반공주의를 변화된 시대 상황에 맞게끔 변용하여, 한층 더 왜곡되고 강화된 ‘전투적 이념 대결 구도’를 구축하여, 현정권에 부정적인 구성원들에 대해서는 소위 ‘적대적 이념 세력’으로 규정하여 배제해 버리면서, 오직 현 정권을 지지하는 구성원들만을 공고히 규합 통합하는 소위 ‘배제적 국민 대통합’ 전략의 기본 원리로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한에서, 명색이 ‘민주화된’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반공주의는 일종의 변형된 ‘정권 정당화’ 논리로서 새롭게(?)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Through a series of social political pending issues and problems, the current conservative regime of Korea has been revealing its overall incompetence, immorality, arrogance, self-righteousness, and its true colors of the regressive democracy. But in spite of such a true state, the nearly "half(?)" of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support ardently Park regime as ever in a mass like an impenetrable fortress. Maybe various factors and causes have brought out such an irrational contradictory situation. Nevertheless I would like to suggest a inference as given below as a main cause. That is to say, the "Korean reality" that the present governing power is making a bad use of anticommunism which seemed an anachronistic relics politically by transforming exquisitely it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at is what I call the main cause of such the state of affairs. In short, by transforming the anticommunism which has played a role the justification logics for the dictatorship government in the pas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onstructing the militant ideological confrontation which is distorted and fortified, the present ruling clique utilize it politically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xclusive-integrative two nation strategy. And it is contrived as a sort of method of ruling which on the one hand, excludes the Korean members who have the negative and critical attitude to Park regime by dint of defining them as the hostile ideological forces, on the other hand, gathers and consolidates the Korean members who will back up and advocate ardently Park regime. In that sense, in the so called ‘democratized’ Korean society of today, the anticommunism is performing its role and function now as a sort transformed justification logics of the present regi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안호상의 일민주의 철학과 자생적 실천철학의 자격 조건

        선우현(Sunwoo, Hyu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1 No.-

        이전 글에서 필자는, 적지 않은 한계와 난점에도 불구하고, 일민주의 철학은 안호상이 자신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 구상을 현실에 구현해 보고자 오랜 기간에 걸쳐 구축한 자생적 실천철학의 ‘단초적 유형’으로 볼 수 있다는, 조심스럽지만 보다 긍정적인 시각의 잠정적 판단을 제시해 보았다.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드는 의구심은 한 둘이 아니다. 결국 이러한 의문들은 ‘일민주의 철학은 과연 진정한 의미에서 자생적 실천철학으로서의 자격조건을 온전히 갖추고 있는가?’라는 보다 근본적인 물음으로 귀착된다.이 글은 이러한 근본 물음에 대한 실천철학적 논의를 통해, 보다 설득력 있는 답변을 개진해 보고자 기획되었다.이를 위해 이 글은 이론의 ‘정립’, ‘내용’, ‘역할’이라는 세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세부적인 검토 작업을 벌여나갔다. 그로부터 ‘진정한 의미’에서 자생적 실천철학의 자격 조건을 온전히 충족시키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관해,현 시점에서 ‘아니다’라는 ‘잠정적인’ 답변을 제시하였다. 이는 일민주의 철학의 주요 내용과 형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드러난 치명적인 한계와 난점들―가령 현실 권력을 견제하기는커녕 부당한 독재 권력의 옹호논리로서 기능하는 역설적 사태―에 대한 규범적 실천철학적 판단에 의거하여 개진된 것이다. In this article, I intend to try to suggest the more persuasive answer to the basic practical philosophical question ‘Does Ilminism meet the qualifying conditions of the genuine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through varioussocial philosophical arguments about it. For that purpose, I carry out the detailed work to examine critically main forms and mattes in the system of Ahn’s Ilminsim focused on the three dimensions of the ‘establishment’, ‘contents’, and ‘role’ of theory. And based on the normative and practical philosophical judgement about the ‘decisive’ limits and problems that is revealed through such the work, the tentative answer which I propose in relation with that question whether Ilminism fully satisfies the qualifying conditions of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in its truest sense or not is ‘No.’ At this time, decisive limits and problems refer to fatal main factors which prevent Iminism from gaining the title as a practical philosophy in its truest sense.

      • KCI등재

        공동체주의의 그림자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29

        이 글에서 필자는 지금껏 한국의 사회철학 및 사회윤리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공동체주의의 실체적 진상(眞相)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는 ‘신보수주의의 철학적 정당화 논리로서의 기능과 역할의 수행’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공동체주의가 지닌 ‘치명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폭로하고 철학적으로 논증하여 확인해 보여주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공동체주의는 ‘수구 반동적 정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신보수주의를 이념적으로 옹호하거나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이론적’ 차원과 ‘현실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확증해 보임으로써 애초의 문제 설정이 타당한 것이었음을 나름 설득력 있게 보여줄 수 있었다. 그러한 확인 및 논증 작업은 1) 유사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의 전일적 지배의 허용 및 수용, 2) 유사 전체주의 사회의 도래에 대한 희구, 3) 강자 본위의 부(不)정의한 비인간적인 사회체제의 구현 논리, 4) 신보수주의의 유사 전체주의적 속성의 은폐 및 오인, 5) 위계적이며 통제적인 비민주적 권위주의 체제로의 회귀(回歸)등 대략 5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탐구 작업이 갖는 ‘사회 철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1) 공동체주의에 관한 ‘새로운 해석의 판본’을 제시해 봄으로써 공동체주의의 실체를 둘러싸고 보다 진전된 철학적 논의와 담론을 활성화할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2) 주로 ‘이론적’ 차원에서 공동체주의를 연구해 온 실천철학계의 논의 풍토가, 보다 현실연관적인 ‘실천적’ 차원에서 탐구하고 논의하는 분위기로 변모해 나갈 필요성을 환기시키는데 일정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한국사회에 구축되어 있는 보수/진보 간 이념적 대결 구도가 한층 더 왜곡된 방식으로 재구조화되는데 ‘공동체주의’가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환기시켜 줌과 동시에 그에 대한 이념적 방비책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리는데 나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 한반도에서 초래될 수 있는 전쟁과 같은 위기적 급변 사태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대응책의 모색과 관련해 유의미한 메시지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5) 공동체주의를 비롯한 주요 ‘현대 미국사회철학 유형’들의 실체와 특성을, 우리 사회와 우리의 삶에 미칠 영향과 연계하여 근본적으로 재검토해 볼 현실적 이유와 근거를 미력하나마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have revealed the fatal limits of Communitarianism , which could be one of the substantive truths of it, centered on the aspect that it plays a role as justification logics of Neoconservatism , and then I have carried out the task to demonstrate and confirm them philosophically and empirically. Through this kind of a task, I have demonstrated convincingly that the original ‘problem presentation’ is appropriate, by verifying the fact that Communitarianism has been carrying on the role and function directly or indirectly to support and justify ideologically Neoconservatism as reactionary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Such a work to confirm the validity of it has been accomplished focused on five items, that is 1) the permission of the whole domination of quasi nationalistic ideology, 2) the desire of the advent of quasi totalitarian society, 3) the realization logics of unjust and inhumane social order intended for the strong, 4) the concealment and misunderstanding of quasi totalitarian attribute of Neoconservatism , 5) the return into a controlled undemocratic authoritarian regime. The social philosophical significanc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By presenting new version of interpretation on Communitarianism ,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revitalizing the more advanced philosophical arguments and discourses about the substance of Communitarianism . 2) This work is expected to serve in some degree the basic change of the theory-biased atmosphere of philosophical arguments in Korean practical philosophy world which is called on to search and argue more actively on the level of practice in relation with reality. 3) This research will do much for letting all the people know the fact that Communitarinsim could be made bad use of in distorting more negatively the perverted confrontation structure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in Korean society. 4) This work of research will be able to provide some significant messages and implications in relation with seeking after the theoretical;practical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ritical situation of sudden change like a war in Korean peninsula. 5) This work will give some meaningful practical reasons and grounds to reexamine basically the real character and original nature of the principal social philosophy types in America, including Communitarianism in connection with the actual influences on our existential live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상징 폭력으로서 “개천에서 용 난다” : 개천에서 용 날 수 없음에 대한 철학적 확인 사살 - 학교 및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선우현(Sunwoo,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1

        이 글은 많은 한국인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개천에서 용 나기는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어렵다’고 확신하면서도 여전히 다른 한편으론 ‘개천에서 용 날 수 있다’는 믿음을 져버리지 않고 있는 현실을 목도하면서, 더 이상 학교 교육을 통해서는 개천에서 용 날 수 없다는 사실을 철학적으로 확인해 보여주기 위한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특히 학교 및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교사 등을 통해 상징폭력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실태, 특히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에 의해, 실제로는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그러한 것처럼 오인되고 내면화되고 있는 실태를 고려할 때, 개천에서 용 날 수 없음을 철학적으로 확실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 또한 경제자본은 매우 부족하지만 문화자본을 상당 정도 지닌 집안의 아이들이 좋은 대학에 합격하고 사법시험 등을 통해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는 경우, 이는 ‘외관상’ 빈곤 계층의 자녀가 본인의 피나는 노력을 통해 명문대학에 들어가고 이어 그 어렵다는 국가고시에 합격하는 사례, 요컨대 ‘개천에서 용 난 케이스’로 해석되어 받아들여지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오인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도, 개천에서 용 날 수 없음에 대한 철학적 확인 사살은 필수적이다. 정작 문제는 교육과 학교를 통해 개천에서 용 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오늘의 한국 교육현실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극복 방안은 크게 두 차원에서 모색될 수 있는바, 하나는 ‘학교 내’ 방안이며 다른 하나는 ‘학교 밖’ 방안이다. 전자는 문화자본의 소유 여부를 떠나, 누구나 본인의 능력과 노력을 통해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교육 환경 및 조건을 만드는데 역점을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비해 후자는 아예 명문대 및 명문대 중심의 대학서열 구조 자체를 아예 없애버림으로써, 문화자본을 많이 소유한 부모를 가진 학생들에게 명문대에 진학할 기회를 한층 더 많이 부여하고 있는 현재의 불공정한 교육 및 입시 제도의 존립을 근본적으로 허용치 않는데 방점을 둔 극단적 처방책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학교 내’ 그리고 ‘학교 밖’ 대안들 가운데 ‘어느 것이 오늘의 상황에서 개천에서 용 날수 있는 공정한 교육 여건을 확실히 구현하는데 현실적으로 기여할 것인가?’를 따져 보는 것은, 보다 심도 깊은 논의와 그에 따른 합의가 요구된다. 더불어 그 현실적 효과와 성과 못지않게, ‘어느 방안이 계급적 계층적 이해관계를 뛰어넘어 전 사회구성원들의 바람과 요구, 그리고 동의를 확보해낼 수 있는가’에 관해서도 폭넓은 논의와 의견 수렴이 필요한 사항이다. 그런 연유에서, 이후 어떠한 실천적 방향성을 향해 교육 체계의 전면적인 개혁과 혁신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과정에서 구체적인 방안은 어느 것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최종적 결정은 기본적으로 ‘열려져 있는 문제’라 할 것이다. Most of Korean people are tend to ascertain that through the education and schooling none can rise from humble beginnings, but then they still believe in the proverb ‘It is a caste of a black hen laying white eggs’. Being confronted with this state of things, in this paper I am intended to confirm the fact that none can rise from humble beginnings any longer, by dint of the formal school education. But actually, the critical problem is that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finding the solution and the measures to rise from humble beginnings through the school education. In spite of that, we can seek for the solution to settle such an unjust situation, in two aspects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realities of Korean society. One is the ‘withinschool’ way and the other is the ‘out-of-school’ way. The former is the solution that puts the emphasis on constructing the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 surroundings to go up to the most prestigious universities for anyone who wants to enter them through his own capacities and efforts, irrespective of the possession of the cultural capital. By comparison, the latter can be called the radical prescription that will not allow fundamentally the existence of the current unjust education system or the entrance examination institution which provides more the opportunities to go up to the SKY universities for the students who have the parents with lots of cultural capital, by eliminating the structure of the ranking of universities centered on some prestigious universities.

      • KCI등재

        비판적 사회철학과 도덕교육

        선우현 ( Hyun Sunwo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7

        이 글은 프랑크프루트학파의 ``사회비판이론``의 주요 이념과 개념, 핵심 논지와 이론적 지향점 등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도덕교육``의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지침과 시사점 등이 무엇인지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데 주력해 보았다. 그러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확인된 몇 가지 지침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 이념의 도덕교육에의 도입 및 적극 활용, 둘째, 의사소통 관계에 기초한 교사/학생 관계의 수립 필요성. 셋째,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원칙의 비판적 수용, 넷째, 도덕적 분노와 그에 기초한 정당한 사회적 투쟁 개념의 수용, 다섯째, 가치중립성과 그에 기초한 실증주의적 사유방식의 허구성 비판 등이다. 이어 이 글은 사회비판이론의 관점에서, 현 한국사회의 도덕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대략적이나마 몇 가지 지적해 보고, 그것의 해결 혹은 보완 방안에 관해 단초적(端初的) 수준에서 짧게나마 그 방향성을 언급해 보고자 했다. 보완 내지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 이념의 중요성 간과(看過), 둘째, 사회의 부도덕성에 대한 사회비판 교육의 부족, 셋째, 도덕적 분노와 정당한 사회적 투쟁에 관한 부정적 거부감의 잔존, 넷째, 허구적 가치중립성 입장의 고수 등이다. In this paper, I look into the main ideas and concepts, the essential points of an argument and the theoretical orientations of the Critical Theory of Society, and among them I devote myself to investigating critically the meaningful guidelines and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moral education. A few guidelines and implications confirmed by means of such a critical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roduction of an idea of critique into the moral education and its active application; secondly,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teacher/student relation based on communicative relation; thirdly, the critical acceptance of problem-solving principle through dialogue; fourthly, the embracement of moral anger and a concept of the just social struggle based on it; lastly, the critique on the value-neutrality and the fictiveness of the positivistic way of thinking based on it. Subsequently, I point out approximately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present Korean mo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Theory of Society. Then, I present shortly the direction about the solution or the way of supplement of those problems and limits on the level of clues. Some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or sup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overlook on the importance of an idea of critique; secondly, the deficiency of society-critique education about the immorality of society; thirdly, the survival of negative repulsion over the moral anger and the just social struggle; lastly, the adherence to the position with fictional value-neutrality.

      • KCI등재

        철학자의 현실참여, 철학적 신념인가 현세 영합적 기회주의 행태인가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6

        In this paper, I am intended to investigate critically the question “Is Lee Gyoo-Ho"s actual participation as a social philosopher in Korean society the practical action which coincides with his own philosophical conviction, or the opportunist behavior that caters to those in power?” and to give an persuasive and reasoning answer to it. For this purpose, I concentrate my efforts on disclosing the essentials of the problem of Lee"s participation in reality in two aspects. The one is the work to examine the actual particip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ideological affinity in his philosophical system between Lee Gyoo-Ho and the ruling class in those days, focused on the properties of his view of the world and the idealogical directivity. The other is the work to confirm the fact that his participation in political reality of Korea is projected over the long haul through inspecting his personal history to carry on working out his originative social-philosophical system. My ‘temporary’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work are as follows. Firstly, Lee Gyoo-Ho"s actual participation proceeds from his own philosophical conviction and intention to realize his philosophical plan in the Korean society by taking advantage of political power of reality. Secondly, his participation in reality under Chun Doo-Hwan"s dictatorial government is carried out, not to fulfil his own desire for power and honor with the aid of ruling power, but to accede to demand for his social philosophy on the basis of his decision that the then current situation of Korea under new military dictatorship regime must require his own practical philosophy. Lastly, Lee Gyoo-Ho"s participation in political reality could be put into practice by virtue of the coincidence in view of the world and the affinity of political ideology between his philosophical system and the ruling ideas of military rulers at that time.

      • KCI등재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와 현실 권력 추수주의의 결합 : 김형효의 자생적 철학체계 수립 기획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김형효는 본래 서구철학의 본산지라고 할 유럽의 한복판에서 서양의 철학과 사상, 문화를 공부했으며 그에 심취했던 전형적인 유학파(留學派) 철학자였다. 그럼에도 70년대 초반, 패기만만한 소장 사회철학자 김형효는 ‘한국적 특수성의 체험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보편적 이론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지적 모험과 고민에 빠져 있었다. 아울러 그 방향으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를 정립해 나가고자 시도하였다. 그렇게 해서 (잠정) 도달한 곳이 ‘양가성(兩價性) 논리에 기초한 (사회)철학체계’이다. 김형효는 그 같은 자신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한국사회의 현실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자 했으며 실제 정치일선에 뛰어들어 사회현실의 변화를 꾀하고자 기도하였다. 곧 그의 현실 참여적인 철학적 움직임은, 박정희 유신정권을 거쳐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에 이르기까지, 정치 현장에 적극 개입하여 정책 수립에 관여하는 등 예의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수행을 통해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문제는 김형효가 구상하여 제시한 나름의 ‘독창적인’ 철학적 사상체계가 ‘과연 고유한 자생적 철학체계로서의 자격 조건을 갖추고 있는가?’하는 점이다. 더불어 ‘그러한 문제성 있는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감행된 현실 정치에로의 개입이 제대로 된 철학적 방향성과 규범적 정당성을 지닌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방식이었는가?’하는 점도 깊이 있게 검토해 봐야 할 또 다른 중요한 문제점이다. 이러한 물음들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은 1970년대 유신정권과 뒤 이은 80년대 신군부 군사독재 정권 하에서 선도적인 현실 참여적 사회철학자로서 맹활약했던 김형효의 독창적 철학체계의 본질과 실체를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도 외래 (서구)철학에 대한 각주달기 철학에서 벗어나 고유한 사상체계를 수립하고자 했던 그의 ‘자생철학 수립 기획’이 애초의 목표와 달리, ‘독재 정권의 이념적 정당화 기획’으로 변질되게 만든 ‘근본 원인’을 비판적으로 폭로해 보여주는 데 주안점이 두어져 있다. 곧 그러한 원인은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에 자리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그것이 현실 권력에 대한 무반성적 추수주의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결정적으로 초래된 것이라는 점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여 주고자 한다. In the early 1970s, Kim Hyung-Hyo as an ebullient young philosopher was caught in the serious intellectual agony on the philosophical theme, that is to say “How can a universalist philosophical thoughts system be created based on Korean unique specificity of situation?” Thus in that direction displaying the creative imagination, Kim tried to establish his own original practical philosophy type. In so doing, the destination at which he had arrived temporally was the social philosophy type based on ‘the logic of ambivalence’. Also in reliance on such his own proper practical philosophy type, Kim Hyung-Hyo made an attempt to engage himself directly in the various politicalsoci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For example, he really plunged into the full-time politics and endeavored to solve and change the difficult political-ideological situations and obstacles, from Park"s Yooshin Regime to Chun"s Neo-Military Dictatorial Regime. The question is “Did Kim"s original philosophy type ‘in his own way’ fulfill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as the proper spontaneous philosophical system?” Besides, “Was his philosophical intervention into the real politics on the basis of such a problematic philosophy type an appropriate way of actual doing-philosophy which has the philosophical directivity and the normative justification?” is another important question which is to examine critically. Taking these controversial point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critically and closely the essence and substance of the original philosophy type of Kim Hyung-Hyo who played very actively as both a representative reality-participant social philosopher and a leading system-advocation ideologue under the dictatorial regimes over two decades from 70s to 80s. Above all, this essay tries to do its best in order to disclose critically the fundamental cause that allows Kim"s project of establishment of spontaneous philosophy type to change into the project of ideo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dictatorial regime, contrary to its initial intention and purpose. Name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explicitly the fact that the critical cause of such deteriorated change lies i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t the same time it comes to appear definitely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nd the blind conformism toward real dominant pow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