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보육 및 양육의 정보자원으로서 인터넷 활용에 관한 연구

        서혜전(Hye Jeon Suh) 한국아동학회 2004 아동학회지 Vol.25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parental amounts of Internet use for purpose of rearing 2) to investigate their environment and preparation level to use Internet as educational information source 3)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S. parents in environment, level of preparation, and amounts of use of Internet for purposes of child rearing 4) to find out the factors of use of Internet for purposes of child rearing.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urvey included five sections : background, environment, preparation, amount of total Internet use, and amount of Internet use for purposes of child rearing. Participants were 282 parents (128 American; 154 Korean) with at least one 3~ to 7-year-old child. Findings revealed that parents used the Internet frequently, but they did not frequently use the Internet for purposes of child rearing.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S. parents in environment, level of preparation, and amount of Internet use for purposes of child rearing. The main factor that affected use of the Internet for purposes of child rearing was `trustworthiness of Internet information`. Finally, it was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better Internet use for purpose of rearing from the findings.

      • KCI등재

        박물관을 활용한 프로젝트접근법이 유아의 사고양식에 미치는 효과

        서혜전(Hye-Jeon Su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박물관을 활용한 프로젝트접근법이 유아의 사고양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아본 사고양식은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학급의 총 41명이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를 실시했고 검사자 훈련, 예비검사, 사전검사, 교사교육,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박물관을 활용한 프로젝트접근법이 유아의 확산적 사고 증진에 효과가 있었으며, 확산적 사고의 4개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모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박물관을 활용한 프로젝트접근법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 증진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에서 서로 다른 관점 인식하기, 판단하여 이유말하기, 결과 예측하기, 타인적용기준을 나에게 적응하기라는 4개 요인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ject approach program using museum on young children's thinking styles. It examined processes of project approach program using museum to determine its impact on young children's individual thinking such as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subjects were 41 5-year old children. Twenty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one to the control group. Pretest-treatment-posttest design was adopted for this study. For the children's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children with project approach program using museu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oject approach program using museum influenced the children's thinking styles.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분석: 4차 표준보육과정 적용에 따른 교사 인식과 실천 변화 중심으로

        서혜전(Suh, Hye Jeon),공현희(Kong, Hyeon Hee)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1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4차 표준보육과정을 어린이집에 적용하면서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고, 교사에게 있어 교사학습공동체의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 경험이 거듭되면서 교사의 생각과 실천력에 있어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 2명과 연구참여자 6명이 참여한 실행연구로서 연구참여교사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국공립 A어린이집의 영유아 교사였으며, 2020년 4월부터 12월까지 매월 2회씩 총18회의 교사학습공동체를 실시하였다. 4차의 실행하기-반성 및 성찰하기 등을 반복적으로 시행되었고, 교사학습공동체 회의 및 집단면담 녹음자료, 연구참여교사의 간단 저널, 연구자의 관찰자료 등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를 처음 시작하고 교사들은 주로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대한 의문,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 단지 놀기만 하는데 배움이 일어날 수 있겠는가에 대한 의심 등이 있었으나, 교사의 개입이 줄어드는 만큼 아이들은 놀이에 더 즐겁게 참여하고 놀이가 확장되어 나타남을 확인하게 되었다. 둘째,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이전 교사주도 계획과 실행에 대한 반성과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배우는 배움의 다양한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공유하였다. 셋째, 4차 표준보육과정의 현장 적용을 위해 어떤 교사의 역할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들, 그리고 교사의 주요한 자질과 역량을 함께 공유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 의미,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with the aim to determine what kind of changes occurred in the teacher s thought and practical ability as the experience continu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teachers from the public a childcare center in Daegu, South Korea. A total of 18 learning communities were held twice a month from April to December 2020. Recorded materials for teacher-learning community meetings and group interviews, simple journals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observational data of researchers were analyzed.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enjoyed the playtime, with the play expanding as teachers overcame their intial doubts and fears towards the play-centered childcare curriculum.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eachers reflected on previous teacher-led plans and implementations and there are various elements of learning that children can learn through play. These findings were shared amongst the teachers within the community. Third, teachers shared about the major qualities and competencies of teachers. The study concluded with discussion of limitations, meanings, and further required research.

      • KCI등재후보

        교과과정과 박물관을 연계한 문화교육활동이 아동의 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박물관 중심으로

        서혜전 ( Hye Jeon Su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학년 교과과정과 대구·경북지역 박물관을 연계한 문화 교육 활동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에게 적용해보고 아동의 사고력(비판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과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의 학생들로 총 71명이었으며, 한반은 실험집단 35명, 다른 한 반은 비교집단 36명이었다. 본 연구는 교과과정과 박물관 연계 문화교육활동 개발, 검사자 훈련 및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과과정과 박물관을 연계한 문화교육활동이 아동의 사고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특히 비판적 사고력 중 편견탐지능력과 종합능력을, 확산적 사고력 중 유창성과 독창성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여러 제한점이 있으나 박물관 전시물과 교과과정과 연계한 교육 활동을 개발, 적용해봄으로써 새로운 박물관 교육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museum-based 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and adopt the program to children to find out how their critical thinking, divergent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changed.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71 children of 3rd grade. The subject group was made of 35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was 36children.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10museums were visited and 2 museums among them have been chosen where children’s field trip was possible.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ubjec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t the preliminary test but effectiveness was found after the experiment. And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vergent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advanced effectively after adopting museum-based 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The result on this study has proved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effects of museum -based 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which is related to elementary curriculum and using the museum not only field trip place but resources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방과후 방치와 아동의 공격성, 위축, 우울과의 관계에서 독서의 매개효과

        서혜전 ( Hye Jeon Suh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3

        이 연구에서는 방과후 방치와 아동의 공격성, 위축, 우울과의 관계에서 독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의 초등학교 1학년 2차년도(2011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2,342명 중 방과후 방치되는 아동 460명이었다. 방과후 방치 아동을 선정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및 타당도분석(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종속변인은 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이었으며, 이들과 방과후 방치와의 관계에서 독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LISREL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과후 방치는 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에 방과후 방치와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변인과의 관계에서 독서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과후 방치가 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방과후 보호서비스는 다각적 접근을 해야 하며 특히 방과후 자신의 가정에서 방치되는 아동의 보호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하고 방과후 방치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의 감소를 위한 독서의 효과적 개입 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fter school self-care has an influence upon children`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the mediating effect of reading. This study utilized the panel data from the KCYPS (2011) for first graders and 2,342 cas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0 after-school self-care children. This study has proven the mediated effect - not only direct but indirect effect - of after-school self-care children`s reading and their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level of reading o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found that as the time for reading increased there was a corresponding decrease i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 also suggest that multidirectional policy services are required for the needs of after-school self-care children, especially those children who are home without adult supervision.

      • KCI등재

        박물관을 활용한 사회 단원의 교육 활동 개발과 효과

        서혜전 ( Hye Jeon Suh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seum education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3rd grade children. It examined processes of museum education program to determine its impact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such as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Sixty-three 3rd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8 program sessions. All subjects received pre-, post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s of 3rd grade children increased as a result of this progra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웹 기반 부모교육 성과의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서혜전(Suh Hye Jeon),서영숙(Suh Young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웹 기반 부모교육이 유용한 교육방법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더 나은 운영전략의 수립을 위해 웹 기반 부모교육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10주간의 웹기반 부모교육에 참여하고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124명이었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지원환경이 참여도와 교육성취도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웹 기반 부모교육 성과의 결정적인 요소가 부모들의 육아, 가정 및 직장 환경과 학습의 성공적인 융화와 통합임을 시사하고 있다. 더불어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참여도의 사전지식정도와 학습동기는 교육성취도의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웹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전략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여 부모로 하여금 시공간의 제한 없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부모역할의 기술을 증진시키고 자녀양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Society has continuously asked parents to develop their ability and skill in their child-raising. When we consider today's situations, web-based parent education offers parents chances to access whenever and wherever they need and is considered as one of useful education method with various educational benefits. However, better educational results can not be achieved without appropriate and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Thus, we need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strategies to maximize educational benefits in consider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outcome in web-based parent education. In this study we approached 1) to understand trait, ability and environment of parents who participate in web-based parent education and 2)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of par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24 parents with early child, an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necessary data.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ssociation with educational outcome we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 environment.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the requirement for educational achievement in web-based parent training program is to integrate their environments and learn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us useful information of strategy-making when we devise web-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A well established web-based education program will contribute for parent to develop their rol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hild-raising regardless of time and location.

      • KCI등재

        블렌디드 로봇교육 활동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박영숙 ( Young Sook Park ),서혜전 ( Hye Jeon Su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4

        본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블렌디드 방식의 로봇교육활동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대구시 달서구에 소재한 J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에 다니는 3~6 학년 아동 70 명으로 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37명이었다. 실험처치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사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블렌디드 로봇교육 활동의 구성, 예비조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블렌디드 로봇교육의 온라인 교육은 8 주간의 교육내용으로 동영상과 멀티미디어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오프라인 교육은 매주 40분씩 3 차시 수업을 연속 강의로 해서 8주간 총 8회 24차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블렌디드 로봇교육 활동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습동기 하위 변인 중 수업동기, 본질동기, 계속동기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과 학습몰입의 하위 변인인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 모두에서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를 제시하고, 놀이를 통한 로봇교육, 로봇교육에 있어서의 다양한 학습 전략과 방법, 블렌디드 로봇교육을 통한 아동의 몰입의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motivation and immersion of children which were activated by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activities of learners. And it focuses on robot education and experience in cyber space which awakes children`s attention, interest and desire. For the research, after-school robot education was blended with customary offline robot education developing into an online robot education program which was experimented to the children and researched how effective this program to the learning motivation and immersion of children. The blended robo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consists of assembling activities in cyber space with online connection as well as customary offline robot toy education. Online 2D, 3D robot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experimented to the 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d from 3rd to 6th class in the after-school education. This J school, situated in Janggi-dong, Dalseo-gu, Daegu City, was chosen with consent of the teachers. 33 Students were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37 as control group. Students were asked how learning motivation and immersion were effected and analysed through quetionnaires.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 in the result of dependent variables, t-test was executed. As a result,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of leaning motivation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of learning immersion, such as cognitive immersion and affective immersion, which analysed the result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cognitive immersion as well as in affective immersion. Based by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robot education through play, diverse learning strategy and method, qualitative research of children`s immersion through blended robot education.

      • KCI등재

        부모로 인한 성노출 피해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이미애 ( Mi-ae Lee ),서혜전(교신저자) ( Hye-jeon Suh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 인한 성노출 피해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모로 인해 성노출 피해를 경험했고 현재 부모로부터 분리되어 아동복지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 2명이었다. 2012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25회기에 걸쳐, 주1회 회당 60분간 실시한 모래놀이치료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매회기별 아동의 언어적, 행동적 특징을 관찰하여 기록된 일지와, 사전 사후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SES) 및 사회성 척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래놀이치료를 하기 전과 후 자아존중감 검사와 사회성 검사를 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평균의 증가를 보였고, 모래놀이치료 회기별 행동 관찰에서도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사회성 검사는 통계적인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내었다. 이는 부모로 인한 성노출 피해아동의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치료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자신에 대한 인정과 수용이 타인에 대한 인정으로 이어지면서 사회성도 증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에 의한 성노출 피해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을 도와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모래놀이치료를 활용하여 직접적 성폭력 혹은 물리적 성학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 연구들에서 벗어나, 피해를 규명하거나 피해정도를 가늠하기 어려운 성노출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과 모래놀이 활동의 활용범위를 넓히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argeted children living in children’s welfare facilities who were affected by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It examined cases of sand play therapy offered to 2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ue to low self-esteem and sociality, and analyzed ‘the effect of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affected by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ociality’. It analyzed sand play therapy that was offered for 25 sessions from March to December 2012,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and to verify the research result, it compared the log that was recorded by observing children’s linguist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each session, and self-esteem scale(SES) and sociality scale before and after therap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f-esteem test and sociality test before and after sand play therapy, self-esteem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average after the experiment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Behavior observation of each session revealed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sociality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during the process of sand play therapy, the children affected by the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self-esteem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ir therapist, and the acknowledgement and acceptance of themselves led to the acknowledgement of others, eventually increasing their sociality. This study targeted children who have troub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ue to the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and aimed to help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ociality through sand play therapy so that they can form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earch result seen from abov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took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used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who suffered from direct sexual assault or physical sexual abuse. It focused on children affected by sexual exposure, whose damage is hard to clarify or measure.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use of sand play therapy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