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 비교

        서주영 ( Juyoung Seo ),김자경 ( Jakyoung Kim ),강혜진 ( Hyejin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특성 및 그 관계를 일반교사와 비교하여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B시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62명과 일반학급 교사 6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 수준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ANOVA 및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에 대한 태도 총점은 특수교사에 비해 일반교사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위영역별로는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 수학에 대한 동기 및 수학에 대한 흥미에서 일반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수학교수효능감 총점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수학교수 자기효능감에서 일반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수학에 대한 태 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상관관계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일반교사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general elementary teacher. A total of 128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f these teachers, 62 teachers wer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66 teachers were general elementary teachers.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1.0 was used for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W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mathematics of general elementary teacher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twee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lementary teachers. Thir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lementary teachers.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 was addressed

      • KCI등재

        학습장애 진단 의뢰 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슬기(Kim Seulgi),김자경(Kim, Jakyoung),서주영(Seo Ju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general teacher s learning disability diagnosis request process. As a participant in the study,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requesting a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or who had been in charge of students with a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llected for nomadic purpose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o conduct a focus group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open coding, and five categories - ‘understanding of learning disabilities’, ‘diverse characteristics suspected of learning disabilities’, ‘reasons in difficult to request a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difficulty in supporting students with risk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and ‘various demands for effective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and support’ - 17 subcategories were derived under research topics. The results will be the basis for diagnosis and supports the students with risks of learning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진단 의뢰 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B · U광역시 및 G도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3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일반교사이며 총 10명의 교사들을 연령 · 성별에 제한을 두지 않고 5명씩 2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개방형 코딩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 ‘학습장애로 의심되는 다양한 특성’, ‘교육현장에서 학습장애 진단 의뢰가 어려운 이유’, ‘학습장애 ·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지원의 어려움’, ‘효과적인 학습장애 선별과 지원을 위한 다양한 요구’의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1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단 의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

        박귀조 ( Park Gwijo ),김자경 ( Kim Jakyoung ),서주영 ( Seo Ju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성공적인 블렌디드 러닝 운영시 필요한 지원요구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B시 소재 특수학급이 있는 유치원 및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으며, 블렌디드 러닝 운영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개방형 코딩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 운영의 어려움’, ‘블렌디드 러닝 운영을 위한 노력’, ‘블렌디드 러닝 운영의 효과’, ‘블렌디드 러닝 운영 시 고려할 점’, ‘블렌디드 러닝 운영을 위한 지원’,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지원’의 총 6개의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19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내실 있는 블렌디드 러닝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blended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support requirements necessary for successful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Method: Six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mployed at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B city who had experience with blended learning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interview content was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an open coding method. Results: Based on the interviews, six cor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Challenges in operating blended learning', 'Efforts for operating blended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Considerations for operating blended learning', 'Support for operating blended rning', and 'Support for home-school collaboration', and a total of 19 subcategories were derived within these six core categorie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CRA 전략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중재반응모델 2단계 적용

        김자경(Kim, Jakyoung),강혜진(Kang, Hyejin),서주영(Seo, Juyoung),신정원(Shin, Jeongw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CRA 전략 기반 수감각 2단계 중재가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의 수감각과 수학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수감각 수준이 낮은(-1SD 이하) 만 6세 아동 5명을 대상으로 수감각 2단계 중재를 실시한 후 수감각과 수학성취도 검사에서 향상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감각 2단계 중재는 매 차시 C(구체적)-R(표상적)-A(추상적) 단계의 활동으로 5주간 총 29회기 진행되었다. 각 회기는 도입(5분), 전개(20분), 정리(5분)로 구성되었다. 수감각의 진전도를 확인하기 위해, 김자경 등(2018)이 개발한 수감각 검사로 사전, 중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학성취도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KISE-BATT:수 영역 검사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들의 수감각 총점에 대한 진전도를 분석해 보면, 매회기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감각 사전-사후 점수의 비교를 위해 비모수통계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들의 수학성취도 사전-사후 점수의 비교를 위해 비모수통계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아동의 수학성취도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감각 2단계 중재는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의 수감각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based on CRA (concrete-representational-abstract) for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5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6-year-old) participated in the CRA-based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for 29 sessions during 5 weeks. Each session was made of introduction (5 min), main lesson (20 min), and wrap-up (5 min). The main lesson consisted of C(Concrete)-R (Representational)-A (Abstract) stages.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were measured with a Number Sense Test, developed by Kim et al. (2018) and the Number Subtest of KISE-BATT: Math (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 Math), which is a standardized test of math achievement.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number sense of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gradually improved during the intervention. The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number sens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Second, the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math achievement in Numb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observed. However, all children except one showed higher scores o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on the Number Subtest of KISE-BAAT: Ma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sense intervention based on CRA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mber sense of the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