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상남도 불교의례 무형문화재의 전승 현황과 과제

        서정매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4 무형문화연구 Vol.0 No.12

        본 연구는 국내에 전승되고 있는 불교의례 무형문화재 중에서 경남무형문화재인 불모산영산재와 작약산예수재의 전승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불모산영산재>의 범패 예능보유자는 혜암이지만, 실제 공개행사는 전 예능보유자인 석봉이 의례의 대부분을 전적으로 맡고 있어서 현 예능보유자는 보유자로서의 능력과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불모산영산재>는 가족관계에 의한 전승체제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 예능보유자였던 석봉은 2016년에 종목이 새로 지정될 때 보유자에서 물러났지만, 부인인 전순자(공덕화)가 장엄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즉 어장 석봉을 중심으로 하여 부인 전순자는 장엄 예능보유자, 아들 경암은 범패 바라무이수자, 며느리는 유일한 장엄 전수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가족 전승 체계는 주로 특수집단인 무속 계열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본 종목은 불교의식이므로, 전수자, 이수자, 예능보유자는 스님 및 범패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보편적이고 일반적이다. 셋째, <불모산영산재>의 장엄보유자 정순자(공덕화)는 공개행사임에도 불구하고 지화를 비롯한 장엄물의 제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장엄 제작의힘듦을 토로하였다. 장엄보유자로서의 자격 문제에 대한 고민과 반성이 필요하다. 넷째, <불모산영산재>는 2002년 지정 초기부터 일반인에 의해 작법무를 설행해왔다. 이는 범패승의 부족에 의한 것이었지만,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서이러한 성행이 당연한 것으로 변모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2019년에 지정된<작약산예수재>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작약산예수재>에서 작법무에 참여한 17명의 일반인 전수자들과 장엄물의 설치와 해체를 돕는 이들은 불교의례에 참여하는 모습이라기보다 공연으로 인식하고 있는 모습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어서, 불교의례에 대한 회원들의교육이 요구된다. 여섯째, <불모산영산재>와 <작약산예수재>는 최근에 들어서 공개행사 시간을 3시간 정도로 대폭 축소함으로 인해 의례 절차 또한 생략되고 간소화되었다. 1년에 한 번 개최되는 공개행사의 시간과 의례의 축소는 무형문화재가 올바르게 전승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 KCI등재

        새터가을굿놀이의 전승과 음악적 양상

        서정매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8

        새터가을굿놀이는 밀양시 초동면 신호리(일명 새터)에서 가을걷이를 할 때 부른 민요를 놀이와 결부시킨 것으로, 가을타작이 끝날 무렵 당산제를 지내고 풍년잔치를 벌인 것에서 유래한다. 새터가을굿놀이는 크게 세 마당으로 구성된다. 첫째마당은 도입부에 해당되는 1)입장굿, 둘째마당은 2)성황고사마당, 3)공상타작소리, 4)가을작마당, 5)뿍대기타작, 6)목메놀이 등의 놀이마당, 셋째마당은 7)판굿인 대동화합마당으로 구성된다. 밀양은 상원(上元)놀이와 중원(中元)놀이가 각각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농경의식이 발달하였다. 특히 하원놀이의 전승이 전국적으로 미약하다는 점에서 새터가을굿놀이의 전승적 가치는 매우 높다. 새터가을굿놀이의 전반적인 소리는 모두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경상도 민요의 특징을 잘 지니고 있다. Saeteo-gaeulgut-nori(Play)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folk song that was played when harvesting in the Shinhori (aka Satter) in Chongdong, Miryang City was associated with the play and played a sacrificial feast at the end of autumn threshing. Saeteo-gaeulgut-nori(Play) consists largely of three chambers. The first one is the entrance gut, 2) the second one is SeonghwangGosa(城隍告祀), 3) the sound of bench threshing(空床打作), 4) the harvesting chapter 5) the dry grass threshin, 6) the wooden millstone play, and the third one is 7) Pan-gut. Milyang has developed a sense of agriculture to the extent that both the Sangwon play and the Jungwon play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Especially, since the tradition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s weak nationwide, the status of Milyang Saeteo-gaeulgut-nori(Play) has a very important value. The overall sound of the autumn good play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 Folk Song are rooted in the structure of the menaritri,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well.

      • KCI등재

        부산 ․ 경남지역의 민요 무형문화재의 전승실태 조사보고서

        서정매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6 No.-

        Within folk songs which have been handed down in Pusan and Gyeongnam Province, this study focused on check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which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looked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ransmissions and found out the problems through interviews with transmitter and people concerned. The organizations in Pusan such as PusanminsokYesulbojonhyephoe, SuyeongGojeokminsokbojonhyephoe, and GudeokminsokYesulbojonhyephoe are managing more than 3 kind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have been generalized by one office, so it is safe to say that the works involved in cultural assets have been done very systematically. On the other hand, DadaepoHurisoriBojonhoe, which has only one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s played a role in handing down the song for 27 years without a training center until it was built on oct, 1, 2014. It is outstanding that in the face of the challenge mentioned above, it has discovered SahaBangasori and transmitted the song with DadaepoHurisori for 20 years. SuyeongGojeokminsokYesulbojonhyephoe play a role in transmitting 4 intangible cultural assets such as Suyeongnongcheongnori, Jwasuyeong- eobangnori, Suyeongjisinbalpgi, and SuyeongYaryu, but it has the problem that the members, around 100, are in charge of a few songs at the same time, so the organization needs to recruit new members, particularly young ones. Another problem which comes from Gudeokmangkketeodajigi․Pusan- Gobundorigeolrip, and Dongraejisinbalpgi is that there are no duplications, unlike the songs mentioned above, but female members outnumber male members, so there is the need to recruit more male members. Let’s move on to GeochangJeonsugwan which generalizes Geochang- Sambeilsori, GeochangIlsori, and Geochang SambGilsam. It has a characteristic to pay attention to that more than 160 members are in charge of all of 3 songs simultaneously, and recently it has found out Geochang Sangyeo- didilbanga Aekmakisorisori, which means that each member has to lean and master 4 songs. However, it has good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training centers- First, member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Second, they stay, practice, and handle administrative business. Third, they are willing to learn new songs without resistance. In case of UngsangNongchongJangwonsori, all members are more than 60 years old- no one is less than 60, which makes the recruitment of young members urgent. Some members argue that the method of transmitting education shoud be made specialized and systematic. Let’s move on to Madogalbangasori.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age of the members is 75. it is inevitable to recruit young members. In addition, whenever it is performed, since there is to carry boats too much expenses with a crane, it is required to make the boats which is easy to carry, but the financial problem is a sort of abstacle. also need to recruit members. Average age of members, 75, makes this organization the most aged one among the folk songs org, in Gyeongnam. This is because the young move to the city of Samcheonpo instead of living in Mado. Another challenge comes from the costs for crane to move boats because they need two boats whenever they perform. That is why there is an proposal that the boats should be made into small and light ones, but they have no money to make them, which mean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m to get financial support. In the area of music, there are parts in no harmony when they sing the leading songs and the receiving songs in the action of beating rice in the mortar, which result from transmission without proper training for performers. Thus, they need to get musical improvement. Looking into GoseongNongyo, the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s lost his position and there are no its candidate or a training assistant, that is why it is urgent to designate the holder and the training assistant to transmit and preserve GoseongNongyo properly. The... 본 글은 부산․경남지역에 전승되는 민요에 한정하여 민요 무형문화재의 성격을 검토하고, 전승자와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전승현황 및 문제점을 보고서형식으로 살펴본 것이다. 부산지역의 경우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수영고적민속보존협회, 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 등은 모두 3종목 이상의 무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고 하나의 사무실에서 문화재를 총괄하고 있어서 문화재관련 사무일이 비교적 체계적이다. 반면 다대포후리소리보존회는 2014년 10월 1일에 전수관이 개관되기 전까지 27년간 전수관 없이 전승을 해 온 경우이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사하방아소리를 발굴하여 다대포후리소리와 함께 20년간 전승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수영농청놀이․좌수영어방놀이․수영지신밟기를 전승하고 있는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는 수영야류까지 포함하여 총 4개의 무형문화재가 전승되고 있지만 종목에 비해 회원 수가 적고 중복 회원이 많다. 반면 구덕망께터다지기․고분도리걸립․동래지신밟기 등은 중복되는 회원은 없지만, 남자전수생보다 여자전수생의 수가 많은 편이어서 남자회원의 영입이 요구된다. 거창삼베일소리와 거창일소리, 그리고 거창 삼베길쌈까지 3종목의 무형문화재를 전승하는 거창전수관은 전수회원이 160명 이상이지만 전수회원이 3종목을 모두 중복 전승하고 있고, 최근에는 거창 상여디딜방아 액막이소리까지 발굴하여 전수교육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지속적인 문화재 발굴 및 종목별 전수회원의 중복은 타 지역과는 차별되는 거창만의 특징이다. 웅상농청놀이는 회원의 나이가 대부분 60세 이상이며 그 이하의 연령대가 없기 때문에 젊은 층의 회원확보가 매우 시급하며, 전수교육방법의 전문화와 체계화가 필요하다. 마도갈방아소리는 회원들의 평균나이가 75세로 젊은 층의 회원영입이 가장 시급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공연 때마다 배를 크레인으로 이동시키는 비용문제 및 이동성 용이한 배의 제작이 요구되지만, 재정적 문제가 걸림돌이다. 고성농요는 현재 예능보유자가 자격이 박탈되었고 후보자 및 전수조교도 지정이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보유자와 조교의 지정문제가 가장 시급하다. 이 외 현재 무형문화재는 아니지만 전승에 주력하고 있는 민요단체로 밀양아리랑, 거창의 상여디딜방아 액막이소리, 구포대리지신밟기, 사하방아소리, 창녕의 구계목도놀이와 양산의 원동목도소리, 함양들소리와 함안농요 등을 들 수 있다. 민요는 구전으로 전승되어왔고 산업화로 인해 점차 소멸되어가는 추세이지만 그럼에도 지역별로 단체를 이루어 전승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 KCI등재

        밀양지역에 전승되는 팔공산제 범패에 관한 연구 -전승계보와 전승현황을 중심으로-

        서정매 한국국악학회 2008 한국음악연구 Vol.44 No.-

        한국의 영산재는 크게 경제(京制)와 영남제(嶺南制, 일명 팔공산제) 그리고 호남제(湖南制)로 나뉜다. 경제는 서울 봉원사를 주축으로 하여 전승되고 있으며, 영남제는 부산영산재와 마산불모산영산재가 부산 및 경남권의 범패를 대표하고 있고, 호남제는 전북의 봉서사 영산작법이 호남지역을 대표하고 있다. 그러나 내륙에서 가장 성행했다던 영남지역의 팔공산제 범패는 현재 맥이 끊어진 상태이다. 이렇듯 팔공산제 범패가 사라지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1955년 정화운동(분규)으로 인해 종파가 나뉘게 되면서인데, 어산스님들이 강압에 의해 절에서 나오게 되면서 서서히 명맥이 끊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밀양지역의 몇몇 스님의 인터뷰를 통해 팔공산제 범패가 10년 전에 작고하신 박성봉스님에 의해서 밀양에 전승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관련된 녹음 및 영상자료로서는 1982년 사포리 어룡사에서의 49재와 1982년 약수암의 천쪽가사불사(袈裟佛事)에서 증명스님으로 봉축행사에 참석한 영상녹화자료, 1990년 밀양 불교사원연합회에서 주최한 표충사에서의 생전예수재의 영상녹화자료 그리고 광제사의 원봉스님이 보관하고 있던 1982년의 범패교육을 녹음한 테이프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 소멸된 것으로 알고 있는 팔공산제 범패가 밀양지역으로 전승된 과정 및 전승계보를 체계화하고, 의식절차와 의식내용의 구성과 특징을 밝혀 밀양에 전승되고 있는 팔공산제 영산재의 존속을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에 의해 밝혀진 밀양지역의 범패계보는 크게 둘로, 청도에서 이어져 내려온 팔공산제의 계보와 밀양 표충사제의 범패 계보로 나뉜다. 뿐만 아니라 밀양표충사는 통도사 말사로 분규 훨씬 이전에서부터 경남․부산권의 범패승을 양성한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부산영산재는 결국 밀양 표충사범패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청도의 범패승인 성봉스님이 밀양으로 이주해 오면서 밀양지역에는 경북청도의 팔공산제 범패가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어서, 밀양지역에는 크게 두 범패의 계보가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성봉스님으로 인해 전해지는 밀양의 팔공산제 범패의 의식절차는 삼신이운 → 대령 → 시련 → 관욕 → 시왕도청 → 상단권공 → 신중권공 →지장(중단)권공 → 축원 → 시식(영반)으로 구성되는데, 다른 지역의 영산재와는 달리 상단권공보다 지장권공을 더 중요시한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은 이미 사라진 것으로 알려진 팔공산제 범패가 밀양지역에 전승되고 있음을 밝힘과 동시에 1900년대 초중반에 성행했던 밀양 표충사범패의 계보를 정립한 것에 의미가 있다. 아울러 밀양지역에 전승된 표충사범패와 팔공산제 범패와의 상호 연관성과 함께 부산영산재와의 연계에 대해서도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부분이며, 무엇보다 고(故) 성봉스님의 소리로 이어지는 밀양지역의 팔공산 영산재의 온전한 보존과 계승을 위해 주력해야 할 것이다. There are two main streams/styles in Beompae music of Korea, which are Gyeong-je(Seoulstyle) and Youngnam-je(Yonngnam regional style, also know nas Palgongsan-Je). Gyeong-je has been performed mainly in Seoul area, specifically started from Bongwonsa temple and transmitted actively among the monks until today. In contrast to that, the transmitting of Palgongsan-Je which w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among there gional monks of the area has been completely discontinued and Busan-Youngsanjae Beompae(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Busan city#9) and Youngsanjae of Bulmosan-mountain of Masan-region(also 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Busan city district#22) have only survived among Busan and Youngnam regional Beompae music. One of the main reason that caused discontinuation of Beompae music of Palgongsan mountain is due to its cleanup movement in 1955. Most of the Beompae performing monks-Osan monks- were forced to move out from the temple and therefore their ritual performances has not been supported by either temples or the public. But, I have find out that Beompae music of Palgongsan mountain has transmitted by several monks until today after interviews made by old monks reside in Milyang region. The transmission has been made by the late monk Seongbong – references could be found in the video recordings of Sangjukwongongjae performance of Eoryongsa temple, Sapori area and Cheonjjokgasabulsa ceremony of Yaksooam temple in 1982 as well as Sangjeonyesoojae ceremony of Pyochoongsan temple in 1990 and educational material presented by monk Wonbong of Gwangjesa templ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have a close look into the genealogical table of transmission of the Palgongsan-Je Beompae music in the Milyang region and study about the musical structur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it by using the previously mentioned video recordings of the performances. As I conduct the research into it, I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main tables of descent, one is Palgongsan-Je originated from Cheongdo area and the other is Pyochoongsa temple-je of Milyang region. Among them, Pyochoonsa temple-je Beompae music has been the main temple where they actively teach and performing the Beompae music in Kyongnam․Busan region. Therefore, Youngsanjae ceremony of Busan is rooted from that of Pyochoongsa temple-je of Milyang area. Also, by the movement of monk Seongbong from Cheongdo region, the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of that region has been spread to Milyang region, which resulted growth of two different styles of Beompae music in this region. Official orders of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transmitted by monk Seongbong is like following: Samshiniun → Daeryeong → Siryeon → Gwanyok → Siwangdocheong → Sangdan kwongong → Sinjoong kwongon → Jijang(joongdan) kwongong → Chookwon → Sishik(Youngban). In conclusion, I have found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has not been discontinued but transmitted by several monks in Milyang region and tried to search for the genealogical table of Pyochoongsa Beompae music of Milyang region.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 in between the Beompae music of Pyochoongsa temple-je and Palgongsan mountain-je and its co-relation with Busan-Youngsanjae. Youngsanjae ceremony from other regions have to be studied in comparison to that of Youngnam region for us to establish more concrete conclusions on the genealogy tables of transmission of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of Youngnam region.

      • KCI등재

        부산지역 범패승 계보 연구

        서정매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1 No.-

        현재 부산지역에서는 통범소리를 잇고 있는 부산영산재가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어 전승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지역은 1972년에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용운스님이 범음범패 보유자로 지정된 바 있으나 이듬해에 후계자 지정 없이 작고하게 되면서 이후 21년간 문화재는 공란으로 비워지게되었고, 아울러 용운스님의 소리제자들도 묻혀지게 된 결과를 낳았다. 이후 1993년 부산시무형문화재제9호로 부산영산재가 다시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용운스님의 직계 소리제자들은 여전히 계보에 누락되어 있어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제대로 된 계보의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문은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계보를 사승관계를 중심으로 1세대ㆍ2세대ㆍ3세대ㆍ4세대로 세대별 나누어 정립하였고 아울러 부산지역의 범패를 지칭하는 통범소리 명칭의 어원, 통도사소리와 범어사소리와의 차이점 유무, 그리고두 사찰이 보유하고 있는 괘불연대와 전적(典籍) 비교를 통해 통도사와 범어사의 범패역사에 대해서도가늠해 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범소리’의 명칭은 1990년 이후 타 지역과의 소리 구분을 위해 생성되어진 것이며, ‘통도사소리’와 ‘범어사소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출신 스님들의 목소리의 특징에 따라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확대해석한 것이다. 둘째, 두 사찰의 범패 유물로는 통도사는 1700년대에 만들어진 괘불이 2점이나 있는데 비해, 범어사는 1905년에 제작된 괘불 1점으로, 통도사가 범어사보다 약 150년 정도 앞서있다. 반면 전적류에서는통도사는 의식집은 현재 찾아볼 수 없지만, 범어사는 불교의식집만 약 30여종 이상이며 1700년에 판각된 어산집 책판 30판을 온전히 소장하고 있는 등 두 사찰의 범패 관련 유물은 각각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1세대 어장인 대산스님이 편찬했다고 알려진 「대산집(大山集)」은 「범음요집(梵音要集)」ㆍ「예수문(豫修文)」ㆍ「각점안문(各點眼文)」로 합본으로 묶어져 있는 것을 법안스님이 다시 나누어 보관하고있다. 이 중 「범음요집(梵音要集)」의 말미에는 ‘광무원년(1897년) 섣달(음력 12월) 중완 때 사문 설천이금정산 금강나약의 소나무 창 아래에 향로 곁에서 옮겨 쓰다’로 정확히 기록되어 있어서 책을 집필한당시 대산스님은 27세의 젊은 나이이고 설천(雪泉)은 출가 때의 법명으로 추정된다. 넷째,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계보는 세대별로 보았을 때 1세대 어장으로는 대산스님, 2세대 어장으로는 용운스님이 대표이며, 그 외 동명스님, 호산스님․함허스님․벽파스님․원봉 스님이 있고, 통도사출신 범패승으로 월호스님, 그리고 윗녁출신 범패승으로 축산스님이 있다. 3세대 어장으로는 용운스님의 소리제자들로 구성되는데, 대붕스님ㆍ성봉스님ㆍ취봉스님ㆍ박만하스님ㆍ영봉스님 등이 대표된다. 이 외 통도사 출신 범패승으로 경명스님ㆍ만산스님, 또한 전라도 계통의 범패승으로 효산스님ㆍ윤호스님ㆍ덕봉스님이 있으며, 충청도 계통 범패승으로는 영파스님ㆍ영담스님ㆍ보광스님, 송만해스님이 있으나, 송만해스님은 표충사 범패승이기도 하다. 그리고 해인사 출신 범패승으로 화봉스님, 그리고 이북출신 범패승으로 법홍스님․흥월스님(女僧)을 들 수 있다. 4세대는 3세대의 어장들로부터 소리를 배운제자들로, 구암스님․혜륭스님․청공스님, 응산스님ㆍ도진스님ㆍ한파스님이 있으며, 이 외 범패장엄의대가로 종욱스님, 그리고 현재 부산영산재 소속의 범패승들을 들 수 있다. 이처럼 해방 전후를 중심으로 부산에서는 주로 범어사 범패승들이 중심되어 있고 통도사 스님은 범어사에 비해 몇몇 되지 않는다. 또한 당시 부산에서는 통도사ㆍ범어사 출신뿐 아니라 충청도ㆍ전라도ㆍ이북 지역에 이르기까지 출신 사찰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어산 활동을 하였다는 특징을 지닌다. 영제범패 부산지역 범패승들의 세대별 계보 정립은 향후 각 세대에 따른 음악적 특징과 음악의 시대별변화 양상 연구에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밑거름을 제시했다고 본다. Presently in Pusan, Pusan yeongsanjae which inherits Tongbeom-Sori is being handed down with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1972, monk. Yong-un was entitled to No.1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Beompae by Pusan city. Unfortunately, two years later,he passed away without appointing any of his successors. Afterward, the position has been open for 21 years, which resulted in submerging the monk Yong-un's disciples. Although Pusan yeongsanjae was entitled to No.9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93 by Puasn city, Monk Yong-un’s direct disciples are left out in the list of the genealogy of Young-je Beompae. That is why the reconstruction of it is necessary. There were several researches on the genealogy of Tongbeom-Sori, but it can be said that among them the most detailed one is professor Yoon so-hi's work. There are findings that the monks who were not actual Beompae monks were in the genealogy and the real Beompae monks are omitted, which requires more accurate rebuilding of it. Therefore, with making references to the former researches. the parts which are left out and errors are intended to be complemented and corrected in the way that the Beompae monks in Pusan are classified in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generation in the body of this paper. The first generation was led by monk.Daesan. the second generation includes monk. Yongun and Dongmyeong who were direct disciples of monk.Daesan. Aside from them. there were monk.Hosan, Hamheo, Byeokpa, and Wonbong who were the music disciples of monk.Daesan. Besides, monk.Wolho from Tongdo temple. monk and ChukSan was from the northen part of South Korea. The third generation consists of music disciples, not direct ones whose names are monk.DaeBung, Seongbong, Chuibong, Park manha, Yongbong and so 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all Beompae monks. Other monks can also be in the third generation as follows Monk, Gyeongmyeong and Mansan from Tongdo temple,monk.Hyosan, Yunho and Deokbong from Jeonra Province, monk, Yongpa, Yongdam. Song maanhae and Bogwang from Chungcheong Province, monk. Whabong from Haein temple, and monk.Beoheung and Heungwol(female) from the part of North Korea. Besides,monk.Geumhae, Whadam, Myeonggyo, Gil yeonggwan was Beompae-Jangeom monks in Pusan area. The fourth generation are composed of music disciples of the third generation. Monk Guam, Haeryung, Chunggong, Eungsan, Dojin, and Hanpa belong to the fourth generation. And monk Jonguk who is an authority on Beompae-Jangeom and Beompae monks who are the performers in Pusan Yeongsanjae cannot be left out in the list of the fourth generation. Through comparing the monks from Tongdo temple and Beomeo temple who were performing in Pusan area before or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the characteristic that most of them were the monks from Beomeo temple and only a few monks are from Beomeo temple is revealed.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together by not only the monks from Tongdo temple and Beomeo temple but also the ones from chungcheong, zulla Province, and the parts of North Korea no matter where they were from. The reason why Beompae in Pusan area is called Tongbeom Sori is that the performers are mostly from Tongdo and Beomeo temple in Pusan area, and that in the past, the two temples were called TongBeomYangSa. It is likely that this term was mad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s after 1990’s. It is certain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rituals or characteristics of the two temples. Therefore, the terms ‘Tongdosa-sori and Beomeosa-sori’ are made from judging subjective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ks' personal tones or volumes. Rebuilding the genealogy of Young-je Beompae-monks in Pusan area by the generations Rebuilding the genealogy of Young-je Beompae-monks in Pusan area by the generations like this can provide the fertilizers for more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music features in each generation and on the phase of changes depending on the genera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es, the music traits of Tongbeom-Sori, Beompae in Pusan area, must be uncovered. Afterward, the research on what relation it has with the other YoungJe Beompae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예천아리랑의 음악적 특징과 정체성고찰

        서정매 세계음악학회 2024 음악과 문화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Arirang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the Yecheon area and to reveal the musical identity of Yecheon Arirang by analyzing the types of Arirang that have been handed down and the characteristics of Yecheon Arirang. The Arirang of the Yecheon region researched in MBC Hangug-Min-yo-Daejeon , Hangug-Gubi-Munhag-Daegye , Lee So-ra's Yecheon Folk Song Collection , Kang Won-hee's Yecheon Arirang and Songs of the Yecheon Region , etc. JajinArari had the most. And Yecheon Arirang by Yang Ok-gyo and Lee Sang-hyu, the representative singers of Yecheon Arirang, appeared as a reduced or derived/developed form of JajinArari. Gangwon-do Arirang, known as JajinArari, was a musical song that had the second highest number of album releases and broadcasts after Miryang Arir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popular not only in Gangwon-do but also throughout the country, and had an influence on the entire inland area of Yeongnam. Yecheon Arirang is also considered a form derived from this influence. Gangwon-do Arirang has a structure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low notes to high notes, and the sound width is wide at 10 degrees. However, in Yang Ok-gyo and Lee Sang-hyu's Yecheon Arirang, the note width has been reduced to 7 degrees, and the melody also repeats the refrain and verse in the same melody or omits or reduces it. As the wide sound range of Gangwon-do Arirang gradually narrowed, the chorus was naturally eliminated, or the melody of the private part was repeated as a refrain, and the melody was sung in a free form depending on the instrument. It is considered that this gradually became entrenched and was passed down as Arirang, which has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Yecheon region today.

      • KCI등재

        선암사 새벽예불의 음악적 특징과 무형문화적 가치

        서정매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2

        한국의 새벽예불은 대부분 칠정례로 보편화되어 있어서 전통예불은 거의 사라져가는 추세이다. 반면 선암사는 향수해례와 사성례로 이루어진 전통예불을 지속적으로 전승하 고 있어 주목된다. 고찰이자 산지승원인 선암사의 새벽예불은 도량석, 조왕단 예경, 각전 예불, 응향각에서의 종송, 범종루에서 법고·운판·목어·범종의 사물타주, 소종 타주, 대 웅전에서의 향수해례와 사성례, 선원장에 의한 행선축원, 신중단 예경, 그리고 만세루에 서 태징과 북 반주로 이루어지는 송주 등 전통 사찰이 지닌 배치 공간을 예불의식에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음향적으로 매우 입체적이면서도 의례의 전통성을 보유하고 있다. 매일 새벽 3시에서 4시 50분까지 약 1시간 50분간 선암사의 새벽예불은 의례 순서 에 따라 장소·연주악기·연주방식 등이 계속 바뀌지만, 마치 한 장소에서 의식이 이루어지듯 단 1초의 쉼이 없이 하나의 악곡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장소가 바뀌어도 긴 교향곡처럼 연주가 이어지는 이유는 모든 연주의 시작과 끝에 반드시 5망치(♪♩ +♩. + ♩. + ♩. + ♩. + ♪♩ + ♩.)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5망치는 선암사 새벽예불에서 매우 중요한 특징 리듬이자 지휘 역할을 하는 신호이다. 뿐만 아니라 선암사 새벽예불은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으면서도 몇 몇 악곡에서는 육자배기토리가 등장하는 등 전라도 지역만의 음악적 특성도 드러난다. 한국의 새벽예불은 조계총림에서 지속적으로 음반을 제작해왔지만, 제작한 음반 모두 가 칠정례로만 이루어졌을 정도로 전통예불의 존재와 관심은 매우 미약했다. 반면 선암 사는 전통사찰이자 산지승원의 유형적 요소를 새벽예불에 최대한 활용할 뿐 아니라, 전 통예불의 무형적 가치를 지닌 새벽예불의 전통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오고 있다. 선암사 새벽예불의 음반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이다. 선암사 전통예불의 음반화는 그간 칠정 례만을 예불로 인식하고 있는 불교인들에게 전통예불의 존재와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사라져가는 전통예불을 전승·보존하고자 노력해 온 태고종단의 정체성 확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Most of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in Korea is commonly used as Chiljeonglye, so traditionalyebul is almost disappearing, On the other hand, the Seonamsa temple is attracting attention as it continuously transmits the tradition-yebul (ritual) consisting of Hyangsuhaerye and Saseongrye. Saebyeogyebul of Seonamsa temple, which is an old temple and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s composed as follows: Doyangseok, that cleanses the entire temple, Jowangdan-yebul, Ritual in each building of the temple, Jongsong playing at Eunghyanggag, Buddhist drum·Unpan·Mog-eo (Buddhist ceremonial wooden fish percussion instrument)·Beomjong (Buddhist ritual large bell) performed at Beomjongru, souchong, Hyangsuhaerye and Saseongrye, tradition-yebul (ritual) in Daeungjeon (the main Buddha Hall), Haengseonchugwon by Seon-wonjang, Shinjungdan ritual, and Songju with Tasing (Big gong) and drum accompaniment in Manseru, etc. Seonamsa Temple uses the layout space of traditional temple to its fullest for yebulritual, so it has a very three-dimensional and Traditional features of the ritual.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in Seonamsa Temple, which takes about 1 hour and 50 minutes from 3 am to 4:50 am every day, is constantly changing places, musical instruments, and playing methods according to the order of rituals. Nevertheless, as if rituals are held in one place are connected by one piece of music without a pause of just one second. The reason why the performance continues as one song like a long symphony even if the venue changes within the temple is all performances must start and end in 5 mangchi rhythm(♪♩ +♩. + ♩. + ♩. + ♩. + ♪♩ + ♩.). The 5 mangchi rhythm is a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 rhythm in Seonamsa temple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and a signal that plays a commanding role. In addition, Seonamsa temple Saebyeogyebul (The Buddhist ritual at dawn) is based on Menali-tori, bu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Jeolla-do region are also revealed, such as Yugjabaegi-tori appearing in several songs. Saebyeogyebul records were continuously produced at the Jogye Monastic Complex in Korea, but all were recorded only in Chiljeonglye. It shows that interest in tradition-yebul (ritual) has been very weak. On the other hand, Seonamsa temple is transmitting the intangible elements of traditionalyebul by making the most of the tangible elements of an old temple in Saebyeogyebul, So, for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yebul in Korea, the release of the album is essential. The recording of traditional-yebul in traditional temples is an opportunity to inform Buddhists who have recognized only Chiljeonglye as yebuls of existence and value of traditional-yebul,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play a large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aegojongdan's identity, who has been striving to transmit and preserve the disappearing traditional-yebul.

      • KCI등재

        영남 삼회향작법의 전승과 복원 양상

        서정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 No.

        The first record of Samhoehyang was Cheonji myeongyang Suryukjaeui Beomeumsanbo collections(1722) by Jihwan monk. The history dates back to 1700. Samhoehyang is almost extinct today, but according to the old monks in Yeongnam area, it was vigorous until the 1970s. In this respect, <SamhoehyangJakpeop>, which is currently handed down in Araetnyeok‒Suryukjae, is noteworthy. In 2015, 2017, and 2019, the procedure was largely omitted, and the consciousness was greatly reduced. But in 2019, it was structured and structured as a whole without omission and omission of procedures. However, in order to highlight the three‒way play method passed down in Yeongnam area, it accepted the folk songs and folk songs representing Gyeongsang‒do. Since the Yeongnam Samhoe‒Hyangjak method is handed down in Masan area, it will be a good way to restore the local folk songs and folklore as much as possible 삼회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1722)으로, 그 역사는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회향은 오늘날에는 거의 소멸된 상태지만, 영남지역의 고승들에 의하면, 1970년대까지는 왕성하였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현재 아랫녘수륙재에서 복원・전승하고 있는 <삼회향작법>이 주목된다. 2015년, 2017년, 2019년의 아랫녘수륙재의 삼회향을 분석해본 결과, 2015년, 2017년에는 절차가 많이 생략되었고, 의식도 대폭 축소되었지만. 2019년에는 생략과 절차의 누락 없이,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게 체계화되었다. 그러나 영남지역에 전승되는 삼회향작법을 부각시키기 위해 경상도를 대표하는 민요와 민속가락을 대폭 수용하였다. 영남 삼회향작법이 마산지역에서 전승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의 민요와 민속을 최대한 수용하는 것이 올바른 복원을 위한 방법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감내게줄당기기의 놀이구성과 연행에 따른 변화 고찰

        서정매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9 No.-

        Gamnaegejuldanggigi(Gamnae-Crab-Tug-of-warpi) is a Sangwon play(Play on January 15) of Gamnae Village in Bubuk-myeon, Miryang-si, and it is a game to take a good place for crab catching in Gamnaecheon flowing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Gamnaegejuldanggigi consists of ①Dangsan-gut, ②Ottojishin-puri(Ritual for the 5-way Earth God) ③deotbaegi dance, ④Making side lines ④ Nongbali play ⑤ Take away good land ⑥ Tug-of-warp ⑦Pangut, and the folk songs used are Dangsan-gut, Ottojishin-puri, Sound when making a line, Miryang Arirang, Chingchingi etc. Six items of Korean tug-of-wa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cluding pulling rope, were co-registered with UNESCO in 2015 along with Vietnam, Philippines and Cambodia. However, there has been no independent study of Gamnaegejuldanggigi. Therefore, the text revealed the composition of the play for the Gamnaegejuldanggigi designated as Gyeongnam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83, and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lk songs used in the play.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play were considered,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prototype was suggested. This discussion will be a great help to illuminat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Gamnaegejuldanggigi(Gamnae-Crab-Tug-of-warpi). 감내게줄당기기는 밀양시 부북면 감내마을의 상원놀이로, 마을 중앙에 흐르는 감내천에서 참게잡이를 위한 좋은 터를 차지하려고 하는데서 비롯된 놀이이다. 감내게줄당기기는 ①당산굿, ②오방지신풀이, ③덧배기춤, ④젖줄드리기, ④농발이놀이 ⑤터 빼앗기 ⑥줄다리기 ⑦판굿으로 구성되며, 사용되는 민요로는 당산굿, 오토지신풀이, 줄꼬는 소리, 밀양아리랑, 칭칭이 등이 있다. 감내게줄당기기를 포함한 한국의 줄다리기 무형문화재 6종목은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와 함께 2015년에 유네스코에 공동 등재되었지만 감내게줄당기기에 대한 단독 연구는 아직 전무하다. 이에 본문에서는 1983년에 경남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감내게줄당기기의 놀이구성을 밝히고, 놀이에 사용된 장단 및 삽입된 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연행에 변화를 고찰하였고, 원형의 유지와 발전에 위한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밀양지역을 대표하는 민속놀이인 감내게줄당기기의 의미와 가치를 조명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공주지역에 전승되는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서정매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7 No.-

        The people in the Gongju area called Gin-Arari when planting rice. Gin-Arari are similar to Jeongseon Gin-Arari but in the Gongju area there is a slightly musically modified feature. First, the Gin-Arari in Gongju area is Menari-Tori, but the chromatic of fa-mi appears in the chorus. This is also found in the songs of Shinyoung Village, Munam Village, Kyungcheon Village, and Nam Eun-Hye who is currently passing the Gongju Arirang. Second, in the Jajin-Arari Menari-tori is based on it, but do'-si' is frequently appea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Yukjabaegi-tori such as la-mi's 4th descending instead of la-sol-mi are shown. Even modified Menari-tories of sol-fa-mi appear. Third, Yeokeum-Arari are sung in high notes, and they sing frequently from the highest to re'-do'. And it appears as a Menari-tory of la-sol-mi while descending to the bass. Therefore, the Arari in Gongju are is based on the Menari-tori in general, and the Yukjabaegi-tori is combined or the Menari-tori is transformed. This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Arirang's musical tori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ngju area surrounded by Jeolla Province, Gyeongsang Province,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buk-do. 공주지역에서는 모심는소리를 긴아라리로 불러왔다. 긴아라리는 정선 긴아라리와 유사하지만, 공주지역에서는 음악적 토리가 약간 변형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공주지역의 긴아라리는 메나리토리를 이루지만 후렴구에서 fa↘mi의 반음이 등장한다. 이는 신영마을, 문암마을, 경천마을을 비롯하여 현재 공주아리랑의 전승자인 남은혜의 소리에서도 fa가 등장한다. 둘째, 자진아라리에서는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지만 do'↘si'의 꺽는소리가 자주 등장하고, la↘sol↘mi 대신 la↘mi의 4도 하행이 나타나는 등 육자배기토리의 특징이 나타난다. 심지어 sol↘fa↘mi의 변형된 메나리토리도 나타난다. 셋째, 엮음아라리는 모두 고음부에서 노래되는데, 최고음에서 re'↘do'에서 꺽는소리가 자주 등장하며, 저음부로 하행하면서 완전4도의 la↘sol↘mi의 메나리토리로 나타난다. 결국 공주지역의 아라리는 메나리토리가 전체적으로 근간을 이루면서, 육자배기토리가 결합되거나, 메나리토리가 변형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공주지역이 전라도, 경상도, 경기도, 충청북도 등에 둘러싸여있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아리랑의 음악적 토리도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