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가정위험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인해,장선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7 아동과 권리 Vol.21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nd to explain the mediating effect of teenagers’ career on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secondary data from the 5th Year Data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establish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total of 1,752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wo noticeable findings were discovered. First, family abuse is as a very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teenagers’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Second, the teenagers’ career identity emerged not only as protection variables but also as mediator for decreasing the negative effects of the family risk factors on the teenagers’ lives.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 major findings in relation to the adolescent’s life stratification and suggested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youth life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이 가정위험요인과 삶의 만족도에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5차년도 자료(KCYPS, 2014)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1,7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로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의 방임변수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진로정체감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련성 분석결과에서 진로정체감 변수는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변인이면서 동시에 가정위험요인과 삶의 만족도에서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와 청소년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제언 및 학문적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적 메타분석: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

        서인해,공계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for the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 subject was 39 evaluation papers on self-esteem program in Community Children Center searched in June 2018.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9 variables in the areas of survey assessment, program composition and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meta-anova, univariate meta-regression and mutivaratiate meta-regression analysis using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is .942. Analysis of meta-anova for heterogeneity of effect size showed high effect size i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11 to 20 sessions, 50 to 60 minutes per session, 10 participants or less, high degree of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Univariate and multivatate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causality of effect size heterogeneity showed that the number of program goal, number of participant, level of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ac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ewer program participants, the fewer program goals, the higher the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the greater the effect.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variate for the incremental change in the predictive model analysis. The academic meanings of the study results was discussed,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practices and explanatory meta-analysis was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특징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6월 현재까지 검색된 39편의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관련 프로그램 평가논문이며,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조사평가, 프로그램 구성 및 프로그램 개발 활동 영역의 9개 변수이다. 통계분석은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을 사용하여 메타아노바와 설명적 메타분석으로서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942로 나타났다.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메타아노바 분석 결과, 총 회기 11~20회, 1회기 당 50분~60분, 프로그램 참여자 10인 이하, 자아존중감 단일목표, 프로그램 개발 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론 및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높은 경우에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효과크기 이질성의 인과성에 대한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 결과, 프로그램 목표 수, 프로그램 참여자 수, 프로그램 이론,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프로그램 목표가 자아존중감 단일목표일수록, 프로그램 참여자 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이론과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높을수록 효과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효과크기의 예측모형에서는 4개 변수 중에서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모형변화량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메타분석 연구결과의 내용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와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및 설명적 메타분석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역주민의 지역문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지역욕구조사 분석이슈를 중심으로 -

        서인해,공계순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3

        지방자치단체들의 지역사회복지활동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의 지역문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지역욕구조사 분석과 관련된 이슈 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연구 자료는 군(郡)단위 지자체에서 수행된 3기 지역사회복 지계획의 지역주민욕구조사 자료이며, 통계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들이 표현한 주관적 욕구에서 개인 차원 문제보다 지역차원 문제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주민 의 개인차원 문제 및 지역차원 문제의 인식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초보장수 급, 장애, 가구원수이다. 셋째, 지역문제의 하위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차별성이 있으며, 일부 생활여건관련 변수들은 상반되는 방향으로 하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와 지역사회복지계획에서 욕구조사활동과 관련된 실천 적인 제언들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community resident's perception of community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analytical issues of needs assessment for Community Welfare Planning. Researchers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3rd Community Needs Assessment in a local district of Korea. The method of statistical analysis ar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the three noticeable findings were discovered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residents perceived community problems more seriously compared to personal problems. Second, the status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number of household member, and disabilit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both personal problems and community problems. Third, the residents' perception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the personal and community problems. The researchers discussed implication of the major findings in relation to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and suggested the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for the community welfare planning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