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鏡峰禪師의 禪思想 - 보조 지눌의 선사상과 비교하여 -

        서왕모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3 No.-

        근현대의 선승으로 한평생 참선수행과 중생교화의 삶을 살았던 경봉선사의 선사상을 보조국사의 선사 상과 비교하여 고찰해보았다. 종밀의 선종에 대한 분류에 의거하면 경봉의 선관(禪觀)은 직현심성종(直顯心性宗)의 입장이다. ‘심성 을 곧장 드러내는 종파’의 측면에서 보조와 경봉은 같은 입장이다. 이는 곧 ‘심행처멸 언어도단’으로 선 의 세계란 언어의 길이 끊어지고 사량분별이 끊어진 곳이다. 시대에 따라 교가 우선이던 때가 있었고 선이 우선이던 때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보조와 경봉이 선과 교 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비교해보았다. 보조와 경봉은 선사로서 화엄을 중요시 여기고, 선교회통과 선 교일치의 맥락에 서있다. 근래의 출가와 재가에서도 선과 교의 합일점을 찾으려 하고 이 시대에 맞는 수행법을 찾으려 힘쓰고 있다. 또 한국의 간화선 수용은 고려 무신집권기 보조에 의해 수용되었다. 그는 『절요』 뒷부분에서 간화선 을 소개하였고 『간화결의론』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한국의 간화선은 보조의 제자인 진각 혜심과 고 려 말 태고보우, 나옹혜근, 백운경한 등의 여말 삼사를 거쳐 조선 청허휴정에 이어지며 성격이 점차 변 했다. 한국 선문의 간화선에 대한 시각과 입장이 이론적으로 통합된 것은 조선말 백파긍선에 와서이다 . 경봉의 간화선은 이러한 백파의 영향에서 근대선의 길을 연 경허의 선사상과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보조의 돈오점수 사상을 계승하고 있는데, 찾아오는 선납자들에게, 또는 재가자에게 자 신만의 화두를 제시한다. 이러한 경봉의 간화선은 현재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과 자비심을 키워주는 청량제 역할이 되고 있다. In this study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a outstanding modern monk in Korean Buddhism, compared with the Nation Master Bojo Jinul(普照 知訥, 1158~1210)Seon(禪) is beyond word and letter. We could reach only through the practice. They say that it is the realm beyond mental speculation(心行處滅), the cessation of the way of the word(言語道斷). So thus Śakyamuni Buddha's the dharma-door of non-duality(不二法門) was Great silence with no words(黙言). According to Jongmil's classification in the Seon school, Gyeongbong stands on the straight revealment of the mind's nature(直顯心性宗) which Bojo Jinul had asserted. That is the realm beyond mental speculation(心行處滅), the cessation of the way of the word(言語道斷). As the predominate school between the Doctrinal and the Seon, changes with the times, their opinion on the Doctrine and the Seon was systematically compared. They both placed emphasis on Hwayen(華嚴) as the Seon master. Also they asserted both theconciliation of Seon and doctrine(禪敎會通) and the convergence of Seon and doctrine(禪敎一致). Recently both monk and laity look for the union of Seon and doctrine, and the practice in tune with the times. Ganhwa Seon(看話禪), i.e. Word contemplation meditation was imported by the National Master Bojo Jinul in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of Goryeo Dynasty. He introduced Ganhwa Seon at theend of Jeolyo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and wrote Ganhwagyeoruiron (『看話決疑論』). Ganhwa Seon was passed down from Jingak Hyesim(眞覺 慧諶, 1178-1234), the most eminent disciple of Jinul, and the three leading monks of the late Goryeo period(麗末 三師), i.e. Taego Bou( 太古普愚, 1301~1382) and Naong Hyegeun(懶翁 慧勤, 1320~1376), Baegun Gyeonghan(白雲 景閑, 1298∼1374) to Cheongheo Hyujeong(淸虛 休靜, 1520~1604) of the Choseon period. Nowaday Korean Ganhwa Seon was constructed by Baekpa Geungseon(白坡 亘璇, 1767~1852) of the late Choseon period who theoretically integrated. Under the influence of Baekpa Geungseon, Gyeongheo(鏡虛) opened the door to the modern Ganhwa Seon, and impacted on the thought of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inherited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 修) of Bojo Jinul, revitalized hwadhu practice(話頭) and leaded many monks and laity to the enlightenment. Gyeongbong(鏡峰) was brought in the renaissance of a new era of Ganhwa Se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uddhist practice system widely in use today.

      • KCI등재

        永明延壽와 普照知訥의 唯心淨土와 他方淨土

        서왕모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7 No.-

        Most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gh Buddhist priests of our country are the Seon Masters. They have been arguing for the Mind Only Pure Land. And, in addition, they have been accepting the Other World Pure Land. If we try going to the root, such a tendency is shown among the Seon priests in late Goryeo. At the time, in late Goryeo, during the Beisong era, there had been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monk Yeongmyeong Yeonsu (904-975). The Buddhist monk Yeongmyeong Yeonsu had been held in high esteem by the Fayan School and the Pure Land Sect. And, while being a Seon Master, including the writing of the 100 volumes of the Jonggyeongrok and the others of the like, he had accepted and performed the Jeongtoyeombul (the Buddhist Paradise Prayers). It appears that, by continuing such a family tradition of the Buddhist monk Yeongmyeong Yeonsu, in the Jeonghyegyeolsamun, the Buddhist monk Bojo Jinul of our country had been talking about the Mind Only Pure Land and had been accepting the Other World Pure Land. Among the scholars of our country, Professor Shim, Jae-ryong had said that the Buddhist monk Bojo Jinul had not recognized both of the Other World Pure Land and the Mind Only Pure Land. Professor Kwon, Gi-jong had seen that the Other World Pure Land had not been recognized and the Mind Only Pure Land had been accepted. But Professor Kil, Hee-seong had seen that both the Mind Only Pure Land and the Other World Pure Land had been accepted. And, although he had the same position, Professor Shin, Gyoo-tak had seen them as the diachronic nowness. I, the writer, had seen that Bojo Jinul, whose position had been the same as the positions of Professor Kil, Hee-seong and Professor Shin, Gyoo-tak, had seen that both the Mind Only Pure Land and the Other World Pure Land had been accepted. But, when we look at the aspect of capacities, the Mind Only Pure Land was for the persons with high capacity, while the Other World Pure Land was for the persons with low capacity. 우리나라 근현대 고승들은 대부분 禪師이고 唯心淨土를 주장하며 아울러 他方淨土를 수용하고 있다. 그 근원으로 가보면 고려 후기에 선승들에게 이런 경향이 보인다. 당시 고려 후기에 중국 북송시대 영명연수(904-975) 스님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영명연수 스님은 법안종과 정토종에서 추앙받았으며, 『종경록』100권을 저술하는 등 선사이면서 정토염불을 수용하고 수행하였다. 이러한 영명연수 스님의 가풍을 이어 우리나라 보조지눌 스님은 『정혜결사문』에서 유심정토를 말하고 타방정토를 수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학자들 중 심재룡교수는 보조지눌 스님은 타방정토와 유심정토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권기종 교수도 타방정토는 인정하지 않았고, 유심정토는 수용했다고 보았다. 그런데 길희성 교수는 유심정토와 타방정토 모두 수용하였다고 보았고, 신규탁 교수도 같은 입장이지만 통시적 현재성으로 보았다. 논자는 길희성 교수와 신규탁 교수와 같은 입장인 보조지눌은 유심정토와 타방정토를 모두 수용하였다고 보았다. 그런데 根機的인 면에서 보아 上根機는 유심정토이고, 下根機는 타방정토라고 보았다.

      • KCI등재

        한국불교와 石顚 映湖의 위상

        서왕모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0 No.-

        Seon Master Seokjeon Yeongho(石顚映湖, 1870~1948) was the 7thdharma inheritor of Master Baekpa Geungseon(白坡亘璇, 1767~ 1852),inherited the dharma lineage of Rinzai School(臨濟宗) through Taego Bou(太古普愚, 1301-1382) in the latter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Buddhistic forbiddance ofmarriage, drinking alcohol and eating meat was lifted and was oppressedby the Japanese policy. Seon Master Seokjeon Yeong wrote The Sketchof Vinaya(『戒學約詮』) to urge to rigidly obey the vinaya(戒律). Masterhad focused his all energies to reform the practicing tendency, thinkingthat misunderstanding about Seon(禪) made the head monk of Seonmonasteries(禪院首座) broke the vinaya. Master Seokjeon contended the cultivation of the mind afterawakening(悟後修行)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of Sudden enlightenment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same viewpoint of Heze Shenhui(河澤神會), Guifeng Zongmi(圭峰宗密), Dahui Zongguo(大慧宗杲), Bojo Jinul(普照知訥). All the Seon Masters asserted inheriting the practical traditionof conciliation of Seon and doctrine(禪敎會通) and a combination of bothSeon and doctrinal practice(禪敎兼修). Also Master Seokjeon embracedGanhwa seon(看話禪) of Dahui(大慧), Gaofeng(高峰) etc. Master Seokjeonasserted not to adhere exclusively to Sudde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頓悟頓修) and to adopt Ganhwa seon(看話禪). Nevertheless, Contemporary Korean Seon practitioners don't resolvea misunderstanding about Heze Shenhui(河澤神會) and overcome the prejudice that Patriarchal Seon(祖師禪) is superior to Tathagata Seon(如來禪). Also they place too much confidence in Intuitive Discernment of Buddhahood(不立文字) and don't pay enough attention to study Sutras and quotations from great Seon masters. 石顚映湖(1870-1948)선사는 잘 알려진 대로 고려말 太古 普愚(1301-1382)로부터 이어지는 臨濟宗 正脈을 이어받은 白坡 亘璇(1767-1852)의 7七世孫이다. 그의 계보는 禪敎를 兼全하여 講脈을 형성해왔고 현재 조계종에서 가장큰 강맥을 형성하고 있다. 당시 스님들의 帶妻⋅飮酒⋅食肉하여 파계하는 풍토에 대해 『戒學約詮』을 저술 간행하여 戒律을 嚴正히 지킬 것을 가르치셨지만 특히 首座의 잘못된 행위가 禪에 대한 誤解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禪觀을 바로 잡기 위해 勞心焦思하셨다. 그 내용은 선문에 와전된 위산과 앙산의 문답 중 ‘只貴子眼淨 不貴子行履處’의 구절의 문제, 『壇經』의 ‘本來無一物’의 添入 문제, 조작된 眞歸祖師說과 仰山과 香嚴의 禪話에서 오해된 祖師禪이 如來禪보다 우월하다는 문제,당시 선문에서 悟後修行이 없는 것에 대한 지적과 원, 명대 선사들의 어록을읽을 것에 대한 충고 등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선문에서 철석 같이 믿고 있는 불립문자는 조사가 한 말이 아니라는 것과 知解宗師로 폄하된 河澤 神會에 관한 문장은 후대에 『壇經』에 첨입하여 조작한 것임이 돈황본 발견으로증명되었음을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하택의 空寂靈知가 선의 宗體라고 말한다. 이러한 석전 선사의 禪觀을 종합해 보면 南宗의 頓悟頓修論을 긍정하지만실제로는 그만한 상상근기가 나오기 어려우므로 頓悟漸修의 오후수행을 해야 한다는 견해이고 이는 河澤⋅圭峰⋅大慧⋅普照의 관점과 같다. 또 그분들의 禪敎會通 禪敎兼修의 전통을 계승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수행의 방법은 大慧, 高峰 등의 간화선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석전 선사의 견해는 배타적으로 돈오돈수만을 고집하는 禪의분파적 枝脈을 고수하려 할 것이 아니라 南宗을 宗體로 하여 선교겸수를 하고 수행법은 看話禪法을 채택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직 한국의 선문은 오래전 조작이라고 인정된 『壇經』의 하택 ‘지혜종도’구절과 역시 최근에 조작이라고 주장된 『節要』의 ‘지해종사’ 구절에 머물러있다. 아직 ‘조사선’이 ‘여래선’보다 우월하다는 편견과 ‘불립문자’를 철칙으로 여겨 글과 말을 멀리하고 있다. 이것이 석전 선사가 일제강점기에 한국 禪門에 내린 金針이고 현대 조계종에 보내는 오랜 미래의 메시지이고 역설적인 선사의 위상이다.

      • KCI등재

        한암과 경봉의 오후보림(悟後保任)에 대한 연구

        서왕모(정도)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9 No.-

        본고는 한암(漢巖, 1876~1951)과 경봉(鏡峰, 1892~1982)의 오후보림에 대한 연구이다. 한암은 경봉과 같이 근현대 한국불교의 선맥을 대표하는 선승이다. 두 선사는 법형제로서 수행을 하면서 서로 24편의 편지를 남겼다. 그중에 일 상적인이야기를 적은 내용을 제외하고, 깨달음 이후의 보림에 대한 문제에 대해 연구했다. 한암이 나이가 16살 더 많고 깨침을 먼저 이루었기에 주로 한암이 경봉에게 오후의 보림에 대해 길을 제시해주고 있다. 보림은 백장(百丈懷海, 749~814)과 조산(曹山本寂, 840~901) 등 마조(馬祖道一,709~788)와 석두(石頭希遷, 700~791)의 문하에서 모두 수행하고 있었다. 간화선을창안한 대혜(大慧宗杲, 1089~1163) 또한 보림의 전통을 계승 하였는데 그의 어록에는 보림에 대한 근거로 『법화경』의 “내가 이제 너희들을 위해 이 일을 보림(保任)할 것이니, 끝내 헛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한 구절과 마조의 제자 귀종(歸宗智常, ?~?)의 “한 티끌만큼이라도 눈에 상처가 나 면 허공 꽃이 어지러이 떨어진다.”라는 선문답의 한 구절이 있다. 이는 모두 자성본래청정(自性本來淸淨)이라는초 기선종 이래의 선종의 종지를 계승하는 것이다. 또, 몽산은 견성 이후 반드시 정안종사를 찾아 보림해야 한다는 지 침을 그의 어록에서 밝히고 있다. 한암은 오후보림을 오후의 생애라고도 하면서, 대혜선사의 『서장(書狀)』, 보조국사의 『절요(節要)』와 『간화결 의(看話決疑)』 등을 전거로 들어 오후보림을 하도록권하고 있다. 이는 중국선의 한국화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조국사의 『진심직설(眞心直說)』에 나오는 10가지 망념을 쉬게 하는10종식망(十種息忘)을 오후보림의 길잡이로 삼았다. 이러한 한암의 가르침은 후에 경봉이 후학들에게 오후보림을 권하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본연구 의 결과는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오후보림의 목표는 망념을 제단(除斷)하여 무심(無心)·무념(無念)에 이르는 것이다. 둘째, 무념에 이르는 방법으로 보조국사의 『진심직설』 중 진심망식(眞心亡息)장의 10종식망(十種息忘)을 길잡이 로 삼았다. 셋째, 한암과 경봉은 보조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넷째, 두 선사들은 보조 이래의 정혜겸수(定慧兼修)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다섯째, 그리고 이러한 가르침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오후보림을 수행하면서 선사들 간에 절차탁마했다. This dissertation is for a study on the things after gaining an enlightenmentof Hanam(漢巖. 1876~1951)and Gyeongbong(鏡峰, 1892~1982). Hanam is a Seon Monk who is representative of Seon of Modern KoreanBuddhism with Gyeongbong. Both of them practiced together as monks of Korean Buddhism and left atotal of 24 letters. Among them, except for the contents which were about the stories on dailyroutine written on the letters, I studied the part of the things after gaining anenlightenment. Because Hanam was 16years older and gained an enlightenment earlier thanGyeongbong, Hanam mainly suggested the way of what the things were andhow to live after gaining an enlightenment to Gyeongbong. There is a common between them, that was they gained an enlightenmentwith ‘Fire’ as a medium. Hanam called ‘the things after gaining an enlightenment is the life aftergaining an enlightenment.’, and recommended to practice the things aftergaining an enlightenment based on National Master. Bojo’s ‘Jeolyo(節 要)’ and‘Ganhwagyeolui(看話決疑)’ etc of many Seon Masters. This can be considered as ‘Koreanized Chinese Seon’. Especially for the part of examples he suggested, he used a figure of speech,‘A dust in an eye is manifested as a vain flower in the air’shown in the Sutra,‘The perfect enlightenment’etc, and said Gyeongbong to gain an enlightenmentwith two letter, Paye(把拽)which meaned ‘Pull’in a case of raising a cow,Moku. Then, he told that if someone asked me the things after gaining anenlightenment, I would ‘hit so much hard’, on the level of the things aftergaining an enlightenment. And he said about Ten Sikmang which was how to let Klesa down with the10 ways shown on Jinsimjikseol by National Master. Bojo. Such an Hanam’s teaching continued to the content which recommendedthe things after gaining an enlightenment to students in the later period. So, itcan be seen that Hanam’s Ohuborim gave a deep influence to Gyeongbo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d like to make a conclusion like the belows. First, with the fact that Hanam and Gyeongbong based on the quotation ofNational Master. Bojo for the things after gaining an enlightenment, I couldfind out that Korean Ganhwaseon successed the tradition of Donojeomsufrom Bojo. Second, Seon Masters of Ganhwaseon considered sutras and teachings inthe quotations of old Seon Masters during the practice of the things aftergaining an enlightenment as a mirror. Third, they tried to make these teachings as ‘their own’, Ohuborim, in real. Younger students can have their eyes widely opened which can distinguishright or wrong through the trace of wheels, Ohuborim, by Seon Masters.

      • KCI등재후보

        백파긍선의 『선문수경』에 나타난 선종의 분류 고찰

        서왕모 ( Wangmo Se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90 No.-

        조선의 불교사를 보면, 유교적 이념을 국시로 삼는 정책에도 불구하고 선종의 승려들은 그 맥을 유지해왔다. 그들은 임제의 선풍을 계승한다고 하였다. 백파긍선(白坡亘璇; 1767-1852)도 역시 스스로 임제종임을 자임하며, 임제의현의 선사상을 기준으로 선종의 분류를 나누고 있다. 종밀은 『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에서 달마의 선종을 <우두종>, <북종>, <남종>으로 구별한다. 그리고 <남종>을 다시 <하택종>과 <홍주종>으로 분류한다. 그런데 종밀의 분류법보다, 남종선에서는 법안문익(法眼文益, 885-985) 선사가 처음으로 사용한 ‘오가분류(五家分類)’를 선호하였다. 종밀의 선종에 대한 견해는 훗날 남종선의 주류가 된 ‘청원 행사 계열’이나 ‘남악 회양 계열’에서는 수용되지 않았다. 오히려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송대 이후 종밀을 여러 측면에서 특히 ‘지해종도(知解宗徒)’라고 비판하게 되었다. 법안 문익이 분류한 ‘오가’란 <위앙종>, <임제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이다. 이런 당시의 상황을 우리는 『정혜법안선사종문십규론(定慧法眼禪師宗門十規論)』에서 볼 수 있다. 백파는 이러한 종파에 대하여 분류를 하였는데, 『선문수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선종 문하에서 나온 말이나 문구를 찾는 사람은 『인천안목(人天眼目)』과 『선문오종강요(禪門五宗綱要)』와 『선문강요집(禪門綱要集)』을 읽어야 되고, 임제 3구의 ‘의미의 행상[義相]’을 궁구한다면 (3구의 의미와 행상에) 환히 밝아져 의심이 사라진다고 하였다. 백파는 ‘임제의 3구’는 선종의 모든 언구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라 하였다. 제1구의 핵심은 “의의(擬議)”이다. 여기에서 “議”의 의미를 필자는 ‘사량분별’로 보았다. ‘사량분별’은 언어, 문자 그리고 사유를 통해 가능하다. 그런데 제1구에서는 그런 수단 자체의 개입이 원천적으로 배제된다. 제2구는 스승이 찾아온 학인을 제접하기 위해서 자비심으로 언어나 문자를 활용하여 상대를 살짝 튕겨주는 지도행위이다. 제3구는 상대가 제시한 언어나 문자에 집착하여 끝내 말귀를 못 알아차리고 가르침의 귀결점을 모르는 것이다. 제1구는 언어 이전의 ‘진제’이고, 제2구는 언어나 문자로 표현된 ‘속제’이다. 이 둘은 ‘제법의 실상’을 당사자가 체험한 것이고 제3구는 ‘제법의 실상’은 못 본 것이다. 백파 긍선은 조사가 남긴 말씀은 모두 이 3구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했다. 이상의 ‘임제 3구’를 가지고, (1)조사선-여래선-의리선으로 분류하고, (2)상근기-중근기-하근기를 분류하고, (3)본분-신훈으로 분류하였다. In the buddhist history of Choson Korea, despite of the national policy to support confucianism, monks of Dhyana school strived to keep their ideologies. They wanted to succeed to Linji's Chan thought. Paekp'a Gungson (白坡亘璇; 1767-1852) also insisted himself that he was in Linji school and classified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dhyana school based on the Chan thought of Linji Yixan. Guifeng Zongmi divided the dhyana school of Puti Damo (菩提達磨) into Niutou zong (牛頭宗), Beizong (北宗), and Nanzong (南宗) in the Zhonghua Chuanxindi Shanmenshi Zicheng Xitu (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 And he re-categorized Nanzong (南宗) into Hezezong (荷澤宗) and Hongzhou zong (洪州宗). However, Nanzong Chan preferred the five classifications, which the Chan master, Fayan Wenyi (法眼文益, 885-985) first used, to Zongmi's classification. Zongmi's opinions on Dhyana school was not later accepted by the mainstreams of Nan Zong Chan, the "lineage of Qingyuan Hangsi" and the "lineage of Nanyue Huairang". It became rather the subject of criticism. Since the Song period, from the various aspects, Zongmi was thought especially as the "Zhijie Zongdu (知解宗度)". The five classifications of Fayan Wenyi are Weiyangzong, Linjizong, Caodong zong, Yunmenzong, and Fayanzong. We can confirm the fact from the Dinghuifayanshanshizong menshiguilun (定慧法眼禪師宗門十規論). Paekp'a distinguished these denominations as good and bad in Sonmunsugyong. He said, "Whoever wants to find the words or phrases from the Dhyana school has to read Rentianyanmu (人天眼目), Shanmenwuzong'gangyao (禪門五宗綱要), Sonmun'gangyojip (禪門綱要集) and studies the "text and meaning“ of the three phrases of Linji can have the experience that one's doubts are solved". Paekp'a said, "the three phrases of Linji" are the criteria to evaluate all the sentences and phrases of Dhyana school. The first phase is the "tentative decisions (uiui 擬議)". In here, I saw the meaning of Ui (議) as the "decision". The "decision" is possible to be done by languages, words, and thoughts. However the first phrase excludes the intervention by those methods in principle. The second phrase is for the guide actions of the teachers to lead students who visit them as using languages and words with compassionate mind. The third phrase is for the ones who are not aware of the teachings because they cling to the languages and words the teacher suggests. In other words, the first phrase is the "absolute truth (眞諦)" before languages and the second phrase is the "conventional truth (俗諦)" expressed by languages and words. These two are that one experiences the “real character of all the dharmas", but the third phrase is that one does not see it. Paekp'a Gungson mentioned that the words the past patriarchs left are included in these three phrases. Therefore, he classified these "Linji's three phrases" into (1) Zushishan (祖師禪, Patriarchal Teacher Chan), Rulaishan (如來禪, Thus Come Chan), Uirison (義理禪), (2) Superior faculties (上根機), Lower faculties (中根機), Inferior faculties (下根機), (3) Fundament (本分), New perfume (新薰).

      • KCI등재

        『단경』에 나타난 무념(無念)의 의미에 관한 소고

        서왕모(정도)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2 No.-

        『단경 (壇經) 』의 ‘무념 (無念) 으로 종지 (宗) 를 삼는다’는 구절은 잘 알려져 있다. 성철 (性徹, 1912~1993) 선사는 『단경』을 근거로 하여 ‘견성을 무념이라고도 한다. 견성과 성불의 근본은 무념이다.’라고 했다. 그런데 무념을 직간접 주제로 연구한 논문이나 서적이 적지 않은데 무념의 의미를 천착한 것은 찾기 어려웠다. 대개 불교의 언어가 중층적 의미를 갖고 있듯이 무념 또한 그렇다. 본고의 취지는 무념의 중층적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 (本稿) 의 Ⅱ장에서는 『단경』에 나타난 무념의 의미를 먼저 살펴보았는데 단경에서 순서대로 정의한 무념의 의미와 무념이면서 분별이 가능한 근거를 찾아보았다. 그리고 또 무념이 능가선의 ‘심불기 (心不起) ’ 의 내용을 계승한 개념임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단경』의 무념에 영향을 준 『유마경 (維摩經) 』을 통해 무념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유마경 (維摩經) 』의 「입불이법문품 (入不二法門品) 」의 무념과 관련된 한 문장을 범어 (梵語) 원문과 세 가지 번역본을 비교하여 정확한 개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무념이란 생각함에 있어 생각하지 않는 것 (無念者, 於念而不念) 이라는 『단경』의 문장이 지겸 (支謙, 222~229) 과 구마라집 (鳩摩羅什, 343~413) 의 두 번역을 편집한 것임을 밝혔다. 또한 무념의 념 (念) 이 manasikāra이며 작의 (作意) 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작의와 무념 그리고 부동심 (不動心) 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무작의 (無作意) 이며 부동심 (不動心) 인데 분별이 가능한 이유는 그 무념 속에 본래 보리반야지 (菩提般若 智) 가 있어 무념이 되면 스스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범부: 산란한 마음 (動心, 無明) → 작의→ (시비) 분별 •남방 수행법 (漸修) : 산란한 마음 (動心, 無明) → 작의→ 마음챙김 [念] , 알아차림 [正知] →집중 [samādhi, 三昧] → 지혜 [paññā, 慧] •대승 돈법 (頓法, 無生般若) : 부작의 (不動心) → 반야지→ 진여 자각→ 진여와 •계합→ 무념→ 반야삼매·일상삼매 (一相三昧) Ⅳ장에서는 『유마경』과 함께 『단경』의 무념에 깊은 영향을 준 『대승기신론 (大 乘起信論) 』에 나타난 무념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신론』은 무의식에서 작용하는 무명의 구조를 밝히고 어떻게 무명을 극복하여 무념을 깨닫게 되며, 무념을 깨달으면 왜 부처의 지위에 오르게 되는 가에 대해 깊은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 무념에 대한 완벽한 이론적 근거는 『기신론』에서 제공한 것이라고 할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하택 신회 (荷澤神會, 686~760) 의 어록에서 많은 부분을 인용하여 제작한 『단경』의 무념의 의미는 1차적으로는 『유마경 (維摩經) 』의 「입불이 법문품 (入不二法門品) 」의 범본 (梵本) 에서 사용되었고 현장이 번역하고 신회가 언급한 것처럼 무작의 (無作意, manasikāra) 이며, 무작의가 가능하려면 부동심이 되어야 하고, 부동심이 가능하려면 모든 존재의 실상 (實相) 은 생긴 적이 없음 (無生) 을 깨달아야 한다. 따라서 무념을 깨닫는다는 것은 본성인 진여 (眞如) 를 깨닫는 것이고 마음이 진여본성에 계합 (契合) 하면 그로써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여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자재하게 되는 것이다. ‘Making basic meaning by munyeom (free from thought, 無念) ’ of Dangyeong (Platform Sutra, 壇經) is a well-known passage. Seongcheol (性徹, 1912-1993) said ‘According to Dangyeong, gyeonseong (to see the nature, 見性) is equal to munyeom. Both of gyeonseong and becoming a buddha are rooted from munyeom.’ But there are only few studies about basic meaning of munyeom. Munyeom has several meanings like most of terms about Buddhism. I tried to understand about the meanings of munyeom through this study. Looking briefly, in second chapter I will examine how Dangyeong defines munyeom. And I found several meanings of munyeom and the reason why thinking can be nonthinking at the same time. And I revealed munyeom succeeded the state without mind arising (心不起) which is a main point of Neungga seon (愣伽禪) . In chapter 3, I studied the meaning of munyeom from Vimalakirti-nirdesasutra (維摩經) that affected Dangyeong. And I compared three versions of translations on the sentence about Advayadharmamukhapraveśaparivarto ṣṭamaḥ (入不二法門品) of Vimalakirti-nirdesa-sutra’ to find correct notion of munyeom. As a result, I found that an awkward sentence “munyeom is a status that thinking can be nonthinking” is wrong compilation with two translated sentences in versions of Zhi Qian (支謙, 222~229) ) and Kumārajīva (鳩 摩羅什, 343~413) Also, a thinking (念) is a manasikāra and jag-ui (mental orientation, 作意) . The reason why someone who is in a state of ‘unmoving mind (不動心) ’ can discriminate something is that there is a bodhi-prajna (菩提般若智) that is activated itself in munyeom. In summary, • Everyday life of ordinary person: moving mind (動心, mind with ignorance) → mental orientation (作意) → discrimination (分別) • Practicing theravāda meditation : moving mind (動心) → mental orientation ( 作意) → Sati, Sampajañña→ Samādhi→ paññā • Practicing mahāyāna sudden awakening meditation: unmoving mind (不動 心) → non mental orientation (不作意) → awakening thusness (眞如自覺) → being united with thusness (眞如契合) → without a though (無念) → Prajñā samādhi, One character samādhi (一相三昧) . In final chapter, I studied the meaning of munyeom from Mahāyānaśraddhotpāda-śāstra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 that affected Dangyeong and Vimalakirti-nirdesa-sutra In Mahāyāna-śraddhotpādaśāstra, there are analysis about how to work ‘nescience’ and how to overcome the nescience to recognize munyeom. There is a perfect proof about munyeom in Awakening of Mahayana Faith. Finally, the first meaning of munyeom from Dangyeong that is quoted from Heze Shenhui (荷澤神會, 686~760) analects is mujag-ui (無作意) . Unmoving mind ( 不動心) makes mujag-ui (無作意) . The reason why ‘unmoving mind’ is possible is all of real aspects (實相) are not born (無生) , are without form (無相) and have no place to stay (無住) . Therefore, recognizing munyeom is awakening ‘thusness (眞如) ’. And thusness brings a practitioner to the state of buddha and freedom.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오후 보림(悟後保任)에 관한 소고(小考)

        서왕모 ( Wang Mo Se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한국 간화선의 전통으로 내려오고 있는 오후 보림의 근거를 찾고 그 성격에 관해 돈오돈수와 돈오점수의 두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대혜종고(大慧宗□, 1089~1163)가 5세기 초에 구마라집(究摩邏什, 343~413)에 의해 번역된 『법화경』 비유품」에 수록되어있는 ``내가 이제 그대들을 위하여 이 일을 보임할 것이니``의 구절을 경전적 근거로 삼았음을 밝혔다. 이후 7세기 중엽에 현장(玄□, 602~664)이 번역한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娑論)』과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서 보림이 사용된 것을 찾아보았다. 다음으로 선어록에서 보림이 사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8세기 후반에 활약한 육조(六祖慧能, 638~713)의 3세들인 귀종(歸宗智常, ?~?), 백장(百丈懷海, 749~814), 약산(藥山惟儼, 751~834) 그리고 천황(天皇道悟, 748~807)이 보림에 관한 문답을 한 것을 확인했다. 이들은 강서(江西)와 호남(湖南)에서 각각 선풍을 크게 진작하여 이른바 선의 황금시대를 연 대종장들로서 보림의 근원이 매우 오래고 광범위하게 실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한국 간화선의 보림의 뿌리도 밝혀졌다. 보림의 성격이 돈오돈수적(頓悟頓修的)인가 돈오점수적(頓悟漸修的)인가에 대한 고찰의 결론은 보림을 언급한 선사 어록의 사례로 볼 때 대부분 돈오점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록에서 이에 대한 근거로든 경전은 『능엄경』의 "理라면 문득 깨닫고 깨달음과 더불어 사라지지만, 事는 문득 제거되지 않고 점차 사라진다."는 구절이다. 보림을 어떻게 해야 하는 가에 대한 답은 한결 같이 무심(無心)이었다. 결국 돈오돈수의 실현도 무심이고 돈오점수의 구경지(究竟地)도 무심이었다. 이것은 불심(佛心)이 무심이기 때문에 당연한 귀결이다. 이 보임무심은 또 일행삼매(壹行三昧)로 귀결된다. 일행삼매는 달마조사(菩提達摩, ?~528) 이래로 남북종(南北宗) 모두 계승한 수행법으로 무심처(無心處) 곧, 법계(法界)에 계합(契合)하는 것이다. I looked over two outlooks of Sudde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Dono donsu)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Dono jeomsu) finding out the basis of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which has come down as the Korean traditional Ganhwaseon and its characteristic. At first, there is not only a definition of keeping and protecting one``s enlightenment for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but also it was used as keeping and cultivating one``s enlightenment, I could find out the fact through 阿□佛國經translated in the mid-2C and Lotus Sutratranslated in the early 5C. Moreover, I found out that there was the definition, keeping and protecting one``s enlightenment for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for it, in 阿毘達磨大毘婆娑論translated by Hyeonjang (602~664) in the mid-7C and 瑜伽師地論. And for the next, I searched an example that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Boim, was used in Seon Master``s quotations, I could confirmed Guijong(歸宗智常,?~?), Baekjang(百丈懷海, 749~ 814), Yaksan(藥山惟儼, 751~834) and Cheonhwang(天皇道悟, 748~ 807), who were the IIIs of Yukjo(六祖慧能, 638 ~ 713) playing an active part in the late of 8C, had some questions and answers for Boim. They were the great seon masters who opened, so called, ``the golden times of Seon``, boosting the Seon wind each at Gangseo(江西) and Honam(湖南) districts. By this, the root of Korean Ganhwa Seon``s Boim was also revealed. I could find out the conclusion of the consideration to whether Boim``s characteristic was Sudde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Dono donsu) or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Dono jeomsu) with an example of Seon Master``s quotation which mentioned about Boim. The phrase as a basis on it from quotations is ``if it is 理(ri), suddenly gains an enlightenment and disappears with enlightenment together though, if it is 事(sa), gradually disappears without suddenly being eliminated``, of Shurangama Sutra.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to deal with Boim`` was the absentmindedness, 無心, as ever. In the end, the final destinatio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Dono Donsu) was the absentmindness (無心), and the ultimate pla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Dono Jeomsu) was also the absentmindness (無心). It``s a natural consequence because Buddha``s mind is the absentmindness (無心). This Boim Musim,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with absentmindness, also goes to Ilhaengsammae(一行三昧), One Round Samadhi. One Round Samadhi is, as a practice succeeding all of North and South religious sects since Seon Master, Bodhi Dharma(菩提達摩, ?~ 528), the absentmindness place(無心處), that is, to co-united with Dharma realm.

      • KCI등재

        지눌과 경봉의 "간화(看話)"에 대한 이해

        서왕모 ( Wangmo Se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3 No.-

        한국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간화선이다. 고려 지눌에 의하여 대혜 종고(大慧宗高)의 간화선이 국내에 유입된 이래, 고려 말 조선 초 몽산 덕이(蒙山德異)와 고봉원묘(高峰原妙)의 간화선법이 들어오면서 서산 이후 조선불교계는 물론 근 현대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근 현대 한국의 대표적 선승이라 할 수 있는 경허와 한암 그리고 효봉과 경봉 등의 선사상의 공통점은 ‘보조선의 계승’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성철의 경우 보조선을 선문의 정통에서 벗어난 이단사설(異端邪說)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눌이 이해한 간화선의 특징과 더불어 근대적 계승의 문제는 한국선의 정체성 문제와 관련하여 여전히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본고는 보조 지눌과 근대의 대표적인 선승 가운데 한 분인 경봉 정석이 ‘간화’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 본 후, 이 둘 사이의 간화에 대한 이해의 동이점을 규명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의 선승들의 ‘간화’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한국 간화선의 특징과 정체성 문제 해결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main practice of Korean Buddhism is Ganhwaseon(看話禪). Since Dahuizonggao(大慧宗高)’s Ganhwaseon(看話禪) had been brought into Koryeo dynasty by Zen master Jinul(知訥) during the era of military officials, Ganhwaseon(看話禪) of Mengshandeyi(蒙山德異) and Gaofengyuanmiao(高峰元妙) in the end of K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had influence on modern Buddhism as well as the Buddhist world of Joseon dynasty after Seosan(西山大師).The common ground of Gyeongheo(鏡虛), Hanam(漢岩), Hyobong(曉峰) and Gyeongbong(鏡峰), the Korean representative Zen masters, is ‘succession to Bojo-Jinul(普照知訥)’s Zen’. But the master Seongcheol(性徹) provided thatBojo(普照)’s Zen was unorthodox private in the viewpoint of Zen’s orthodox. So the characteristics of Ganhwaseon(看話禪) and its modern succession understood by Jinul(知訥) are still important problems in connection with the identity of Korean Zen. In this paper I examined each understanding of Bojo-Jinul(普照知訥) and Gyeongheo-Jeongseok (鏡虛靖錫) on ‘Ganhwa(看話)’, then clarified the common groun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sters. I tried to provide the clue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dentity of Korean Ganhwaseon(看話禪)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Zen masters on ‘Ganhwa(看話)’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경봉스님의 선사상 일고(一考)

        서왕모(Seo Jeong-Do) 보조사상연구원 2008 보조사상 Vol.30 No.-

        본 논문은 근현대의 고승으로 알려진 경봉선사(1892-1982)의 선사상에 대해 스님의 법어집인 『법해』와 『니가누고』, 서간문 형식인 『삼소굴소식』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경봉선사는 근현대불교사의 산 증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1892년에 출생하여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겪는 등 우리민족의 수난과 함께하며 1982년까지의 생애를 살았다. 그는 36살 되던 해 겨울 갑자기 벽이 무너지듯 시야가 툭 트이면서 오묘한 일원상만이 드러나는 경지를 체험했다. 그래도 쉬지 않고 정진한 지 20여일 뒤 새벽 두시 반 문틈을 파고든 바람에 촛불이 소리를 내며 춤을 추는 모습을 본 순간 억겁의 의문이 찰나에 녹아버렸다. 민족의 대 수난인 6.25 전쟁의 상흔이 말라갈 시기부터 1982년 입적 때까지 90노령에도 시자(侍者)의 부축을 받으며 법좌에 올라 1,000여명 이상의 대중들이 참여한 가운데 설법하였고, 가람수호(伽藍守護)에도 힘을 기울여 통도사의 삼성반월교(三星半月橋)와 장엄석등(莊嚴石燈) 18좌(座)를 세웠다. 18세부터 85세까지 67년 간 한암ㆍ용성ㆍ만공 월면(滿空 月面)ㆍ효봉 원명(曉峰 元明)등 당대 큰스님들과의 서신과 선문답 등이 『삼소굴소식』에 있는데, 한국 불교 최근세사를 조망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구한말 성해스님으로 시작된 영축총림의 선맥은 그의 두 제자 구하(九河, 1872-1965)스님과 경봉(鏡峰, 1892-1982)스님이 일구고 구하스님의 상좌인 월하(月下, 1915-2003)스님과 경봉스님의 상좌인 벽안스님으로 이어진다. 1986년 영축총림으로 지정된 후 초대방장으로 월하스님이 2003년 입적할 때까지, 현재 원명스님이 2대 방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경봉선사의 선사상으로는 크게 4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사바세계를 무대로 멋있게 살아라. 스님은 바로 이 세계에서 고뇌하고 방황하는 이들에게 삶의 활로를 보이고자 사바를 활동의 무대로 삼았던 것이다. 둘째,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스님은 행주좌와 어묵동정 모든 것이 ‘도’ 아님이 없음을 설하고 있다. 셋째는 선교겸수(禪敎兼修)이다. 조사어록이나 중국의 선사들을 고루 열거하였고, 화엄경이나 반야경 법화경등 경전도 다양하게 인용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넷째, 유심정토(唯心淨土)이다. 타방정토도 인정하지만 유심정토를 설하고 있다. 이상으로 경봉선사의 선사상을 살펴본바, 많은 영향으로 출ㆍ재가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life and thought of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1892-1982) with his analects『the sea of Dharma(法海)』,『Who are you?』,『the news of Samsogul』. He experienced all the suffering that modern Korean people had done. Born in 1892, he could not avoid the suffering of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and the Korean War, and he saw with his own eyes these historical event. When he was 16 years old, he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In winter of 20 years after, 36 years old, the wall around him had been crumbled suddenly and he could see clearly without any obstacle and experienced the profound shape of a circle. He practiced severly for 20 days. Watching candle flickering in the wind he had enlightened at the dawn of the last day. All question had vanished at once. After that marvelous day he had preached many disciples and lay-Buddhist Buddha"s teachings that he enlightened to the last moment. Also he readjusted structures of Tong-do temple and built bridges, 18 stone lanterns. After he passed into nirvana, his disciple bhikkhu Myeong-jeong published 『the news of Samsogul』 that collected the encounter dialogue of seon(禪問答) and letter writings that corresponding with Gyeong-Bong and other Seon Master Han-Am(漢岩), Yong-Seong(龍城), Man-Gong Wol-Myeon(滿空月面), Hyo-Bong(曉峰), Won-Myeong(元明) etc. This book comes into its own as an important research material for a look-into nearest Korean Buddhism. He and Gu-ha(九河, 1872-1965) had carried on a seon-lineage of Yeongchuk-Chongnim, the full monastic training temple that started by his master Seong-Hae(聖海). The seon-lineage have been carried on by both Wal-Ha(月下, 1915~2003), Gu-ha"s disciple and Byeok-An(碧眼, 1901-1987), his disciple. Wal-Ha was nominated for the first Bangjang(方丈), the head of Yeongchuk-Chongrim. His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kind. First, to live a rakish life in the world of suffering. He lived a active, vivid and vigorous life in this world to set a model to the afflicted and wandering young people. Second, everyday life is enlightenment (平常心是道). There is Tao(道) in all kind of human behaviour like moving, sitting, lying etc. Third, he practice Seon combining with study of doctrine. he had read all kind of analects of Seone Master and the Sutras like Avata?saka-S?tra(華嚴經), Saddharmapu?dar?ka-S?tra(法華經), Praj??p?ramit?-S?tra(般若經) and others. Fourth, There is a Pure-Land(淨土) in Consciousness only. Gyeong-Bong is one of the great Seon Master in modern Korean Buddhism. His thought and life had strong influenced upon Bhikkhu, Bhikkhuni and lay Buddhist.

      • KCI등재

        경봉과 탄허의 사상 고찰

        정도스님(서왕모)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1

        통도사를 창건하신 자장스님과 근현대스님으로 성해남거(聖海南居, 1854~1927)스님문하에 구하천보(九河天輔, 1872~1965)스님, 경봉정석(鏡峰靖錫, 1892~1982)스님, 경하달윤(鏡河達允)스님, 재하법성(齋河法晟)스님이 있다. 월정사를 창건하신 자장스님과 근현대스님으로 한암스님(漢岩, 1876~1951), 탄허스님(呑虛, 1913~1983)도 『화엄경』과 많은 인연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경봉스님과 탄허스님의 사상을 살펴보고, 경봉스님과 한암스님의 서간문, 경봉스님과 탄허스님의 서간문을 통해 나타난 교류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봉스님은 현대를 대표하는 선사로 간화선으로 깨달음을 얻었으며, 통도사를 중심으로 가람수호와 교화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고, 근현대 불교개혁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당대 선승들과의 서신과 법거량을 통하여 독자적인 선풍을 남겼다. 탄허스님은 현대 한국의 대표적인 선승이자 학승으로, 22세에 오대산 상원사로 출가한 이래로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한암스님의 지도로 용맹정진하여 정혜쌍수와 삼장(경·율·논)에 정통하였다. 탄허스님은 전통 불교의 재정비와 불교정화운동을 배경으로 불교의 인재양성과 대중화를 위해 오대산수도원 등에서 교육을 하였고, 『치문』, 『사집』, 『금강경』, 『능엄경』, 『화엄경』 등 각종 경전을 번역하였다. 탄허스님이 경봉스님에게 보낸 편지가 2통, 경봉스님이 탄허스님에게 보낸 편지가 1통이다. 그리고 경봉스님이 한암스님에게 보낸 편지가 4통, 한암스님이 경봉스님에게 보낸 편지가 무려 24통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통도사와 월정사간의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경봉스님은 선사이면서도 서신을 그대로 잘 간직하여 보관을 잘 한 것을 알 수 있다. The Buddhist monk who founded Tongdosa and the Buddhist monk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Seonghae Namgeo(1854-1927), under the monk’s door, Guha Cheonbo(1872-1965), Gyeongbong Jeongseok( 1892-1982). Gyeongha Dalyun and Jaeha-Beobseong are the monks. Hanam(1876~1951) and Tanheo(1913-1983) also have many connections with Hwaeomgyeong as Jajang and modern monks who founded Woljeongsa Temple.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thought of Gyeongbong and Tanheo,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 exchange between Tongdosa and Woljeongsa through the epistles of Gyeongbong and Hanam, and the epistles of Gyeongbong and Tanheo. Gyeongbong monk was enlightened as a representative ship of modern times, and he lef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 protection and edification of Garam centering on Tongdosa Temple,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process of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reform, and left his own fanfare through correspondence and legal survey with his ancestors of the day. Tanheo is a representative Korean scholar and scholar, and since he left for the Senate of Odaesan at the age of 22, he has been brave and well-versed by Hanam, who has been the first leader of Jogye Order. Tanheo educated at the Odaesan Monastery for the cultiv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t talents in the background of the reorganiz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and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He translated various scriptures such as [Geumganggyeong], [Nungwaeomgyeong], [Hwaeomgyeong]. There are two letters from Tanheo to the monk, and one letter from the monk to Tanheo. And there are four letters sent by Gyeongbong to Hanam monk, and 24 letters sent by Hanam monk to Gyeongbong monk.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active exchange between Tongdosa and Woljeongsa Temple, and that the monk Gyeongbong kept the letter well as it was a prehistoric, and kept it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