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몽의 불안

        서영채(Seo, Young-chae)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1

        이 논문은 루쉰과 이광수의 문학과 삶을 중심으로 하여 ‘계몽 문학’ 자체의 문제성을 살펴보려는 취지에서 쓰인다. 1910년대의 일본은 이미 근대 국가 수립에 성공했음에 비해 한국은 식민지 상태가 되었고, 중국은 근대로의 전환기를 지속적인 전쟁상태로 보냈다. 한국과 중국에서 문학의 계몽적 역할은 일본과 비교할 수 없이 강조된다. 이 점은 특히 두 나라 문학의 비조 격에 해당하는 루쉰과 이광수의 경우에서 현저하다. 이들의 삶과 문학에서 네이션의 문제는 절대적이라 할 만한 위상을 지닌다. 그러나 계몽과 결합되는 문학은 두 가지 문제를 낳는다. 첫째, 계몽과 문학의 서로 다른 속성이 충돌함으로써 생겨나는 문제, 둘째, 계몽 자체가 지닌 공리주의적 한계. 루쉰과 이광수는 모두 자기가 선택한 ‘계몽 문학’의 틀 속에서 논리와 서사가 파열하는 지점에 맞닥뜨린다. 하지만 그에 대한 대응은 서로 대조된다. 한 사람은 문학을 포기함으로써 문학의 윤리를 실현했고, 다른 한 사람은 문학을 움켜쥠으로써 계몽의 한계를 드러내며 결과적으로 미메시스의 위력을 확인시킨다. 이 둘은 모두 근대성의 자체의 것이기도 한 계몽의 존재론적 불안을 그 밑에 깔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give some thought to the problem of “enlightenment literature” focused on Lu Xun’s and Yi Gwang-su’s life and writings. Japan in the 1910s already succeeded in establishing a modern state, whereas Korea had become colonized by Japan, and China had spent an intermittent war time to get to the modern nation-state. The importance of enlightening role in the literary writings of these times in Korea and China cannot be compared with Japan in that respect. It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cases of Lu Xun and Yi Gwang-su, who can deserve to be called as a founder of the modern literature in both countries. The problem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have great importance in their lives and writings. However, the literature coupled with enlightenment causes some troubles: firstly,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different attributes of enlightenment and literature even colliding each other; secondly, the limit of enlightenment itself having utilitarian form of thoughts. Lu Xun and Yi Gwang-su meet inevitably with the point where logos and mimesis made some conflicts in the framework of ‘enlightenment literature‘ that they had chosen as their style of writings. However, their responses to it are contrasted sharply to each other. The one make himself a model case of the ethics of literature by abandoning literature(not proper but positive) itself, the other exposes himself as a limit of "enlightenment literature" itself in adhering it, and make clear the power of mimesis consequently. It must be emphasized that the ontological anxiety of enlightenment concerned with modernity itself also underlies both of them.

      • KCI등재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

        서영채(Seo, Young Chae)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이 논문은 ‘두 번째 풍경’이라는 개념을 통해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의 의미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쓰였다. 풍경이라는 말은 풍부한 이론적 함축을 지니고 있다. 일상적인 사용에서 풍경이라는 단어는 주체의 시선에 포착되는 특별한 정경이나 상황을 뜻하는 중립적인 것이다. 풍경은 낯선 것이지만 차츰 낯익어지면서 일상이 된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풍경은 그 반대의 것, 낯익음이 어느 순간 낯섦으로 다가오는 때의 경험이다. 이것을 ‘두 번째 풍경’이라 명명했는데, 이는 시선의 시공간적인 이동을 통해 만들어지며 그것을 바라보는 주체의 시선을 자기반영성을 형태로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공간으로 사유될 수 있다. 풍경은 객관적인 것으로서의 공간과 주관적인 것으로서의 장소의 불일치로 인해, 그 간극에서 생겨나며, 이런 점에서 헤겔적 의미에서의 절대적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은 라캉이 응시라는 단어로 개념화한 작용의 산물로서, 이 논문에서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구니키타 돗포의 단편소설 「잊을 수 없는 사람들」과 홍상수의 장편영화 「북촌방향」을 통해 기술하고자 했다. 여기에서 ‘두 번째 풍경’은 존재론적 순간이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on the purpose of illuminating the notion of the landscape as an absolute space by coining an idea of ‘the second landscape’. The word of landscape has rich theoretical implications in itself. It usually means an expense of special scenery or situations, which becomes gradually familiar as time goes by. However the notion of the landscape which I coined in this paper has the contrary vector of familiarity. When something familiar suddenly comes out to be alien for a subject, it also makes a special scene to him/her. It can be called ‘the second landscape’, which is made by a temporal or spatial transposition of a eye. It also can be considered as a space in that it have a subject’s eye as a form of the self-referentiality. A landscape is made from the discrepancy between a space (the objective) and a place (the subjective), which can be regarded as an absolute in Hegelian term. The landscape as an absolute space is also an idea made by the mechanism of a Lacanian gaze. I depicted a model of its process by analyzing a short story of a Japanese writer, Kunikida Doppo’s and a film of Korean director, Hong Sang-su’s. We can find there ‘the second landscape’ made by an ontological moment.

      • KCI등재

        이광수, 근대성의 윤리

        서영채(Seo Young-chae)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1

        이 글은 식민지 시대의 소설가이자 민족주의자 이광수의 윤리 정치의 실패에 대해 숙고해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씌어졌다. 통상적으로 이광수의 실패는 주인담론의 윤리에 의해 단죄되거나, 식민지적 상황의 특수성 탓이라는 방식으로 이해되곤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의 접근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면서, 칸트의 윤리적 실패를 통해 이광수의 실패를 읽고자 했다. 그것은 근대성의 윤리가 도달한 한계 지점에서 이광수의 실패를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윤리성에 대한 외부적 성찰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윤리적 허약성에 대한 성찰이기도 하다. 『순수이성비판』에서 행해진 칸트의 두 개의 요청은 주인담론과 결별할 수밖에 없었던 근대성의 윤리가 그로 인해 봉착하게 되는 난관을 보여주는 한 상징이며, 이광수의 경우는 이를 좀 더 예각적이고 그로테스크한 모습으로 보여준다. 이광수는 주인기표의 자리에 민족을 대체해넣었고 그럼으로써 민족 없는 민족주의자라는 기이한 입장에 처하게 된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그의 윤리정치의 실패로 인한 것이지만, 동시에 절대선의 형식주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근대성의 윤리적 허약성을 노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was written on the purpose of thinking about the failure of Yi kwangsu's ethico-politics. Generally speaking, it has been regarded as a betrayal of the nation on the respect of Lacanian master's discourse, or as the unavoidable result of the colonized situation. Apart from both perspectives, I tried to read his failure on the eyes of that of Kant's ethics. It means trying to watch his failure under the limitation of modern ethics and regarding it not as his individual failure but as a weakness of modern ethics itself. The two postulates in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re the symbol showing us the barrier in front of the ethics of modernity separated from the ethics of master's discourse. We can find a acutely distorted form of it in Yi Kwangsu's morality. He put the nation into the place of the master-signifier. Eventually he was found as an uncanny character, a nationalist without a nation. It is basicaly the result of the failure of his ethico-politics but shows also the formalism of the absolute good and the weakness of modern ethics.

      • KCI등재

        과잉윤리와 몰윤리 사이의 문학

        서영채(Seo, Young-Chae) 한국근대문학회 201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8 No.2

        이청준의 세계에서 가난은 부끄러운 것이면서 또한 자긍심의 원천이 되는 역설적 대상이다. 그의 서사에서 가난은 상반되는 힘으로 작용한다. 첫째, 가난은 주체 형성을 가능케 하는 조건이 된다. 둘째, 가난은 열등감을 만들어내는 원천으로서, 그것의 극복을 향한 동력을 만들어낸다. 가난을 자긍심의 근거로 삼는 첫째 방식은 이청준이 고수해온 문학적 입장이며, 그의 작품 세계의 표면을 이룬다. 가난을 극복하기 위해 집단적 의지가 필요하다는 둘째 입장은, 이청준이 지니고 있는 회의주의적 시각 밑에 존재하는 현실의 의지이자, 그 자신의 작품 세계에서 보자면 무의식적인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청준의 장편 『당신들의 천국』은, 그의 작품 세계에서는 매우 예외적인 작품이면서 또한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는 점에서 특이한 존재이다. 여기에는 이청준이 추구해온 과잉윤리의 세계와 당대의 현실 세계가 지니고 있던 몰윤리의 세계가 하나로 얽혀 있다. 이런 양상은 그만이 아니라 그의 세대가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청준과 김현, 김윤식이 얽혀 있는 ‘참기름 사건’과 『당신들의 천국』을 분석함으로써 이청준의 문학이 놓여 있는 윤리의 역설적 지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In Yi Chung-jun`s works, poverty is a paradoxical object in that it is the same source of shame and pride. In his narratives, poverty works in opposing forces. First, it is a condition that enables the formation of the ethical subject. Second, it is a source of inferiority, and creates will for overcoming itself. The former that leads to the thought to make poverty the basis of self - esteem is the basis of literary position that Yi Chung - jun has stuck to, and forms the surface of his works. The later which leads to the thought that collective will is needed to overcome poverty is that of his generation’s reality existing under his skeptical view and becoming unconscious power in his own works. His novel, Your Paradise(당신들의 천국) is in a peculiar place in that it is a very exceptional one in his whole works and is also regarded as his representative masterpiece at the same time. Here, the power of excessive-ethics pursued by him and the other power of non-ethics possessed by the real world of modernity are intertwined together. This aspect is related to not only him but also his generation. This paper tract out the paradoxical aspect of ethics in Yi Chung-jun`s literarture by analyzing the `sesame oil incident` and Your Paradise(당신들의 천국), which are intertwined with Yi Chung-jun, Kim Hyun and Kim Yun-sik.

      • KCI등재

        특집 : 센티멘탈 이데올로기; 자기희생의 구조 -이광수의 『재생』과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

        서영채 ( Young Chae Se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이 글은 이광수의 장편 『재생』(1924)을 중심 대상으로 하여 자기희생이라는 이광수 식 모럴의 구조를 밝히고자 씌어졌다. 『재생』은 이광수의 소설 세계 속에서 커다란 변화의 지점에 놓여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이후 이광수의 세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자기희생의 모럴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자기희생은 피해와 가해의 관계가 뒤바뀌는 역전의 공간 속에서 만들어진다. 피해자가 능동적 피해자로 변신함으로써 가해자와 동등한 주체의 위치에 서고자 하는 것, 그리고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자기희생이 지니고 있는 도덕적 에너지의 힘으로 종국적인 승자-공격자-참회자가 되고자 하는 것이 그것의 구조이다. 『재생』은 이와 같은 전도의 드라마 속에서 자기희생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기이한 에너지로 충만해 있는 소설이다. 이 소설 속에 존재하고 있는 신파의 정서는 원한의 에너지를 내장하고 있다. 이 점은 오자키 고요의 『금색야차』와의 비교 속에서 좀더 분명해진다. 이광수의 대표적인 장편소설의 흐름 속에서 남성 주체의 모습은 배신자에서 피해자로, 그리고 다시 자기희생자 등으로 변해간다. 이것은 1917년의 이광수를 통해 솟아나왔던 배신자 남성이라는 근대적 주체의 틀이 일종의 환상이었음을 상기시켜주는 여성적 원한 때문이다. 이 글은 『재생』이 지니고 있는 이런 특성을 밝히기 위해『금색야차』 및 『장한몽』과의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이것은 이광수 식 모럴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함이며, 또한 동시에 모더니티 자체의 모럴에 접근하고자 함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clarify the ethical structure of Yi Kwangsu`s self-sacrifice through analyzing his novel, Jaesaen(재생). It is worthy of notice in that it was published at the beginning point of great change in his career as a writer and that the idea of self-sacrifice emerging after that time in his novels was launched at that novel. The idea of self-sacrifice is formed in the place of reversal between a victim and a perpetrator. A will to be a subject equal to perpetrator make a victim to come over to the place of that willing to be a voluntary and a ultimate winner-perpetrator-repenter by the moral energy of self-sacrifice. Jaesaeng is a novel full of uncanny energy of resentment and a will to be a voluntary victim. Yi Kwangsu`s male characters had been moving from the place of a betrayer to that of a victim and self-sacrificer in the chronicle of his novels. This is mainly because of the female resentment that uncovers the fantastic core of male betrayer-modern-subject. I put Jaesaeng by the side of Konkikiyashya(금색야차) and Changhanmong(장한몽) in order to elucidate the core structure of Yi Kwangsu`s moral idea and to approach to the morality of modernity itself.

      • KCI등재

        둘째 아들의 서사-염상섭, 소세키, 루쉰

        서영채 ( Young Chae Se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1 No.-

        이 논문은 둘째 아들의 서사라는 말을 화두로, 한중일의 세 작가 염상섭 루쉰 소 세키를 비교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씌어졌다. 이 셋은 자국에서 근대문학을 열어간 작가들 로서, 냉소가 기질을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문학적 행로를 걸었다. 소세키와 염상 섭은 소설의 장인의 길을 갔고, 루쉰은 전투적인 문사의 길을 갔다. 장인의 길을 간 소세키와 염상섭이라 하더라도 자국의 문학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은 차이가 난다. 이것은 작품의 질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정황의 문제 때문이다. 한국문학사에서 염상섭에 대한 평가는 식민지 상태였던 한국에서 무엇이 중요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의 하나이다. 일본과 전쟁 중이었던 중국에서 루쉰은 매우 다른 글쓰기를 실천함으로써 대안적 보편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아들의 서사란 근대가 초래한 무한 공간 속에서 자기 불안을 책임지고자 집을 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뜻한다. 소세키의 『그후』의 경우가 그런 서사의 표준에 해당한다. 둘째 아들의 몸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첫째 노릇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염상섭과 루쉰의 경우였다. 루쉰은 전쟁터 속에서 둘째 아들 노릇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진짜 둘째 아들이 어떤 존재인지를 보여주었고, 염상섭의 텍스트는 서로 대극적인 인력을 지닌 문학과 현실을 하나로 움켜쥘 수밖에 없는 역설적 상황의 딜레마를 그려냈다. 이 논문은 이들의 모습을 아우름으로써 근대로의 전환기에 동아시아에서 펼쳐진 문학적 풍경의 한 모습을 담아보고자 했다. This essay was written on the intention of comparing the three writer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erms of ``the narrative of second son``. Yom Sang-seop(염상섭), Lu Xun(魯迅) and Natsume Soseki(夏木漱石) are the representatives of modern literature in each country. Though having the same cynical and skeptical disposition they had to go through different ways of life as a writer. Whereas Yum and Natsume lived their lives as aprofessional writer, Lu had to be a warrior-writer showing a model of alternative modern writing different from the standard of Natsme`s. The evaluation of the Yum`s literary textsin Korea which are different from that of Natsume`s in Japan reflects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notion of ``the narrative of second son`` points out the story of those who get out of his father`s house to take charge of their own ontological anxieties in the vacuous space made by modernity. Natsume`s And Then(それから) is a certain standard model for it. Though having the body of second son Yum and Lu had to write with the spirits of eldest son. Lu made it clear what the real second son can be, by abandoning the temper of second son. Yum had described the ironic scenes made by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opposite poles of literature and colonial reality. Those three writers in a scene can be a impressive landscape of East Asian literature in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age.

      • KCI등재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서영채(Seo Young Cha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자열서」는 최남선이 감옥에서 쓴 짧은 고백록이다. 이 글을 통해 최남선은 자신의 한 생애를 편력했다. 여기에서 그는 자신의 혐의을 네 가지로 항목화했다. 「자열서」의 이 네 가지 항목을 모티프로 하여,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최남선의 행위와 생각이 지니고 있는 윤리성에 접근해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이 논문은 씌어졌다. 태평양 전쟁 때의 최남선의 대일 협력 행적이 지니고 있는 의미, 역사 연구에서의 이념과 논리 사이의 간극, 그가 집중했던 역사와 신화의 문제, 그리고 그의 대일 협력의 윤리적 메커니즘으로서의 ‘아첨의 영웅주의’ 등이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질 것이다. 민족에 대한 배신을 통해 완성되는 민족주의의 윤리적 역설이 그 핵심을 이룬다. “Jay?ls?(自列書)" is a short compassion written by Choi Nams?n when he was arrested on the charge of anti-national act in 1949. Looking back on his whole life, he wrote about the four suspicions cast on him. My paper was written to make an approach to the ethic of an intellectual who found himself as a man having no choice but to betray his nation for the interest of his nation itself, by means of looking into the details of his four suspicions. My main point is making dear the four : the meaning of becoming a collaborator; the gap of ideology and science, made by a research on the national history; the question of mythology as a truth of a history; and a heroism of flattery as a ethical mechanism of his pro-Japanese collaboratory acts. The core of these problems is the ethical irony that a nationalist can be made complete by betraial of one's own nation.

      • KCI등재

        텍스트의 귀환 : 『무정』, 『금색야차』, 『적과 흑』을 통해 본 텍스트 생산의 주체와 연구의 윤리

        서영채(Seo Young Chae)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3

        이 논문은 한국 문학 연구의 또 다른 가능성과 윤리에 대해 성찰해보기 위해 씌어졌다. 연구 대상으로서의 텍스트는 다양한 생산 주체들의 참여에 의해 구성된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것이다. 그런 다층성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것이 연구자의 욕망이며, 반대로 텍스트의 심층을 향한 연구자의 그런 욕망이 텍스트의 다층성을 생산해낸다는 점에서, 그 욕망과 대상은 서로 반영적이다. 이 논문에서 텍스트의 무의식이라 부른 것은 텍스트 생산에 참여하는 그러한 초월론적 힘의 복합을 지칭하는 것이다. 텍스트 생산의 이런 과정 속에서는 텍스트 생산의 물리적 주체인 작자도 특권적일 수 없으며 단지 생산에 참여하는 하나의 요소에 불과하다. 텍스트는 다양한 힘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므로 어떤 텍스트도 흠 없이 완벽할 수는 없으며, 텍스트에 존재하는 그런 기형적이고 비정상적인 부분들을 텍스트의 증상이라 부른다. 그것은 텍스트의 특이성을 담지하고 있는 정체성의 보증자이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텍스트의 무의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 논문에는 『무정』『금색야차』『적과 흑』의 증상들을 분석함으로써 그 실례를 제시하고자 했다. 텍스트에 대한 이런 방식의 접근을 시도하는 것은 그 자체가, 현재 한국에서의 문학 연구가 처해 있는 차가운 상황을 암시하고 있다. 텍스트의 귀환이라는 모토를 통해 문학 연구의 새로운 동력원을 모색하고자 했던 것도 이런 상황에 대한 대처하기 위함이다. 욕망이 충동에 대한 방어일 수 있다면, 연구자의 욕망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텍스트의 무의식을 향한 분석의 기율이 그 자체로 연구의 동력이자 윤리가 될 수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This paper presents another possibility of researching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its ethics involved in such reserch. Text, as the object of research, is a complex product of various subjects. The desire of a researcher to grasp the core of that complexity makes retroactively its object. We call it the unconscious of text, that is the complexity of transcendental factors of text production. Even tht author of the text is only one of them. Text that is composed of various factors cannot be flawless. 'The flaw' of it can be called the symptom of text which represent its singularity and allow us explore the unconscious of it. I have tried to illustrate this aspect by analyzing three novels, one each from Korea, Japan and France. With the motto "the return of text"(not "the return to text"), I want to find a new way of thinking the ethicality of researching contemporary literature. If desire is a defense against drive, so is that of a researcher too. A analysing the unconscious of text, in itself can form the ethicality of a researcher.

      • KCI등재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서영채(Seo, Young-Ch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임철우의 장편소설 백년여관을 통해 1980년대적인 정신의 구체적인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씌어졌다. 그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은 광주항쟁과 연관된 죄의식으로서, 이 논문에서 그것은 다음 세 가지 요점에서 고찰되었다. 첫째, 1980년대 정신 속에 새겨져 있는 죄의식의 의미, 둘째, 죄의식이 주체화 과정으로 연결되는 양상, 셋째, 죄의식을 통한 주체화가 20세기 한국의 정신사에서 갖는 의미. 요약하자면, 죄의식의 어두운 터널을 통과하는 순간 정신은 주체가 된다. 그렇게 탄생한 주체는 자기 책임의 영역을 찾는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윤리적 주체이며, 또한 책임의 연대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공동체적 주체이기도 하다. 임철우의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 탄생의 드라마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텍스트이다. 이 소설에서 임철우는 죄의식의 빈자리를 메워줄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확보했다. 그것은 이광수에서 최인훈을 거쳐 오는 동안, ‘죄 없는 책임’이라는 매우 특이한 주체 형성의 드라마가 찾아 헤맸던 것이며, 이것이 확보되었다는 것은 20세기를 관통하며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함께 형성되어온 주체의 서사가 1980년대에 들어서 비로소 하나의 확실한 고정점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7년 6월 항쟁으로 구체화되는 민주화라는 단어가 그것이다. 1980년대적인 정신은 ‘두 죽음 사이의 윤리’가 행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며, 거기에서 죄의식은 책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주체의 서사를 완성한다.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화의 드라마를 포착해내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gure out the spirit of 1980s in South Korea through analysing Yim Chulwoo"s novel, A Hundred Years Inn(백년여관). What lays in the core of it is the sense of guilt related with Kwangju movement; it is looked into on the three points: first, the meaning of the guilt inscribed in the spirit of 1980s; second, the guilt"s becoming to subjectification; third, the meaning of the subjectification made complete through the sense of guilt in the history of thoughts in 20th century Korea. In brief, a spirit is born to be a subject by getting through the dark tunnel of the guilt. Such a subject is at first an ethical subject in that it wants to get to its own place of responsibility; it is a subject of community in that it finds out the chains of communal responsibility. A Hundred Years Inn is a noticeable text in that it harbored a drama of the birth of such a subject; there it showed the subject obtained a certain and concrete content filling out the blank place of guilt, which have been chased by the very odd story of Yi Kwangsu"s and Choi Inhun"s "responsibility without violation". It means that the scenario of subjectification which have been made through 20th century Korea finds out a distinct anchoring point in 1980s; it i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perfectly figure itself out at the June movement in 1987. The spirit of 1980s is built by transforming the energy of "ethics between two deaths" into the act; there the sense of guilt can complete its own story by getting to the realm of ethic of responsibility. A Hundreds Inn incarnated its drama.

      • KCI등재

        이광수의 초기 단편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어린 벗에게>와 <윤광호>를 중심으로-

        서영채(Seo Young-chae) 한국현대문학회 200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10 No.-

        The narrative of love seen in Yi Kwangsu's literary world leads from the discovery of passion to the elimination of passion, and from the discovery of love to the prohibition of love. Yi Kwangsu regarded literature as a medium for enlightenment thought, and within that limit his writing works towards the dear objective of the self-preservation of the race-nation (minjok). Therefore, in Yi Kwangsu's work the subject of writing is a group subject; this subject is always assumes a pedagogical position towards the reader. What was important for Yi was not individual desire or emotion but the attainment of some kind of communal connection and union through the elimination of individuality. The content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Yi Kwangsu promoted passed through at least three different stages: a theory of the liberation of the emotions in the 1910s, national enlightenment thought during the 1920s and early 1930s, and an emphasis on universal human love beginning in the late 19305. However, irrespective of the content, the idea of writing as a practice of enlightenment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and the basic framework of a stately subject speaking to the group an to public concerns-what we have termed here the subject as patriot (chisajok chuk's)-never changed.<br/>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while being a novelist Yi Kwangsu never abandoned the role of the enlightenment leader. The content of his enlightenment thought underwent extreme change but the role remained constant, and as a result the idea of the modern which he sought could not escape the paradoxical circuit of endless self-negation which idealism involves. The journey which Yi Kwangsu's narrative of love took reveals the paradox not only of colonial modernity but of modernity itself understood idealistically. The position of ethical rigour which Yi Kwangsu inevitably reached was the product of such a paradox; he tried to uphold the position of a communal subjectivity, that is of the subject which regards the safety and preservation of the community as its highest value, even though this meant embracing the contradiction of self-negation and the paradox involved in the search for an idealised modernity. Through an analysis of the narrative of love as it appears in Yi Kwangsu's representative novels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formation and mode of being of this subjectivity of the patri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