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경성제대 영문과 네트워크에 대하여

        사노마사토(佐野正人)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6

        1924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예과가 개설되고 2년후인 1926년에는 본과가 개교됐다. 그것을 전후해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지적, 문화적 상황에는 일정한 변화가 생긴 것 같이 보인다. 그것과 동시에 언어적인 이중언어 문제에도 새로운 현상들이 생긴 것을 경성제대 영문과의 경우를 짚어가며 검토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경성제대 영문과에 우수한 한국인 학생들이 모인 것을 영문과 초대 교수인 사토키요시의 회상에서 알 수 있다. 실재로 최재서, 이효석, 조용만 등 식민지시기 한국문학을 지탱한 문학자들을 배출한 것으로 그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최재서는 일본의 평론계에 데뷰했는데 그의 경우를 통해서 경성제대 영문과가 한국과 일본을 넘어서는 지적 네트워크가 생성되어가는 가운데 하나의 결절점으로서 또는 문화적 생산점으로서 등장한 것을 알 수 있다. 최재서 등의 언어의식을 살펴보면 그들의 이중언어에 대한 의식을 알아볼 수 있다.『전환기의 조선문학』의 서문을 보면, 최재서가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대해서 “나는 일본을 호흡하여 일본 안에서 자랐다”와 같이 매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을 회상하고 있다. 동세대인 장혁주에서도 비숫한 회상이 보인다. 그들 세대에 있어서 일본어는 “취미”나 “교양”의 문제이고 가치판단을 떠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로 그들을 이중언어세대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들 세대의 등장과 경성제대 의 개설은 거의 시기를 같이 하고 있고 그들의 세대적 경험에 보다 확고한 틀을 제공한 역할을 했었다. 경성제대 영문과의 교육도 그런 상황에 대응하듯이 문화적, 문학적 주체화의 의식을 가지고 있던 것을 사토키요시의 회상에서 읽을 수 있다. 경성제대 영문과의 학풍은 그들의 언어의식과 서로 매개된 것이었다고 하겠다. 식민지 시기 한국인 학생에 있어서 영문학이 특별한 위상을 가진 것은 사토키요시의 회상에서도 볼 수 있는데, 그 당시 영문학이 가지고 있던 위치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으로 논을 매듭짓는다. 식민지 시기 한국인 학생에 대하여 영문학은 민족적 정체성을 모색하기 위한 지적 참조항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것 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이중언어나 이중의 정체성 등 이론적으로는 쉽게 근접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영문학 안에 존재했었다. 특히 그런 테마들은 이 시기에 아일랜드 문예부흥이라는 모습으로 각광을 받고 있던 것이기도 하고, 사토키요시도 지속적으로 아일랜드 문학에 관심을 가진 것이 주목된다. 그것은 또하나의 영문학에 대한 지향으로서 당시 한국의 탈식민주의적인 주체화의 모색과 서로 공명했던것으로 생각된다. In 1924 a preparatory course of English at Keijo University was established and two years later a regular course opened up in 1926. Before and after that period, the change of the intellectual and cultural situation of colonial Korea began to take place to some extent. Simultaneously the problem of bilinguality seems to have arisen creating new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new phenomenon dealing with this case of circumstances in Keijo University’s English department. Sato Kiyoshi, the first chief professor of the English department testified in his reminiscence that many excellent Korean students entered into the English department of Keijo University. In fact the English department produced many writers and poets, like Che Je-soe, Lee Hyo-suk, Cho Yong-man, who sustained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Especially,the case of Che Je-soe, who made a debut as a literary critic in Japan, indicates that Keijo University played a key role in the cultural intercourse between Korea and Japan. By examining the linguistic consciousness of Che Je-soe and other people, we can exemplify their attitude to the problem of bilingual. At the preface of Korean Litera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Che Je-soe recalled that he accepted Japanese language and Japanese culture spontaneously, saying "I breathed Japan, and grew up in Japan." Zhang Hyuk-ju, who was from the same generation of Che Je-soe, likewise looked back to his boyhood. For their generation the problem of Japanese language was felt as "interest" or "education", and these were considered to be separated from the problem of value judgment. In that context, they could be called "bilingual generation". The appearance of their generation was simultaneous with the establishment of Keijo University, and the latter played a role in the framework which gave firm shape to their experiences. As if it corresponded with the situation, the education at the English department of Keijo University seemed to have the directivity of cultural and literary subjectimization, which is evidentby the reminiscence of Sato Kiyoshi.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English department of Keijo University was mediated mutually with their linguistic consciousness. "English literature" had a special phase for Korean students during that period, which is mentioned as the reminiscence of Sato Kiyoshi, so this thesis closely examines the location of English literature at that period. For the Korean studen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English literature" seemed to play the role of the referential item, through which it embraced the notion of national identity. In "English literature", there were problems like bilingual language or bicultural identity, which were difficult to approach through a theoretical frame like Marxism.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these themes came into the limelight as a form of Irish Literary Renaissance, and it is worthy to remark that Sato Kiyoshi continually showed attention to Irish literature. That seems to be the directivity for alternative English literature, and that sympathizes the searching for the postcolonial subjectimization of colonial Korea.

      • KCI등재

        1930 년대의 이스탄불, 하얼빈이 디아스포라 문학

        사노마사토 韓國比較文學會 2002 比較文學 Vol.29 No.-

        ディアスポうとは元元ユダヤ人の民族離散を指す言葉だが、ポストコロニアリズム批評やカルチュラル · スタディ―ズの流行の中で近代の異種混交的文化の生産の擔い手として脚光を浴びるようになった槪念である。20世紀の政治的變動や民族移動の中で、文化的生産の主體として浮上してきたディアスポラの場をめぐって、本論ではイスタンブ―ルとハルビンという二つの都市を中心に考えてみた。 イスタンブ―ルとハルビンは、ともにロシアの近傍に位置することでロシア革命後のデイアスポラの波を受けることになった。元元、國際的都市としての性格をもった二都市であったが、 イスタンブ―ルの場合、 ロシア革命後のロシア人亡命者の波とナチス政權成立後のユダヤ人彈壓を避けたユダヤ人 (ドイツ人) 亡命者の波の中で、 ディアスポラ都市としての性格を持っていく。イスタンブ―ルには『ミメ―シス』を著したE ·アウエルバツハがl936年に亡命し、約10年間をそこで過ごすのだが、『ミメ―シス』の後記においてイスタンブ―ルとその著書執筆の關係について述べている。それを、ヨ―ロッパ文化から絶望的に離れていることによってヨ―ロッパ文化を總體として捉える別の共同性が浮上してきたものと見ることができる。 E·サイ―ドはそのことを養子緣組關係と述べ、自然的な共同性に對立するオルタ―ナティブな共同性への試みと捉えている。 ハルビンはその都市建設からロシア人が深く關與しており、ロシア人·中國人の混住する都市だったが、ロシア革命後大量の亡命ロシア人がやって來、また滿州事變後、日本人·朝鮮人移民の來住とともにそこを離れざるをえなかった中國人ディアスポラが發生し、デイアスポラ都市としての樣相を呈していく。本論では亡命ロシア人文學者としてワレ―リイ·ペレレ―シンの場合を取り上げ、また中國人デイアスポラ (滿州亡命作家) として蕭紅のケ―スを取り上げてみた。 ペレレ―シン、蕭紅のいずれの場合も、喪われた故鄕としての共同性を文學という通路を通して回復しようと試みており、喪われた價値の回復という主題が見られる。その作品における別の共同性へのモチ―フを跡づけることでディアスポラ文學としての性格を定位することができることだろう。 20世紀アジアのデイアスポラに關して、また極東のデイアスポラ都市ハルビンという空間に關して, これからその總體的な再評價が要求されるものと思われる。それは20世紀の文學を「國民文學」という내조みから解放し、ディアスポラたちが生産する異種混交的な領域と價値の中に置き直すことでもあり、本論はその試みの第一步である。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치적 관계악화가 일본 내 한국창작뮤지컬 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고찰

        사노 아유미(Ayumi Sano)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0 No.-

        한류로 인해 드라마, K-POP을 비롯해 수많은 한국문화콘텐츠가 일본으로 수출, 유입되어 왔다. 그러나 정치적 한일관계 악화로 인해 한류콘텐츠의 일본 진출은 어려움을 겪어 있다. 그런 가운데 최근 한국창작뮤지컬이 여러 형태로 꾸준히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뮤지컬은 개인의 선택으로 인해 소비되는 것으로 정치적 영향이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류콘텐츠와 달리 뮤지컬은 일본공연시장에서 그 입지를 더 넓힘에 있어서 정치적인 악화가 소비활동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객들은 한류콘텐츠를 접한 경험이 있으며 거부감 없이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취미와 정치는 별개로 개인의 취향을 중요시하고 있다. 공연관람에 있어 선택기준으로 출연배우만이 아니라 작품성을 고려하기도 하다. 정치관계 악화로 한국 국내의 반일감정으로 인한 반발이 우려되기는 하나, 한국창작뮤지컬의 일본공연의 가능성은 크며, 관객들을 확보할 수 있다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일본 공연시장과 한국 공연시장의 차이, 문화적 차이, 표현에 관한 차이점 등은 극복해야 한다. Due to the Korean Wave, many Korean cultural contents, including dramas and K-pop, have been exported to Japan. However, the entry of Korean Wave content into Japan has been difficult due to worsening political relations between Seoul and Tokyo. Meanwhile, Korean creative musicals have been performing steadily in various forms recently. Musicals are consumed by individual choices and are expected to have little political impact. Unlike Korean Wave content, musicals are unlikely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ir political deterioration in expanding their presence in the Japanese performance market. Audiences have experience with Korean Wave content and can accept it without feeling repulsed. It also values individual tastes apart from hobbies and politics. In terms of viewing performances, not only the cast members but also the quality of the work is considered as a standard of cho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