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회복탄력성 도시를 위한 기독교 패러다임의 변화

        봉원영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how Christianity can cooperate with the urban community to realize a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environment and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COVID-19.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the resilient city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identified what paradigm changes modern Christianity requires in the public domain of urban communities and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on how Christianity can practice co-prosperity and collaboration as a community member while revealing its value.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contemporary Christianity needs to work to create communities that prioritize community engagement and build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Second, we need to strengthen spiritual resilience so that people can find hope and meaning in the midst of uncertainty and suffering. Third, we need a proper understanding of creation theology and practical efforts in creation stewardship to build a sustainable society. Fourth, we need to be able to practice social justice so that we can be concerned about and engage with various inequalities in society. Finally, the wise u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s needed to build new communities that are accessible and resilient in the face of future crises.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도시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회복탄력적인 도시적 환경의 구현을 위해 기독교가 도시 공동체와 어떠한 협력이 가능하겠는지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회복탄력적 도시의 개념과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의 기독교는 도시 공동체의 공적인 영역에서 과거와는 다른 어떠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기독교가 그것의 가치를 드러내면서 어떻게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상생과 협업을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대 기독교는 지역사회 참여와 이웃과의 관계 구축을 우선시하는 커뮤니티를 창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불확실성과 고통 속에서 희망과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영적 회복력을 강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지속 가능한 사회 구축을 위해 창조신학을 바르게 이해하고 피조물 관리하는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의 다양한 불평등에 관한 관심과 참여가 가능하도록 사회정의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위기에 직면하여 접근 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새로운 공동체 건설을 위해 기술 혁신의 지혜로운 활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3·1 운동 정신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선교적 교회 역할

        봉원영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In commemoration of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March 1 movement in 2019, the research looked at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the March 1 movement on Korean history and highlighted what the church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hould play. The meaning of the March 1 movements to modern society has been identified as follows. First, the Church needs a clea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ociety. Second, there is a need for attention to the next generation, the existing future. Third, practical education is needed for young people. Fourth, what is as important as a dreams is the value in it. Focusing on these facts, the study suggested what modern church roles should be lik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the church should attempt a missional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sense of belonging. Second,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called the Z generation, is paramount. Third, the church of the new era should be the leader of the civil society movement. Fourth, efforts are needed to realize the identity of the church. So the Church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hould be a more missional community that reveals the kingdom of God i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2019년 올해로 3·1 운동이 발발한지 백주년을 맞이하면서 3·1 운동이 한국역사에 미쳤던 의의와 영향들을 살펴보고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가 감당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조명했다. 또한 이러한 3·1 운동이 현대 사회에 주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확인했다. 첫째, 교회는 사회에 대한 분명한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둘째, 현존하는 미래인 다음 세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그들을 위한 실제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이상만큼 중요한 것은 그 속에 들어있는 가치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중심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현대의 교회 역할은 어떠해야 하겠는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교회는 소속감을 강조하는 선교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둘째, Z세대로 불리는 다음 세대를 향한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새로운 시대의 교회는 시민사회운동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 넷째, 교회의 온전한 교회됨의 구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회는 일상의 삶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드러내는 보다 더 선교적인 공동체이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재림교회의 공공신학 이해와 실천

        봉원영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학문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SDA) on public theology, which is being discussed in Christianit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among the theological doctrines of SDA, the philosophy of social responsibility ethics was included, centering on the Sabbath and Adventism that best reveal the denomination's uniqueness and identity. Sabbath theology emphasizes the equality provided to all creations regardless of culture, time, or environment as a sign of true liberation. SDA believes that it should be the first to be able to develop thoughts on justice, equality, and freedom not only within the community but also outside. In addition, SDA believes that the doctrine of Jesus' second coming provides additional motivation for justice, equality, and peace in the present life because the past determined the future and the present before Christ's Incarnation, but then the future affected the present. When SDA practices its role in various public areas, research is needed for participation in a more elegant way. In addition, it need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holistic mission and expand it further in today's situation. 본 연구는 후기 세속사회에 종교의 소환과 더불어 기독교 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공공신학에 대한 재림교회의 신학적 이해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재림교회의 신학적 교리들 가운데 교단적 독특성과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안식일과 재림 교리를 중심으로 그 속에서 사회적 책임윤리의 정신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안식일 신학은 진정한 해방의 표징으로서 문화나 시간, 또는 환경과 관계없이 모든 창조물에 제공하는 평등성을 강조한다. 재림교회는 공동체 안에서뿐만 아니라 밖에 있는 모든 사람의 정의와 평등, 자유에 관한 생각을 가장 먼저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또한, 재림교회는 그리스도의 성육신 이전에는 과거가 미래와 현재를 결정했으나, 그 이후에는 미래가 현재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고 이해하기 때문에, 재림의 교리는 현재의 삶에서 정의와 평등, 평화에 대한 추가적인 동기를 제공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림교회는 다양한 공적 영역에서 그 역할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더욱 품위 있는 방식으로서의 참여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재림교회는 통전적 선교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것을 오늘날의 시대적 상황에서 더욱 확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선교적 교회의 역할과 전망

        봉원영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50 No.-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선교적 교회가 감당해야 할 역할과 전망을 조명했다. 2016년 10월 31일, 세계 경제 포럼의 특별 심포지엄에서 장래의 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세계적인 추세들 가운데 하나로 종교와 신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교적 교회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사회의 아픔과 고민에 함께 동참하는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다음의 역할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배와 일상의 융합, 그리고 조화를 통한 공동체적 삶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 없이 건강한 사회적 포용성을 확대함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로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교회가 교회만이 아닌 지역공동체를 위한 삶을 살아갈 때 교회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면에서 공동체의 유익과 공공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4차 산업혁명은 우리가 무엇을 하게 될 것인지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체성도 변화시키기 때문에 바른 정체성으로 윤리적 또는 도덕적 문제들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This study highlights the prospect and the role that a missional church must play in dealing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move toward a communal life through convergence and harmony between worship and daily life. Second, a missional church should make an effort to restore a society by expanding healthy social inclusivity, both online and offline. Third, since the church can restore its essence when it lives not only for the church but also for the local community, the church must make efforts for the benefit and public good in various ways. Finally, sinc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our identity, the church should approach moral or ethical issues more aggressively.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시와 기독교

        봉원영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Today'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w showing a huge trend that cannot be rejected or ignored. Historically,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alway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nction and form of cities, so it is very necessary for modern Christianity to establish the right cultural perspective in urban settings and seek ways to contribute socially in the public doma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ight role of Christianity in new urban spaces and structure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a sustainable 'good' city in a new era? What are the principles and conditions of the 'good' city?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Christianity? Third, what role should Christianity in the city play for co-prosperity and community? In response to the third question, the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ap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store and practice Christian civic culture. Second, Christianity should also take the lead in restoring morality in the market economy. Thi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hristian values beyond caring and charity. Fourth, the church needs a role and cooperation as a civil society that restores humanity and faith. 오늘날의 제4차 산업혁명은 이제 거부하거나 무시하지 못할 거대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역사적으로 산업혁명은 항상 도시의 기능과 형태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왔기 때문에 현대 기독교가 도시적 환경에서 바른 문화적 관점을 정립하고 공공의 영역에서 사회적으로 이바지할 방법들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토대로 새로운 도시공간과 구조 안에서 기독교의 바른 역할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첫째, 새로운 시대의 지속 가능한 ‘좋은’ 도시란 무엇인가? 그 ‘좋은’ 도시의 원칙과 조건은 무엇인가? 둘째, 도시와 기독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도시 안의 기독교는 상생과 공동체성을 위하여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 세 번째 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적용점들을 제시했다. 첫째, 기독교 시민 교양의 회복과 실천이 필요하다. 둘째, 시장 경제에 있어서도 기독교가 앞장서서 도덕성 회복을 위한 노력해야 한다. 셋째, 돌봄과 자선의 차원을 뛰어넘은 기독교 가치의 구현이 필요하다. 넷째, 인간성과 신의를 회복하는 시민사회로서의 역할과 협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루터의 종교개혁에서 나타난 사회참여적 특징과 현대 기독교적 적용

        봉원영(Won Young B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지금으로부터 500년 전에 발생했던 루터의 종교개혁은 교회 안의 부패와 모순, 성경신학적 문제들을 세상에 드러내면서 성경과 초대교회의 가르침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했던 “교회 안”만의 개혁이 아니었다. 그로 인해 시작된 종교개혁은 사회 전반적인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쳤고 중세에서 근세로 넘어가는 결정적인 디딤돌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6세기에 발생했던 루터의 종교개혁 과정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던 사회복지개혁적 특징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현대 기독교적 입장, 특별히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이신칭의와 만인사제설 교리가 루터종교개혁의 사상적 토대였음을 확인하였고 신양약자와 여성들과 같이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지면서 현실을 무시하지 않았던 종교개혁이 루터의 종교개혁적 특징임을 살펴보았다. 루터의 사회복지 정책으로는 크게 세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가난한 자들을 위한 구호활동, 교육사업, 그리고 경제정책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늘날 현대 기독교가 루터의 사회복지개혁적 특징들을 계승하여 발전시킬 사항으로 현실을 무시하지 않는 사회적 복지실천, 교회의 올바른 실천적인 사회책임 이해, 지역공동체를 위한 실제적 복지실천을 제안하였다.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at erupted 500 years ago has influenced all aspects of society and have become a crucial stepping stone to modern times from the Middle 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re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how they apply to the Modern Christianity, especially from the view of the missional church. Therefore, in the main body, the two doctrines of Justification by Faith only and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were based on the Luther’s Reformation were examined. A researcher confirmed that his Reforma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ed about second-class citizens and disadvantaged such as the weak faith, women, and the social situations were considered all the time in his Reformation. There were three characteristics of Luther’s social welfare reforms: relief activities, education businesses, and economic policies. In addition, a researcher discussed some suggestions that the missional church can apply to its ministry for creating a healthier community.

      • KCI등재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이해와 교육적 적용

        봉원영(Wonyoung Bo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8 No.-

        21세기의 현대 사회는 과학과 교통의 급격할 발달로 인해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 등으로 특징져지게 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특징과 맞물려 자신이 태어난 국가가 아닌 다른 나라의 새로운 문화 속에서 성장하는 세대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들은 부모의 문화 세계나 자신들의 성장 과정에서 경험한 문화 세계에 속하지 못 한 채, 또 다른 새로운 문화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데 이들이 제3 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이다. 제3문화 아이들의 이러한 초문화적인 삶은 다중언어의 습득과 같은 다문화 기능의 계발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너무 잦은 이주로 인한 정체성 혼란과 정서적인 충격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소속감과 뿌리의식의 부재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 7백 30만 명에 이르는 해외거주 한인들에게도 무시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제3문화 아이들을 위하여 각 가정이 철저한 가족 중심의 신앙사역을 감당하며 현지이민교회는 자녀들을 위한 뿌리교육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한국의 교회들 또한 다각적인 방면에서의 지원과 효과적인 선교교육적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term “Third Culture Kids(TCK)” first came into use by Dr. John and Ruth Useem in the 1950s in order to point out children whom were rooted in the culture, lived out in the host culture, but in the end, neither fully one nor the other. TCKs experience the greatest challenge to form their sense of identity and a sense of belonging during their formative years. Therefore, we need to make a thorough investigatio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CKs, make up for its dark aspects, and help TCKs to have a healthy identity in their life. Firstly, it is essential to maintain a healthy family for TCKs. Secondly, the role of the immigrant churches abroad is very vital for the resilient life of TCKs as they experience the third culture in an unfamiliar place. Thirdly, churches in Korea have a heavy duty of praying and supporting TCKs as well.

      • KCI등재

        하이브리드 교수 모델을 이용한 수업 효과 분석

        봉원영(Won Young Bong),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수업 구성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성교양과목 중의 하나인 ‘21세기 리더십’ 과목을 선정하고, 이를 동일한 과목으로 2개 반을 개설하여 격주형 모형과 혼합형 모형으로 수행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과목을 수강했던 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십 지식은 격주형과 혼합형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총괄평가인 기말고사 성적은 혼합형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적인 자기수용의 경우,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셋째, 리더십 생활기술의 증진은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십 과목의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학습효과도 함께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혼합형 하이브리드 모형을 채택하되, 학생들이 참여와 실습을 통해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온라인 강의보다는 오프라인 강의에 비중을 더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임을 결론짓고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en two classes with the name of 21st Leadership, run with two different hybrid teaching styles which are hybrid LZ type and hybrid lz type,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their effectiveness of hybrid model of the sub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students who took these classe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evelopment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leadership in both LZ and lz model. but the result of final exam in the group lz was shown only significant development. Second, in the cas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re was significant development only in the group lz. Third,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skills was shown only in the group lz.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concluded that the lz is more suitable for the subject of 21<SUP>st</SUP> Leadership because this model can provide much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than LZ model.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구어적 매체가 16세기 종교개혁에 미친 영향과 현대 기독교의 적용

        봉원영(Won Young Bo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구술성과 문자성이 결합된 구어적 매체의 특징과 그것이 16세기와 21세기에 미친 영향을 각각 분석하여 현대 기독교에로의 적용점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오늘날의 전자시대는 전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과 같은 이차적인 구술성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면서도 그 존립을 쓰기와 인쇄에 힘입는 구술성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구술성에서 문자성으로 전환, 나아가서 전자 시대로의 전환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종교적 구조 및 그 밖의 여러 구조와 서로 맞물려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첫 부분에서 1차적 구술문화가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고 그것이 어떻게 문자매체와 결합하여 구어적 매체가 되었으며 나아가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얼마나 시의 적절하게 그 새로운 매체를 활용함으로 종교개혁에 큰 힘을 발휘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문자성에 기반한 전자매체가 구술성과 결합하여 전혀 새로운 현대 구어적 매체를 이루었다는 사실을 살펴보고 현대 기독교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oral media, which is orality and literacy combined, in order to analyze its effect on the age of Reformation and today, and to draw applicable points on the present Christian mission. The electronic age is an age of secondary orality, the orality of telephones, radio, and television, which depends on writing and print for its existence. Historicall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shift from orality to literacy and on to electronic processing has engaged in social, economic, political, religious and other structures. With this perspectiv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researchers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oral culture, examined how it combined with media literacy and became oral media, and witnessed how reformers in the sixteenth century utilized it timely along with what the ending result was. In the second part, researcher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media based on literacy and orality, and presented several applicable points to the present state of the Christi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