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시와 기독교

        봉원영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Today'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w showing a huge trend that cannot be rejected or ignored. Historically,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alway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nction and form of cities, so it is very necessary for modern Christianity to establish the right cultural perspective in urban settings and seek ways to contribute socially in the public doma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ight role of Christianity in new urban spaces and structure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a sustainable 'good' city in a new era? What are the principles and conditions of the 'good' city?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Christianity? Third, what role should Christianity in the city play for co-prosperity and community? In response to the third question, the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ap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store and practice Christian civic culture. Second, Christianity should also take the lead in restoring morality in the market economy. Thi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hristian values beyond caring and charity. Fourth, the church needs a role and cooperation as a civil society that restores humanity and faith. 오늘날의 제4차 산업혁명은 이제 거부하거나 무시하지 못할 거대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역사적으로 산업혁명은 항상 도시의 기능과 형태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왔기 때문에 현대 기독교가 도시적 환경에서 바른 문화적 관점을 정립하고 공공의 영역에서 사회적으로 이바지할 방법들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토대로 새로운 도시공간과 구조 안에서 기독교의 바른 역할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첫째, 새로운 시대의 지속 가능한 ‘좋은’ 도시란 무엇인가? 그 ‘좋은’ 도시의 원칙과 조건은 무엇인가? 둘째, 도시와 기독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도시 안의 기독교는 상생과 공동체성을 위하여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 세 번째 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적용점들을 제시했다. 첫째, 기독교 시민 교양의 회복과 실천이 필요하다. 둘째, 시장 경제에 있어서도 기독교가 앞장서서 도덕성 회복을 위한 노력해야 한다. 셋째, 돌봄과 자선의 차원을 뛰어넘은 기독교 가치의 구현이 필요하다. 넷째, 인간성과 신의를 회복하는 시민사회로서의 역할과 협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회복탄력성 도시를 위한 기독교 패러다임의 변화

        봉원영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how Christianity can cooperate with the urban community to realize a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environment and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COVID-19.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the resilient city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identified what paradigm changes modern Christianity requires in the public domain of urban communities and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on how Christianity can practice co-prosperity and collaboration as a community member while revealing its value.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contemporary Christianity needs to work to create communities that prioritize community engagement and build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Second, we need to strengthen spiritual resilience so that people can find hope and meaning in the midst of uncertainty and suffering. Third, we need a proper understanding of creation theology and practical efforts in creation stewardship to build a sustainable society. Fourth, we need to be able to practice social justice so that we can be concerned about and engage with various inequalities in society. Finally, the wise u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s needed to build new communities that are accessible and resilient in the face of future crises.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도시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회복탄력적인 도시적 환경의 구현을 위해 기독교가 도시 공동체와 어떠한 협력이 가능하겠는지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회복탄력적 도시의 개념과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의 기독교는 도시 공동체의 공적인 영역에서 과거와는 다른 어떠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기독교가 그것의 가치를 드러내면서 어떻게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상생과 협업을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대 기독교는 지역사회 참여와 이웃과의 관계 구축을 우선시하는 커뮤니티를 창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불확실성과 고통 속에서 희망과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영적 회복력을 강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지속 가능한 사회 구축을 위해 창조신학을 바르게 이해하고 피조물 관리하는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의 다양한 불평등에 관한 관심과 참여가 가능하도록 사회정의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위기에 직면하여 접근 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새로운 공동체 건설을 위해 기술 혁신의 지혜로운 활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재림교회의 공공신학 이해와 실천

        봉원영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학문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SDA) on public theology, which is being discussed in Christianit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among the theological doctrines of SDA, the philosophy of social responsibility ethics was included, centering on the Sabbath and Adventism that best reveal the denomination's uniqueness and identity. Sabbath theology emphasizes the equality provided to all creations regardless of culture, time, or environment as a sign of true liberation. SDA believes that it should be the first to be able to develop thoughts on justice, equality, and freedom not only within the community but also outside. In addition, SDA believes that the doctrine of Jesus' second coming provides additional motivation for justice, equality, and peace in the present life because the past determined the future and the present before Christ's Incarnation, but then the future affected the present. When SDA practices its role in various public areas, research is needed for participation in a more elegant way. In addition, it need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holistic mission and expand it further in today's situation. 본 연구는 후기 세속사회에 종교의 소환과 더불어 기독교 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공공신학에 대한 재림교회의 신학적 이해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재림교회의 신학적 교리들 가운데 교단적 독특성과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안식일과 재림 교리를 중심으로 그 속에서 사회적 책임윤리의 정신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안식일 신학은 진정한 해방의 표징으로서 문화나 시간, 또는 환경과 관계없이 모든 창조물에 제공하는 평등성을 강조한다. 재림교회는 공동체 안에서뿐만 아니라 밖에 있는 모든 사람의 정의와 평등, 자유에 관한 생각을 가장 먼저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또한, 재림교회는 그리스도의 성육신 이전에는 과거가 미래와 현재를 결정했으나, 그 이후에는 미래가 현재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고 이해하기 때문에, 재림의 교리는 현재의 삶에서 정의와 평등, 평화에 대한 추가적인 동기를 제공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림교회는 다양한 공적 영역에서 그 역할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더욱 품위 있는 방식으로서의 참여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재림교회는 통전적 선교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것을 오늘날의 시대적 상황에서 더욱 확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선교적 교회의 역할과 전망

        봉원영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50 No.-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선교적 교회가 감당해야 할 역할과 전망을 조명했다. 2016년 10월 31일, 세계 경제 포럼의 특별 심포지엄에서 장래의 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세계적인 추세들 가운데 하나로 종교와 신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교적 교회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사회의 아픔과 고민에 함께 동참하는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다음의 역할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배와 일상의 융합, 그리고 조화를 통한 공동체적 삶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 없이 건강한 사회적 포용성을 확대함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로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교회가 교회만이 아닌 지역공동체를 위한 삶을 살아갈 때 교회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면에서 공동체의 유익과 공공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4차 산업혁명은 우리가 무엇을 하게 될 것인지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체성도 변화시키기 때문에 바른 정체성으로 윤리적 또는 도덕적 문제들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This study highlights the prospect and the role that a missional church must play in dealing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move toward a communal life through convergence and harmony between worship and daily life. Second, a missional church should make an effort to restore a society by expanding healthy social inclusivity, both online and offline. Third, since the church can restore its essence when it lives not only for the church but also for the local community, the church must make efforts for the benefit and public good in various ways. Finally, sinc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our identity, the church should approach moral or ethical issues more aggressively.

      • KCI등재

        3·1 운동 정신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선교적 교회 역할

        봉원영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In commemoration of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March 1 movement in 2019, the research looked at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the March 1 movement on Korean history and highlighted what the church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hould play. The meaning of the March 1 movements to modern society has been identified as follows. First, the Church needs a clea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ociety. Second, there is a need for attention to the next generation, the existing future. Third, practical education is needed for young people. Fourth, what is as important as a dreams is the value in it. Focusing on these facts, the study suggested what modern church roles should be lik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the church should attempt a missional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sense of belonging. Second,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called the Z generation, is paramount. Third, the church of the new era should be the leader of the civil society movement. Fourth, efforts are needed to realize the identity of the church. So the Church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hould be a more missional community that reveals the kingdom of God i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2019년 올해로 3·1 운동이 발발한지 백주년을 맞이하면서 3·1 운동이 한국역사에 미쳤던 의의와 영향들을 살펴보고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가 감당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조명했다. 또한 이러한 3·1 운동이 현대 사회에 주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확인했다. 첫째, 교회는 사회에 대한 분명한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둘째, 현존하는 미래인 다음 세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그들을 위한 실제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이상만큼 중요한 것은 그 속에 들어있는 가치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중심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현대의 교회 역할은 어떠해야 하겠는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교회는 소속감을 강조하는 선교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둘째, Z세대로 불리는 다음 세대를 향한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새로운 시대의 교회는 시민사회운동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 넷째, 교회의 온전한 교회됨의 구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회는 일상의 삶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드러내는 보다 더 선교적인 공동체이어야 한다.

      • KCI등재

        기독교 대학에서의 하이브리드 교육을 통한 기독교교육 가능성 탐색

        봉원영(Won Young Bo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디지털 정보통신의 발달은 여러 미디어 관련 분야들이 융복합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사회의 각 분야에 급속한 변화를 이끌어 온라인 교육의 혁명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것이 교육환경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교육으로 바뀌게 했다.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기본적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든 수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것은 반복학습 혹은 반복교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유형(learningstyle)과 학습 성향(learning orientation)에 맞는 수업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맞춤형 학습(customized learning)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장점 속에서도 여전히 면대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바,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상호 보완한 하이브리드 교육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도 온라인 교육은 계속해서 더욱 발전할 것이므로 기독교 대학은 향후 온라인 교육방식의 미래를 예측하면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연구를 통해서 다양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landscape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is changing. Students once spent most of their time in a traditional classroom with a professor, but now they take online and hybrid courses (face to face and online). Some students complete their entire degree in a fully online program. Nearly every type of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offers online courses. Online learning has clearly moved from a fad to a fixture, and nowhere is that more apparent than at one of the largest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s the demand for online course and programs increas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face new challenges. Even though som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till believe online education is inferior to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ndard measures of learning outcomes between students in the traditional classes and students in the hybrid-online format classes. In this situation, since online education will develop continuously,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utilize it variously through complete understanding and research about it predicting the future of online education style.

      • KCI등재

        루터의 종교개혁에서 나타난 사회참여적 특징과 현대 기독교적 적용

        봉원영(Won Young B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지금으로부터 500년 전에 발생했던 루터의 종교개혁은 교회 안의 부패와 모순, 성경신학적 문제들을 세상에 드러내면서 성경과 초대교회의 가르침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했던 “교회 안”만의 개혁이 아니었다. 그로 인해 시작된 종교개혁은 사회 전반적인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쳤고 중세에서 근세로 넘어가는 결정적인 디딤돌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6세기에 발생했던 루터의 종교개혁 과정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던 사회복지개혁적 특징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현대 기독교적 입장, 특별히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이신칭의와 만인사제설 교리가 루터종교개혁의 사상적 토대였음을 확인하였고 신양약자와 여성들과 같이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지면서 현실을 무시하지 않았던 종교개혁이 루터의 종교개혁적 특징임을 살펴보았다. 루터의 사회복지 정책으로는 크게 세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가난한 자들을 위한 구호활동, 교육사업, 그리고 경제정책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늘날 현대 기독교가 루터의 사회복지개혁적 특징들을 계승하여 발전시킬 사항으로 현실을 무시하지 않는 사회적 복지실천, 교회의 올바른 실천적인 사회책임 이해, 지역공동체를 위한 실제적 복지실천을 제안하였다.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at erupted 500 years ago has influenced all aspects of society and have become a crucial stepping stone to modern times from the Middle 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re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how they apply to the Modern Christianity, especially from the view of the missional church. Therefore, in the main body, the two doctrines of Justification by Faith only and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were based on the Luther’s Reformation were examined. A researcher confirmed that his Reforma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ed about second-class citizens and disadvantaged such as the weak faith, women, and the social situations were considered all the time in his Reformation. There were three characteristics of Luther’s social welfare reforms: relief activities, education businesses, and economic policies. In addition, a researcher discussed some suggestions that the missional church can apply to its ministry for creating a healthier community.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 예배

        봉원영(Bong, Won Young)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1 No.-

        본 연구는 온라인 예배에 대한 다양한 비판을 수용하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교회론적인 입장에서 이해와 적용이 가능하겠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미래적 환경에서는 온라인 예배가 선택이 아닌 필연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음을 살펴보면서 예배에 대한 신학적 교회론의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동시에, 효율적 목회를 위해 디지털 방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온라인 예배는 양방향 소통을 위한 목회적 수단으로서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온라인 예배는 교회 구성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예배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실행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넷째, 디지털 방식을 접목한 목회적 운영에 대한 계속적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While accepting various criticisms concerning online worship,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it can be understood and applied from a church-based standpoint. Looking at online worship as an inevitable element, not an option, in the future environment, the researcher raised the need for a change in the theology of worship.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proposed how to utilize the digital method for efficient pastoral ministry as follows. Firstly, online worship should be used as a pastoral means for two-way communication. Secondly, online worship should be a means of encourag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church members. Thirdly, online worship is more effective when implemented in a hybrid manner. Fourthly, continuous education on pastoral ministries that incorporate digital methods is essential.

      • KCI등재

        하이브리드 교수 모델을 이용한 수업 효과 분석

        봉원영(Won Young Bong),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수업 구성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성교양과목 중의 하나인 ‘21세기 리더십’ 과목을 선정하고, 이를 동일한 과목으로 2개 반을 개설하여 격주형 모형과 혼합형 모형으로 수행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과목을 수강했던 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십 지식은 격주형과 혼합형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총괄평가인 기말고사 성적은 혼합형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적인 자기수용의 경우,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셋째, 리더십 생활기술의 증진은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십 과목의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학습효과도 함께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혼합형 하이브리드 모형을 채택하되, 학생들이 참여와 실습을 통해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온라인 강의보다는 오프라인 강의에 비중을 더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임을 결론짓고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en two classes with the name of 21st Leadership, run with two different hybrid teaching styles which are hybrid LZ type and hybrid lz type,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their effectiveness of hybrid model of the sub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students who took these classe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evelopment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leadership in both LZ and lz model. but the result of final exam in the group lz was shown only significant development. Second, in the cas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re was significant development only in the group lz. Third,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skills was shown only in the group lz.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concluded that the lz is more suitable for the subject of 21<SUP>st</SUP> Leadership because this model can provide much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than LZ model.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