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추출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업의 고용연관효과

        변장섭(Jang-Seop Byeon),나주몽(Ju-Mong Na),신우진(Woo-Jin Shi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4

        최근 고용 없는 성장 속에서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고 동시에 고용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사회서비스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산업연관표를 토대로 한 가상추출법을 이용하여 사회서비스업이 타 산업으로 파급되는 고용연관효과와 산업구조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가상추출법에 의해 측정된 전체 산업의 고용연관효과는 38,575,267명이다. 둘째, 고용계수가 높고 사회서비스업과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높은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고용연관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업에서는 도소매서비스,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 금융 및 보험 서비스 등의 고용연관효과가 높고, 제조업에서는 광산품, 화학제품, 목재 및 종이 인쇄 제조업 등의 고용연관효과가 높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산업들은 사회서비스업의 최종수요 변화에 따른 산출량 생산에 필요한 노동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의 복지수요에 대응하고 고용 없는 성장 시대에 고용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사회서비스업과 그에 따른 산업간 연관관계가 높은 산업을 연계하여 육성하는 지역산업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We must develop the social service industry in order to create employment through the social economy in the recently period of jobless growth, because of organizations of social economy are active primarily in the social service industry to pursue a social objective on a priority basis. So we examines the employment linkage effects focused on social service industry as a major active part to vitalize social economy using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HEM). There are three result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otal employment linkage effect of whole industries estimated by HEM is 38,575,267 persons. Second, total employment linkage effect in social service industry is estimated as second highest value next to ‘Wholesale and retail trade’. Finally, when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are compared, average employment linkage inducement effec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lower than that in service industry.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intensively foster the social service industry as creating employment as a part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because social service industry shows higher employment effects affecting the other industries in the era of growth without enough employ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ndustrial linkage policies with service industries with the linkage relationship among industries to foster social service industry in the aspect of industrial ecosystem.

      • KCI등재

        연구논문 : 태양광발전시설의 투자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변장섭 ( Jang Seop Byeon ),정봉현 ( Bong Hyun Je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발전시설의 투자에 따른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전국의 16개 시도별 생산파급효과와 취업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파급효과와 취업파급효과의 절대적 수치는 투자액이 가장 많은 전남과 경북, 충남, 전북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원단위를 추정한 결과, 전남, 부산, 충남이 생산파급효과와 취업파급효과 모두 전국의 평균치를 상회하여, 가장 이상적인 투자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셋째, 대구는 취업파급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지만, 생산파급효과는 지역내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광주는 생산파급효과와 취업파급효과 모두 낮게 나타났다. 에너지원별 발전시설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정책 입안의 경제적 근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conomic effect to investment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t was analyzed product and employment effect in 16 province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eonnam, Gyeongbuk, Chungnam and Jeonbuk are Most Higher absolute levels of product and employment effects effect. Second, the estimated intensity, product and employment effects of Gwangju, Busan and Chungnam were above average in 16 province. These regions are an ideal investment regions can be called. Third, the employment impact of Daegu showed very high, but the intra-regional effect was relatively lower in product effect. In addition, Gwangju was lower both production and employment effect. It was implicated that analyze the regional effect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for energy source to propose economic ground data of regional policy plan.

      • 우리나라 폐기물의 발생요인과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변장섭(Byeon, Jang-Seop),나주몽(Na, Ju-Mong),배정환(Bae, Jeong-Hwa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3 No.3

        일반적으로 폐기물 발생은 지역의 소득에 기인하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또한 폐기물의 발생 경향은 소비패턴의 변화에 기인한다. 소비패턴은 사회경제적, 환경적, 인구통계적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우선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폐기물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수준이지않다. 즉 공간데이터는 변수의 관계에서 공간적 불안정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적 불안정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의 상대적인 의미의 변화, 그리고 폐기물 발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잠재적 요인들을 고려해서 분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Tanaka et al.(2007), Keser et al.(2012) 등은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같은 공간적불안정성을 고려하는 지리가중회귀(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폐기물의 발생요인과 공간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하였고, 통상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s: OLS)와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2010년도를 기준으로 206개 기초자치단체의 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각분류별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생활폐기물과 건설폐기물은 1% 유의수준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였고, 이것은 데이터상에 공간적 편의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폐기물에 대해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발생량의 공간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GWR은 OLS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완화시켰고, 폐기물 발생에 대한 설명변수들의 공간적 패턴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가상추출법을 이용한 조선업의 지역 · 산업간 고용연관효과

        변장섭(Byeon, Jang-Seop)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3

        본 연구는 최근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고용구조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선업이 집중된 전남과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조선업의 지역 ·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추출법을 이용하여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에서 조선업을 추출하였고,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제외 전 · 후의 고용연관효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는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기타 제조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금속제품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들은 취업계수가 높거나, 생산활동 측면에서 조선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산업들이다. 둘째, 지역의 조선업에 의한 전국에 파급되는 산출액 당 고용연관효과는 전남이 가장 높지만, 부산과 울산, 경남에서 전남으로 파급되는 고용연관효과는 매우 낮게 추정되었다. 즉 이 지역들과 전남과는 고용연관관계가 매우 낮고, 이에 따라 조선업의 고용구조에서 전남이 고립되어 있는 상황이 나타났다. 따라서,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지역의 고용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반영한 지역산업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address the crisis of the regional employment structure caused by the recent restructuring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is study estimates the shipbuilding industry’s Employment Linkage Effect(ELE)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Consequently, the study uses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on the shipbuilding industry from the 2013 Regional Input-output Tab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hipbuilding industry’s ELE across industries is estimated at its highest in wholesale and retail, followed by shipment, other manufacturing, project supporting service, machine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metal product manufacturing. These industries either have a high employment to GDP ratio or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erms of production activities. Second, the Southeastern Korea’s ELE on South Jeolla Province is very low, and, accordingly, South Jeolla Province is isolated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erefore, when the government establishes measures to tackle the crisis of employment caused by the shipbuilding industry’s restructuring, it should prioritize identifying such regional employment structures, as demonstrated above,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 regional industry policy.

      • KCI등재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해운물류업의 산업간 연계구조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변장섭 ( Byeon Jang-seop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6 해운물류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2010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사회네트워크분석의 관점에서 해운물류업의 산업간 연계구조를 살펴보았다. 특히 산업연관분석의 가상추출법을 이용하여 해운물류업을 국민경제에서 제외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전체 산업의 연계구조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운물류업은 산업간 연계구조에서 중심적인 역할은 직접적으로 못하고 있고, 특히 수입거래에 의존하고 있어 해외의 수요변화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둘째, 해운물류업에 의한 경제적 연계효과가 높은 산업은 석탄 및 석유제품 제조업, 광업, 운수업, 부동산 및 임대업 등 이며, 이러한 산업들은 산업간 연계구조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의 산업정책상 해운물류업을 육성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산업들과의 연계정책을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industrial linkages of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alysis (SNA) via input-output tables. Specifically, using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HEM) for interindustry analysis,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the interindustrial linkages of entire industries after excluding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from the national economy. The empirical analysis provides the following four results. First,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is estimated to be low, namely, it does not play a central role in the interindustrial linkages of entire industries. Third, this study utilizes the HEM to estimate the interindustrial linkages of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due to a change in the final demand, and finds that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has many links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transportation (for equipment, rent, and fuel), petroleum and coal product manufacturing, mining and quarrying, and real estate and leasing. Lastly, utilizing the HEM,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with regard to interindustrial linkages before and after excluding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and finds that the above-mentioned industries experience the largest decrease in their respective prestige centrality. In other words, these industries may be recognized as having the highest linkages with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In conclusion,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does not play a central role in interindustrial linkages. However, the following industries show high economic linkage effects owing to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as they play a central role in the interindustrial linkages with this industry: petroleum and coal product manufacturing, mining and quarrying, transportation, and real estate and leasing. Therefore, in order to foster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through national industrial policies, governments must preferentially consider the corresponding linkage policies with these industries. This study estimates the interindustrial linkages of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using input-output tables at the level. However, the features of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for different regions will vary with regard to the regional economies.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use regional input-output tables, so as to be able to derive suitable regional-leve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

      • KCI등재

        우리나라 폐기물 발생의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변장섭(Byeon Jang Seop),나주몽(Na Ju Mong),배정환(Bae Jeong Hwan),김화환(Kim Hwa hwa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6 No.3

        The increase of wastes can cause rising costs as well as greenhouse gas emission and poor quality of environment. So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generation and disposal of wastes in term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a spatial data such as waste generation could have a spatial instability characteristic among regions. Thus, we should consider not only a change of spatial relative sense but a variety of potential sources that affect waste generation. In other words, it is also important to figure out the waste generation, itself, and the spatial pattern of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waste generation for more details about determinan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dentifies the spatial pattern of waste emission in Korea. Cross-section data is set up for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spatial pattern of waste generation is analyzed by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in space econometic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Local Moran Index, the municipal and construction wastes in Gangwon Province has bringing out the increase of wastes in the immediate area. This is called HH type. The academic meaning on which this study focuses along with political and thought-provoking conditions is to apply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to research on wastes. This study shows that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using spatial weighted matrix is more appropriate than General Regression Model in empirical analysis using spatial data.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미션 연구

        이새미,변장섭,최지혜,브라운 앨런,Lee, Sae-Mi,Byeon, Jang-Seop,Choi, Ji-Hye,Brown, Alan Dix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미션 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목적을 탐색하여 사회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기업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적경제의 시대적 사명에 대해 재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 자율공시자료를 수집하여 LDA 토픽모델링과 사회네트워크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미션 토픽 7개를 추출하고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사회적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사회적 목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 내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운영 방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미션 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가치 실현뿐만 아니라 사회적경제 관점에서 사회적 목적 수립 및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study explores social enterprises' social goals by analysing their mission so as to better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social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reconsiders the mission of the current era of the Korean social economy. Accordingly, self-disclosed social enterpri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LDA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Seven mission topics were extracted, and the network centering on key keywords was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largely divided the social purposes of social enterprises into three categories: 'social purpose that social enterprises want to achieve',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and 'operation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social goal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economy as well as realizing the economic value of social enterprises by analyzing their mission.

      • KCI등재

        의료생협 조합원의 참여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덕순(Jang, Duk-Sun),문창용(Moon, Chang-Young),나주몽(Na, Ju-Mong),변장섭(Byeon, Jang-Seop) 한국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연구 Vol.24 No.1

        The medical consumer cooperative(hereinafter, Medical Coop) is a non-profit organization based on Consumer Cooperatives Act, where medical personnel and local residents together resolve problems in medical field. This study is seeking to analyze how much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Medical Coop impact on their satisfactions on the Coop. By doing this, it will find out that medical field problems in local areas can be solved by promoting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op. Followings are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union members would give an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of Medical Coop. Small group activities would be a intermediary role in influencing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union members and user satisfa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sub-factor of participation motivation, compensative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Also, we found out that the small group activities had a mediated impact. Policy implications are derived for small groups and plan participation in activation measures enabled the cooperative aspects of health care coop members in terms of activation.

      • KCI등재

        관광분야와 연계된 문화·공연·예술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구축

        김창범(Chang-Beom Kim),변장섭(Jang-Seop Byeon),나주몽(Ju-Mong Na)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사회적기업은 사회적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영업활동을 수단으로 하는 기업 또는 조직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그동안 큰 양적 성장을 보여 왔다. 하지만, 지금은 사회적기업들이 특화된 비즈니스모델의 발굴을 통한 질적 성장을 추구할 때이다. 본 연구는 AHP를 이용하여 광주광역시의 지역수요에 기반한 관광과 연계된 문화·공연·예술 사회적기업의 특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비즈니스 구성요소들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치창출을 위해 일자리 창출 및 공공서비스 혁신을 핵심목적으로 하고, 관광과 연계된 문화·예술·공연 콘텐츠 관련 체험 프로그램이 핵심역량이 될 수 있다. 또한 일반기업, 지자체, 관광과 문화·공연·예술 관련 업체와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온·오프라인 결합을 통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가치제안에서는 일반소비자, 관련 업체, 연구기관, 내·외국인 관광객, 교육기관으로 고객세그먼트가 이루어져야 하고, 펀딩과 출자금을 통한 자금조달, 파트너쉽을 통한 경영혁신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비스 유료화와 수익배분을 통한 수익모델 구축과 지속적인 가치창출을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Social enterprise is an organization which use business activities as a means to achieve of social purposes. It has grown sharply since 2007 in Korea. However, now it is time had to pursue qualitative growth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business model. This study aims to identify business component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ith experts and to develop a tailored business model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fields of culture, performance, and the arts associated with the tourism based on regional demand within Gwangju. The analysis shows that job creation should be set as the main objectives to create value, and programs that offer hands-on experience with that fields can be the core competency. Cooperation among private corporations, local governments and agencies related to that fields is essential, as are programs provided through on- and off-line platforms. To develop a value proposition, customers must be segmented among a variety of the market participants.

      • KCI등재

        연구논문 : 도시교통수단의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경제적 유인대책 -광주광역시를 사례로-

        정봉현 ( Bong Hyun Jeong ),변장섭 ( Jang Seop Byeon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서 도시교통수단에 의한 대기오염을 저감하는 대책을 강구하는데 있어서 경제적 유인대책에 중점들 두어 연구하였다. 경제적 유인제도는 비용효과적이고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오염원의 구체적인 정보를 모르더라도 최적의 오염배출수준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의 대기오염 저감위한 경제적 유인대책을 직·간접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직접적 경제적 유인대책에서는 첫째 유류세의 인상을 제안하였다. 둘째, 오염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차량운행에 세금을 부담하는 주행세를 들 수 있다. 셋째,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교통수요의 감축방안 중의 하나로 주차수요를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넷째, 도심혼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자가용 승용차 이용자에게 부담시켜 통행행태를 전환시키고자 하는 혼잡통행료를 들 수 있다. 다섯째, 대기오염에 따른 피해비용을 오염자인 경유자동차 소유주에게 부담시키는 환경개선부담금제도가 있다. 광주광역시의 대기오염 저감위한 간접적 경제적 유인대책으로는 첫째, 대중교통지원책을 들 수 있다. 둘째, 경유차 등 저공해 차량에 대한 통행료 감면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술적인 측면에서 저공해 차량을 보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인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선진국수준의 저공해자동차 보급에 따른 보조금 지원제도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대기오염에 따른 사회적인 비용과 그 저감에 따른 편익을 우선적으로 추정해야 할 것이다. 경제적 유인대책의 수준은 각각의 개인과 사회의 효용수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오염과 그에 따른 정책에 대한 사회적 비용과 편익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특히 경제적 유인대책별로 그러한 사회적 비용과 편익을 추정한다면, 대안들의 효율적인 규제 및 보조 수준을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대기오염 저감대책에 대한 사회적인 비용과 편익을 추정하여, 최적의 배출허용 수준과 그에 따른 최적인 규제 수준을 산정하고자 한다. 이를 수행하면, 도시에 가장 효율적인 대기오염 저감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t was studied economic incentive measures to reduce air pollution at Gwangju city. Economic incentive measures have advantage to promote cost-effective technology. In particular, it can be derive the optimal level without having to know the specific information sources. In this study, it was studied divide into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ncentive measures to reducing air pollution of Gwangju city. Direct economic incentive measures are follows: increase of fuel tax, driving tax, parking demand management, congestion fee, environmental improvement charge. Indirect economic incentives measures are follows: public transportation support system, reduce toll for environmental vehicle, popularize environmental vehicle, subsidy support system to level of advanced country. However, it should be estimate preferentially that social cost and benefit of air pollution to establish these measures. Because, economic incentive measures would be decided by individual and social utility level. However, this study do not conside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cost and benefit of environmental pollution. Specially, if it would estimate social cost and benefit by economic incentive measures, effective regulation and protect level of substitution would be estim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