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奎報의 「東明王篇」 찬술과 그 사학사적 위치

        변동명 호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8 No.-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검토하였다. 이규보가 굳이 명종 23년(1193)에 그와 같은 성격의 詠史詩를 찬술하려 든 연유라든지 혹은 「동명왕편」이 한국사학의 흐름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을 더듬었다. 「동명왕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序에 해당하는 散文部와 本篇으로서 五言詩 및 그 夾註로 이루어진 韻文部가 그것이다. 본편은 다시 중국의 신화적 존재를 읊은 導入部와 동명왕에 얽힌 신이한 사적을 상세히 다룬 主題部 및 찬자의 소회를 거듭 밝힌 終結部로 구분된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儒者임에도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을 시로 읊어야만 했던 사정을 구구히 늘어놓았다. 그리고는 본편에서 중국사를 연 신화적 존재들과 함께 해모수라든지 동명왕 등에 얽힌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수많은 일들을 두루 살핀 다음, 다시금 유자로서의 소회를 밝히면서 왕조의 창업에는 신이한 사적이 나타나게 마련임을 재차 확인하는 것과 함께 守成君을 경계하는 내용으로 끝을 맺었다. 儒者라는 자신의 정체성과 神異的인 역사이해 사이의 괴리를 정확히 파악하였으면서도, 더불어 왕조의 창업 시에는 일상을 뛰어넘는 신비스러운 일들이 나타나게 마련이며 그것이 또한 보편적 현상임을 역설하였다. 말하자면 이규보는 「동명왕편」에서 유교적인 역사이해와 신이적인 역사서술이 반드시 서로 어긋나는 일만은 아님을 강변한 셈이었다. 이규보가 그처럼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동명왕편」을 찬술하고자 나선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동명왕편」은 求官을 목적으로 지어진 시였다. 우선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은 당시 일반인 사이에서 회자되던 화젯거리였다. 그처럼 친근한 내용을 시의 소재로 삼음으로써, 타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견해에 쉬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더불어 동명 설화의 신이성은 유교적 합리주의와 상반되며, 더욱이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독자적 전통에서 이해하고 그리하여 고려의 자주성을 과시하는 데 유용하였다. 고려전기의 유교적 문치주의를 비판한다든지 혹은 문신정권의 북방 종족에 대한 타협적이며 소극적인 대외정책의 한계를 드러내는 데 동명신화가 유용하였다.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야말로 유교적 문치주의에 기반한 고려전기의 문신정권을 비판하고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며, 그리하여 무인정권 하에서의 출사에 도움을 얻으려는 求官詩의 의도에 부합하는 소재였다. 말하자면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므로, 이규보는 그것을 소재로 삼아 「동명왕편」을 지어 당대 집권층의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구관에 활용코자 하였던 것이다. 그가 儒者로서의 자신의 정체성과 괴리됨을 정확히 인식하였으면서도, 신이한 동명왕의 사적을 긍정하고 더욱이 그것을 소재로 삼아 고려의 역사와 문화가 독자적 전통을 지녔음을 내외에 과시하는 「동명왕편」을 지은 까닭이었다. 한편 이규보의 그러한 찬술 의도와는 별개로 「동명왕편」은 한국사학의 흐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첫째, 한국사를 대상으로 한 가장 오래 된 현전 詠史詩로서 널리 읽히는 것을 목표로 삼은, 다시 말해 대중화를 염두에 둔 역사서술의 선구에 해당한다. 둘째, 『구삼국사』의 존재를 명확히 하는 것과 함께 그 체재라든지 내용이나 성격 등을... I concentrated on studying A Lay of King Dongmyeong(Dongmyeongwangpyeon) written by Yi Gyubo in this paper. I pondered on why Yi Gyubo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and where the historical poetry was situated in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A Lay of King Dongmyeong can divide into two parts. The preface written in prose and the main part mostly put into verses were those. In the preface Yi Gyubo spoke long-windedly the circumstances that he ought to compose a poem on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despite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Next in the main part he first examined many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bout Haemosu and King Dongmyeong with the mythological beings who opened the Chinese history. Soon after expressing his intimate thoughts as a Confucianist Yi Gyubo confirmed again that it was natural that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ppeared upon the scene of founding a dynasty. Though Yi grasped correctly the contrast between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and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mysticism, he emphasized that a dynasty was never founded without showing fantastic and miraculous occurrences and it was a general phenomenon also. So to speak Yi Gyubo struggled to justify that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was not always contrary to writing history with mysticism and fantasticism while composing A Lay of King Dongmyeong.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a poetry which Yi Gyubo wrote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the talk of the town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Yi, choosing such a wellknown contents for subject matter of the poetry, expected to obtain the result that the poetry induced others easily to be concerned about his own opinions. Moreover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character of the saga of King Dongmyeong ran counter to a rational view of Confucian moralism and further availed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Goryeo dynasty in appreciation of their own tradition and show off the sprit of independence of Goryeo.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available to criticize the civil rule based on the principle of rule by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in the former term of Goryeo dynasty and justify the existence of the military rule, and therefore were subject matter in accordance with Yi’s purpose writing a poetry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Such as stated above was the reason that though he recognized certainly that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was contrary to the following he affirmed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and further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which showed off the original tradition of Goryeo history and culture A Lay of King Dongmyeong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flow of Korean historiography. The first,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the oldest extant historical poetry dealing with Korean history and therefore corresponded to a forerunner of writing history to aim widely-reading in other words mind popularization. Next,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dispensable for clarifying the existence of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considering contents and formation or character of that history book. The third, A Lay of King Dongmyeong is an evidence that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to Goguryeo of Goryeo dynasty continued till the middle of the time of that dynasty and rose again as a trend of thought under the military rule. The fourth, A Lay of King Dongmyeong succeeded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view of history continuing since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handed it down to later age. At the same time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 position hardly to avoid a comment to run counter to the trend of a rational view of history as previously presented and therefore be rather reactionary than advanced.

      • KCI등재후보

        김총의 城隍神 推仰과 麗水·順天

        변동명 호남사학회 2004 역사학연구 Vol.22 No.-

        A powerful local gentry had been worshiped as the god of castle in Suncheon(順天). Kim Chong(金惣) was the man. In the Yeosu peninsular(麗水半島) where himself was born, he was the most prominent figure for the scale of his maritime activities during late Silla. In his early life he was connected with Kyeon Hwon(甄萱) who was born in Muju(武州) and served in the same defensive force. As a ruling class in Yeosu and the relationship with Kyeon Hwon, he was responsible for guarding king Kyeon Hwon and had great influence in Later Paekche. He enjoyed the great confidence of king Kyeon Hwon, founder of Later Paekche, thus he devoting his life to serving the king. Kim Chong was worshiped as the god of castle in Suncheon after he had been dead. First, he became the god of castle in Yeosu county with the support of his descendants in 1350. The local gentry in Yeosu county, involving his descendants, intended to heighten their social position in east region of S. Chŏlla provinse(全羅南道). Thus they worshiped him who had been related to themselves as the god of castle. The raids of Japanese marauders effected to this worshiped. The local gentry in Yeosu worshiped him as a guardian deity, then naturally they accepted the high status in the local society, because Kim Chong was their family member. Later, he was transformed as the god of castle in Suncheon county because Yeosu county was consolidated into Suncheon(1409), hoping to lower discontent of people in Yeosu. Thereafter a religious service for him had been performed by a proxy dispatched by Suncheon county magistrate till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the proxy was not a petty functionary(鄕吏) but a Confucian literate(儒生). This seems to show us the degree of Confucian transformation in Suncheon coun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통시기의 紺岳山 숭배와 山神 薛仁貴

        변동명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감악산은 조선시기 적성현의 진산이었다. 전통시기 한반도의 서북지역과 중부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공제하는 요충이었다. 이 일대는 삼국말엽에서 나당전쟁기에 치열한 쟁탈의 대상이었으며, 통일신라가 임진강 넘어 고구려 고토로 진출하는 길목이었다. 그리하여 감악산 일원의 그와 같은 전략적 중요성에 주목한 신라 중앙에서, 통일전쟁이 끝나고 체제 정비에 나서면서 감악산을 小祀에 등재하였다. 신라의 중앙귀족은 감악산을 주재하는 산신으로 唐將 薛仁貴를 추앙하였다. 한강 이북과 임진강 유역 일원의 주민들 사이에 잠재하던 고구려 유민의식의 분출을 저지하려는 목적에서였다. 당의 장수 설인귀를 내세워 공포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고구려를 향한 회고의 감정을 자제토록 억압하며, 또한 고구려의 멸망이 강대국 당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함으로써 불가항력의 어찌할 수 없는 사태였던 것으로 체념토록 유도하기 위함이었다. 아울러 발해의 등장으로 동요하던 고구려 고토의 주민들을 안정시키기 위함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의 옛 땅을 제 영역으로 굳히며 그 주민을 신라인으로 흡수하고자 하였다. 감악산은 고려시기에 국가적인 제향의 대상이었다. 신라말 고려초에 적성지역의 호족들은 설인귀를 그 고장 출신으로 선전하며, 자신들 역시 감악산신 설인귀를 계승한 지역사회의 수호자임을 과시하려 들었다. 그리고는 마침내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전공을 앞세워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를 인정받음과 동시에 지역사회를 이끄는 지도자로서 자신들의 존재를 널리 각인시키기에 이르렀다.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던 고려에서, 고구려 멸망 및 그 유민의 탄압에 앞장서던 당의 장수 설인귀가 감악산신으로 인정받기에 이른 경위는 그러하였다. 이후 고려왕조 내내 감악산신 설인귀는 지역사회와 국가의 수호신으로 숭앙되었다. 또한 왕실을 비롯하여 公卿士庶에 이르기까지 消災招福을 빌며 감악산신 설인귀에게 제향을 올리는 게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를 잡았다. 감악산신당에 모셔진 설인귀 부부를 포함한 그 가족 6인의 神像은, 이를테면 그처럼 확고히 뿌리내린 고려시기 감악산 숭배의 상징물이라 하여 지나치지 않은 셈이었다. 조선 유교사회의 전개와 함께 감악산 숭배에도 변화가 찾아왔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사우인 紺岳祠가 세워지고, 그곳에 위패를 봉안하여 매년 3차례씩 정기적으로 유교식 예제에 따른 제의가 행해지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설인귀를 神體로 하는 민간의 감악산신당이 유지되는 가운데 소재초복을 비는 제향도 끊이지를 않는 게 현실이었다. 유교식 제향을 위한 감악사와 전래의 설인귀사당이 공존함으로써, 공적인 유교식 예제와 민간에서의 전통적인 산악숭배 관습이 적절히 타협한 모양새였다. 그렇지만 조선후기로 내려갈수록 유교식 예제가 정착되어가는 반면에 전래의 감악산 숭배가 약화되어가는 건 어찌할 수 없는 추세였다. 자연히 감악산신 설인귀의 존재도 점점 희미해져갔으며,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기억에서 사라져갔다. In ancient times, Mt. Kamaksan was a strategic point between the northwestern and centra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the very reason that the Silla Kingdom considered Mt. Kamaksan so important and registered it as an official mountain on which official rituals were conducted. It was considered to be godly. Aristocrats who lived in the capital of Silla deified Sŏl In-gui(Xue Ren-Gui in Chinese), a general of Tang China, and revered him as a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e intension was to prevent people residing in the area between the Hangang River to Imjingang River from asserting their sense of identity as people of the fallen Koguryŏ Kingdom. The aristocracy of Silla intended to inspire fear among the people of this area by raising the specter of General Sŏl In-gui, who brought the Koguryŏ Kingdom to an end. By doing so, Silla tried to induce people of Koguryŏ to suppress their nostalgia for Koguryŏ and resign themselves to the their fate as subjects of Silla. The royal court of the Koryŏ Kingdom continued to perform rituals to Mt. Kamaksan. Powerful local gentry of the Kamaksan area, for example Chŏksŏng county, claimed that Sŏl In-gui was from the area. They represented themselves as guardians of the community in the spirit of Sŏ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Citing their military distinction in vanquishing foreign enemies, the local gentry demanded that the Koryŏ Royal Court recognize Sŏ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his would greatly bolster their authority in the area. Throughout the Koryŏ period,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Sŏl In-gui, was worshipped as a guardian god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ation. It also became custom to pray to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to ward off disasters and bring good fortune. Chosŏn was a Confucian state. A shrine called Gamaksa was built on the top of Mt. Kamaksan to perform official Confucian rituals three times a year, but the local residents continued to maintain the shrine dedicated to Sŏl In-gui. With both Kamaksa Shrine and Sŏl In-gui Shrine in the area, the official Confucian rituals and the time-honored practices of the local people of worshipping the mountain became reconciled to some degree. However, later in the Chosŏn period, Confucian rituals took root more strongly, and the traditional worship of Mt. Kamaksan naturally began to fade away. Belief in Sŏl In-gui, the Mountain God, declined little by little until it ultimately disappeared from the memory of people entirely.

      • KCI등재후보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변동명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The Avalokitesvara-faith was a religion which was people-friendly, popularized among people, and believed to save people in this world. The belief in bless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included the miracle on the sea such as sea rescue. However the concept of the protection from sea disasters was not found in the early Avalokitesvara-faith when the faith was firstly accep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faith had only something to do with the sea as yet. Because the Avalokitesvara-faith at the early stage was not fully taken root in those common people. It was during the middle Unified Silla that the concept of the sea began to be appeared in the Avalokitesvara-faith. During this period, the Avalokitesvara-faith was spreaded to local areas by Uisang(義湘) based on the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of the Unified Silla. As the faith started to take roots among the locals, it was associated with the sea. However, the association with the sea was not concrete enough to find the concept of sea rescue until the late Unified Silla. As the maritime trade began to flourish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the concept of the worship of sea deities became to be emphasized in the Avalokitesvara-faith,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is faith and sea became strong. The connection might not be strong enough to meet our expectation but at least it was safe to say that the Avalokitesvara-faith had tendency to be more characteristic of the worship of sea deities. 신라의 관음신앙을 바다와의 관계 속에서 살폈다. 관음신앙은 친서민적이며 대중화된 현세구제의 신앙이었다. 관음신앙의 현세이익적인 요소 중에는 海難救濟와 같은 바다에서의 應驗도 포함되었다. 그렇지만 관음신앙이 받아들여진 처음에는 그와 다소 달랐다. 삼국시기의 관음신앙에서 해양적 요소를 찾아내기는 쉽지 않았다. 단지 그와 무관치 않았을 것임을 추정하는 데 머물렀다. 관음신앙이 아직 제대로 토착화하지 못하여 널리 지방과 민중들 사이에까지 유포되지 않은 데 기인한 현상이었다. 관음신앙에 해양적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통일신라에 들어서였다. 이 무렵 관음신앙은 중대 왕실의 우대를 바탕으로 義湘 등에 의해 중앙에서 지방으로 널리 전파되었다. 그와 함께 민중들 사이에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하였으며, 바다와도 점차 연관을 맺어갔다. 그러나 해난구제와 같은 바다와 관련된 직접적인 영험을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은 여전하였다. 신라 중대의 관음신앙을 해난구제와 같은 바다에서의 현세적인 영험을 기원하는 해양신앙과 직결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단지 이 신앙이 바다와 연고를 맺어간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신라 하대에는 해상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관음신앙에서 해양적인 요소가 부각되어갔다. 해난구제 영험을 연상케 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예상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관음신앙과 바다 사이의 친연성이 한층 깊어갔다. 하대로 내려갈수록 신라의 관음신앙에서 해양신앙적인 성격이 짙어지는 경향성을 찾아볼 수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海龍山城과 順天

        변동명 전남사학회 2002 역사학연구 Vol.19 No.-

        This paper examined Haeryong mountain fortress wall(Haeryongsansung, 海龍山域) of Suncheon related to Korean history, especially that of Sunchon. The Haeryongsansung is considered as constructed for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era. To appear at the record was the period from the end of Silla to the beginning of Koryo, and it was also the period of prosperity as being to add grand enlargement of the building by Pak Yung-gyu. Pak Yung-gyu, local gentry(Hojok, 豪族) in Suncheon, who later he had great success in Later Paekche and Koryo. However, the region became lifeless after Pak Yung-gyu losing his position in the center of politics and the center strengthening the control of the providence. After all, it was settled as the marine transportation district(Chochang, 漕倉) in periphery called as Haeryongchang(海龍倉), which lost the autonomy. The region get into depressed term with the setup maintenance of Koryo dynasty, Moreover, the marine transportation was ended due to the rage of Japanese invaders from the end of Koryo to the beginning of Chosun. Finally it lost the meaning of existence after the facility as the muzzle accumulated with soil and sand. Without taking care, it became ruins and hard to figure out the trails these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