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기하중에 대한 FRP-콘크리트 계면의 내구성 평가

        이샤크아부베이커소디크 ( Ishaq Abubaka Sodiq ),민근형 ( Min¸ Geun-hyeong ),김우석 ( Kim¸ Woo-seok ),이재하 ( Lee¸ Jae-ha ),정유석 ( Jeong¸ Yo-seo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FRP 쉬트를 사용한 외부부착공법은 콘크리트 보의 휨과 전단에 대한 보강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FRP 쉬트로 외부 부착하였을 경우, 다음 그림과 같이 콘크리트-에폭시 계면(Concrete-epoxy interface)이 형성되고 이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을 통해 증가된 외부하중이 FRP 쉬트로 전달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에폭시 계면의 내구성은 지속하중이 재하 되고 있는 동안 구조물 사용성 및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연구에서는 20년간의 장기하중에 대한 FRP로 보강된 무근콘크리트 보의 내구성 평가를 잔존강도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 다산 철학에서 체 · 용의 변천 : 유학도 서학도 아닌 것

        도널드 베이커(Donald Baker)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3

        전통적 유학에서 체(體)는 아직 이루어 지지 않은 가능성을 뜻하고 용(用)은 가능성이 이루어진 상태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토미스트의 세계관에서 체는 독립적인 실체(substance)를 뜻하고 용은 그것의 속성(attribute)이나 그것의 부차적인 기능(fuction)을 가리킨다. 이는 중국의 전통적인 세계관이 동사(verb)중심이며, 역동적인데 반해 서양의 세계관은 병사(noun) 중심적이며 정적인 것에 기인한다. 동서양의 사상이 충돌하면서 이러한 두 종류의 세계관은 쌍방의 오해를 낳았다. 신후담과 같은 유학자는 서양의 영혼 개념이 지각이나 생명 없이도 독자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 개념임을 이해하지 못하여 영혼불멸설을 부정하였다. 반면, 리치와 같은 서학자들은 동양의 리나 음양과 같은 것이 세상의 역동적이고 상호 요청적인 관계의 조화를 담당하는 위대한 작용이 됨을 이해하지 못하고 어떤 사물에 부수적인 속성으로 이해하여, 리가 창조하는 세계를 부인하였다. 다산은 리와 기에 대해서는 서양의 실체-속성 개념을 적용하였으나, 체용론은 전통적 유학의 것을 따르는 면모를 보인다. 그러나 음양오행에 대한 설명이나 만물일체설에 대한 비판에서는 유학의 체용론보다는 서학의 실체론에 입각하여 전통적 유학과 결별하였다. 다산의 철학은 한 발은 서학의 세계관에, 다른 한 발은 전통적 유학에 걸치고 있다. 이것은 한국의 근대화를 향한 첫 발자국이자, 동서(東西)를 이어주는 창조적인 다리로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많은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다. In Neo-Confucianism, the term "ch'e" is used to refer to the as-yet-undifferentiated, and the term "yong" is to refer to the myriad differentiated processes and events human beings encounter in the world. In other words, when in used in reference either metaphysically or to material objects, ch'e is potential and yong is the actualization of that potential. Normally, in English "substance" refers to some solid object capable of independent existence, some concrete individual, or to the underlying material foundation of what some thing actually is. In philosophical discourse, it was traditionally used with those meanings as well as to refer that part of something which remains the same though it may change in physical appearance. In traditional Western philosophy, substance is usually paired with attribute, contrasting what is essential with what is incidental. The difference between ch'e and yong, on the one hand, and substance and attribute, on the other, is more than just a difference in language usage or a sign of a difference in terminological preference. That difference reflects an underlying disparity in fundamental philosophical perspective. We see this incompatibility of these two different world views in the Korean Neo-Confucian reaction to the Catholic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the immortal soul. The gap between the Catholic and the Neo-Confucian concepts of substance is also noticeable in Ricci's denunciation of the Neo-Confucian teaching that all things form one substance. In Tasan's writings, there are instance of Tasan using ch'e to mean potential or capacities, as well as other instances, of course, in which Tasan uses ch'e in a sense that can be best translated as "essence" or even "body" rather than "function." Tasan avoids using the term ch'e when he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key Neo-Confucian metaphysical concept of Ii, even though he shows obvious influence of the Catholic pairing of substance with attribute. Tasan also shows Catholic influence in his move away from the Neo-Confucian focus on events and processes toward a focus on actual concrete objects. Tasan was creative enough to incorporate those Western ideas he found useful into a philosophy that was still, at its core, Confucian. He kept one foot solidly in the Confucian world even as he stretched his other foot toward the West. In doing that, he constructed a bridge between East and West.

      • KCI등재

        The Korean Dilemma: Assuming Perfectibility but Recognizing Moral Frailty

        베이커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Acta Koreana Vol.22 No.2

        For centuries a question at the core of Korea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inking has been how to reconcile the recognition of moral frailty with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have the ability to become morally perfect. One Buddhist solution has been to call for the gradual replacement of preenlightenment habits with moral habits after becoming enlightened to one’s own Buddha nature. Confucians have instead focused on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nate moral tendencies and equally innate selfish emotions. Christians offered another solution to this conundrum: dropping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on their own can achieve moral perfection and instead focusing on relying to God’s help to overcome moral frailty. Indigenous new religions have proposed yet another solution: waiting for the unfavorable conditions that prevail in the world today to change so that it will be easier to act the way we know we should act. None of these proposed solutions satisfy everyone. As a result, Koreans continue their search for a way to explain, and overcome, moral failure while maintaining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do so.

      • KCI등재
      • KCI등재

        실천 윤리학과 실학: 도덕수양에 대한 다산의 접근

        베이커 한국실학학회 2009 한국실학연구 Vol.0 No.18

        70년이 넘게 실학(實學)이라는 명칭은 조선 후기에 살았던 흥미로운 많은 저술가들에게 적용돼 왔다. 그러나 어떤 사상가들을 ‘실학 사상가’라고 불러야 한다는 것에 대해선 광범위한 합의가 존재하긴 하지만, ‘실학’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선 여전히 합의가 없는 상태다. ‘실학’이라는 말의 의미가 명료성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인이 아닌 사람들은 어떤 사상가는 ‘실학 사상가’라고 표식을 붙이며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와는 별개로 나는 실학개념에 좀 더 정확한 정의를 내리고 싶다. 그 방향으로 향하는 첫 번째 걸음으로 나는 모든 사람들이 가장 위대한 실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라고 인정하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보통 다산을 ‘실학’자로 상찬(賞讚)하는 사람들은 그의 정부행정, 토지개혁 그리고 다른 경세문제를 다룬 글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한 글들이 실질적인 문제를 언급하고 다산이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유교경전에 대한 다산의 주석 또한 그의 ‘실학정신’의 증거로서 자주 인용된다. 그 주석이 다산 당시 지배적이었던 성리학의 몇 가지 기본 전제에 도전하는 독창적인 사상가의 면모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산이 개인의 행동에 대해 쓴 글을 주목한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그의 도덕성과 자기 수양에 대한 글은 획기적인 실용성과 인간의 도덕 심리학, 인간의 도덕적 의무에 기초하며 이를 계발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다산은 인간 본성에 내재하는 선(善)에 대한 성리학의 수사(修辭)를 넘어 선하게 살려는 인간의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다산은 자신이 설명한 그러한 인간의 나약함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술을 제안하였는데, 그것은 우리의 행동을 언제 어디서나 늘 보고 있는 상제(上帝)를 의식하도록 고무시켜 준 것이었다. 더욱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그의 처방은 일상생활 속의 개인행동에 나타나는 도덕 심리학에 근거를 두고 있다. 다산의 구체적인 도덕 처방과 그의 실용신학(實用神學)만으로도, 이백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배울 점이 있는 중요한 사상가로서 그를 실학의 일급 사상가로 지칭하는데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Yu Hyeongwon, James Palais, and the Definition of Silhak

        베이커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3

        James Palais (1934-2006) did more than anyone else has done in Englishlanguage academia to publicize the political philosophy and reform proposals of Yu Hyeongwon (1622-1673). Palais’ massive study,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 : Yu Hyŏngwŏn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remain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works on Korea’s Joseon era written in English. This work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its challenge to the widelyaccepted view that Yu was part of a silhak (“practical learning”) school which arose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ŏn period. Even though he recognized that Yu was the first scholar in Joseon to produc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oblems Joseon faced in the 17th century, Palais denied that Yu’s reform proposals display the modernizing elements he is often credited with. Instead, Palais argued that, for example, Yu’s proposal for more equitable land redistribution was more a reflection of traditional Confucian assumptions than it was a manifestation of a budding modernity. We see in Palais’s discussion of Yu Hyeongwon’s reform proposals a distinction between identifying problems, which Palais agrees Yu did, and correctly identifying the causes of those problems and well as coming up with effective ways to solve them, none of which Palais believed Yu did.

      • KCI등재

        Creating the Sacred and the Secular in Colonial Korea

        베이커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21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12 No.2

        The thirty-five-year-long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1910–1945) stimulated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concept of religion, which in turn stimulated changes in the Korean understanding of the secular and the sacred. Traditional Korea lacked an explicit definition of religion. Under Japanese rule, Koreans absorbed the modern Japanese bureaucratic definition of religion, which also included a definition of what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came to call ‘‘quasi-religion.’’ Moreover, when the Japanese brought State Shinto onto the peninsula and declared that it was sacred and secular, and not religious, they stimulated the Korean people into thinking of the sacred and the secular as distinct categories that to some degree overlapped with, but did not map perfectly on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ligious and the non-religious. By demanding that Shinto be treated as constituting a sacred secular realm, sacred to the extent that Shinto deities had to be treated by everyone as supernatural entities who deserved ritual homage and their shrines deemed inviolable, the colonial authorities created an implicit understanding of the secular sacred as superior to the religious realm, which had a more limited claim to the sacred label. Moreover, the Japanese-imposed category of ‘‘quasi-religion’’ caused Koreans to distinguish between that which was secular and unacceptable, such as shamanism, and that which claimed to be sacred and religious but was also unacceptable. By 1945, the categories in which Koreans placed various features of their religious culture were very different from what they had been in 1910.

      • KCI등재

        평화 구축, 영성(靈性) 그리고 한국의 촛불 혁명: 세계의 빛

        베이커(Don Baker),류정도(번역자)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한민족은 수세기에 걸쳐서 불의에 항거하더라도, 평화롭게 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보여 왔다. 우리는 오랜 조선(朝鮮) 조와 일제 식민 지배 동안의 저항에서도 그러한 것을 보아 왔다. 또한 우리는 민주주의와 더욱 최근 수년간에는 자신들의 관심에 귀를 기울이는 정부를 쟁취하기 위하여 평화적 시위를 하는 한국 국민들을 근대에 목격해 왔다. 이러한 평화로운 전통적 항거의 정점은 2017년에 박근혜 정부의 평화로운 전복으로 이끌어진 촛불 시위였다. 세계는 매주 한국의 대통령이 물러날 것을 평화롭게 요구하며 서울 거리를 가득 매운 수만의 사람들을 경이롭게 지켜보았다. 그 목적은 마침내 성취되었으며, 세계는 정치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그들의 공통된 인간성에 대한 존경을 요구하는 한국인 영성(靈性)을 볼 수 있었다. 한국 국민들이 그러한 영성을 보여줌으로써 수십 년 간 지속된 남북한의 긴장된 교착 상태가 곧 평화적 결말을 맞이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하고 있다. The Korean people, over the centuries, have shown that they will protest injustice, but they prefer to do so peacefully. We have seen that in protests during the long Joseon dynasty and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We have also witnessed Koreans relying on peaceful protests in their modern fight for democracy and, in more recent years, for a government that listens to their concerns. The culmination of this tradition of peaceful protests was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that led, in 2017, to the peaceful overthrow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The world watched in awe as tens of thousands filled the streets of Seoul week after week to peacefully demand that their president step down. What that goal was finally achieved, the world could see the strength of Korean spirituality that calls for human beings to respect their common humanity despite their political differences. That display of the power of Korean spirituality offers hope that the tense standoff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at has lasted for decades may soon come to a peaceful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