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대한 칼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백충현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장신논단 Vol.0 No.37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는 현대 삼위일체 신학을 뜨겁게 달구는 중요한 주제들 중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내재적-경륜적 삼위일체 관계에 관한 칼 바르트의 입장 즉 상호상응(mutual correspondence)의 입장을 밝히려고 시도한다. 먼저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라는 용어들을 바르트가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그의 입장을 상세하게 파악한다. 다음으로는 바르트의 입장을 분석하되 존재론, 인식론, 그리고 신비의 개념의 관점으로 그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은 경륜적 삼위일체가 내재적 삼위일체로 나아가는 인식론적 통로라는 점과 내재적 삼위일체가 경륜적 삼위일체의 존재론적 원형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바르트가 이러한 상호상응의 관계를 확립한 것은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 양자 사이의 내용적 동일성 또는 내용적 일치성을 확보하기 위한 의도이며 아울러 형식 면에서의 차이성을 확보하려는 의도이다. 그러나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관계의 입장은 이 입장의 존재론적 측면과 그의 신학방법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에 의하여 그리고 이 입장의 인식론적 측면과 그의 신학방법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에 의하여 얽혀 있다. 이러한 긴장은 근원적으로 그의 신학방법 즉 계시의 실재에서 출발하고 이것을 분석하여 삼위일체의 여러 개념으로 나아가는 신학방법 때문에 나타난다. 그의 신학방법은 이러한 긴장을 양산해내지만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긴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르트는 신적 신비의 개념을 도입하고 의존한다.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관한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존재론과 인식론이 내재적-경륜적 삼위일체 관계에 관한 바르트의 논의 속에 복잡하게 얽혀져 있다는 점과 둘째, 바르트의 입장이 내포하고 있는 존재론적 우선성 또는 존재론적 독립성으로 인하여 초래된 인식론적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바르트가 신적 신비의 개념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은 현대 삼위일체 신학의 여러 논의들 중에서 바르트의 입장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정위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레슬리 뉴비긴의 삼위일체론에 관한 연구

        백충현 한국조직신학회 202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6 No.-

        From the mid-lat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contempoary trinitarian theology is in its heyday. In connection with this, the concept of ‘missio Dei,’ that is, ‘the mission of God’ was officially expressed together with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t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MC) held in Willingen, Germany in 1952. Since then it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And under its influence, ‘missional church’ has been also actively discussed both at home and abroad. One of the theologians who played a key role in this theological stream was James Edward Lesslie Newbigin (1909- 1998). Newbigin studied theology at Westminster College, University of Cambridge, and was ordain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of Scotland. Both in India and in U.K., he grappled with the many issues that the church faced. He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centering on mission and ministry, and expressed his theological position. Newbigin has been introduced and discussed a lot in Korea, and until recently, many of his books have been translated and studies on his theology continue to come out. In the meantim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s theological development, missionary ecclesiology, interreligious dialogue, public theology, public mission, and so on. However, research on his trinitarianism is very rar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oundation and core of his theology.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focus on Newbigin’s trinitarianism. First, it looks at previous studies on his trinitarian theology. Then, it investigates his trinitarianism in terms of ‘a missional, ecclesial, and evangelical trinitarianism’ and ‘a relational trinitarianism as the primal reality.’ In so doing, it examines some aspects of his relational trinitarianism in detail, and also examines the position of his trinitarianism within the stream of ‘missio Dei.’ This work will not only help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missio Dei’ and ‘missional church,’ but also provide valuable help in introducing and applying his theology to Korea. 20세기중후반이후로오늘날까지현대삼위일체신학이전성기를보내고 있다. 이와 연관하여 1952년 독일 빌링겐에서 개최된 국제선교협의회(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MC)에서 ‘미시오 데이’(missio Dei), 즉‘하나님의선교’(the mission of God) 개념이공식적으로표명되면서 삼위일체론이 언급된 이후로 꾸준히 논의되어 오고 있다. 그리고이개념의영향을받아‘선교적교회론’(missional church)이오늘날국내외적으로활발하게논의되어오고있다. 이와 같은 신학적 흐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신학자들 중의 하나가레슬리뉴비긴(James Edward Lesslie Newbigin, 1909-1998)이다. 뉴비긴은 케임브리지대학교 웨스트민스터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스코틀랜드장로교회에서안수를받았으며, 이후35년간인도에서선교사역을 하였고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와 세계선교회협의회(IMC)에서많은활동을하였다. 은퇴이후영국으로귀국해서는 교회가 직면한 많은 시대적 문제들과 씨름하면서 활동하였다. 뉴비긴은이렇게선교와목회위주로다양한활동들을활발하게하면서자신의신학적인입장을여러저작들을통해드러내었다. 이러한뉴비긴은한국에서도많이소개되고논의되고있는데, 최근까지그의 저서들이 많이 번역되었고 또한 그의 신학에 관한 연구들이 계속 나오고있다. 그동안뉴비긴의신학발전, 선교적교회론, 종교간대화, 공적신학, 공공선교등등에관해연구들이진행되었다. 그런데뉴비긴의신학의토대와핵심이라고여겨지는그의삼위일체론에관한연구는아주빈약하다. 그러기에본논문은뉴비긴의삼위일체론을집중적으로연구하고자한다. 먼저, 뉴비긴의삼위일체적신학에관한선행연구들을살펴본다. 그런다음에뉴비긴의삼위일체론을“선교적, 교회적, 복음적삼위일체론” 과“원초적실재로서의관계적삼위일체론”으로정리한다. 그러면서뉴비긴의관계적삼위일체의모습들을구체적으로살펴보고또한뉴비긴의삼위일체론이‘미시오데이’에관한논의의흐름에서어떤위치였는지를살펴본다. 이러한작업은‘미시오데이’와‘선교적교회론’에관한정확한파악에도움을줄뿐만아니라, 뉴비긴의신학을한국신학과교회에소개및적용하는데에귀중한도움을제공할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철학의 형성에서 기독교적 유산에 대한 연구 ―후기 롤즈의 『만민법』과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의 비교

        백충현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John Rawls’s early religious beliefs guided the development of his later political philosophy. By first analyzing A Brief Inquiry into the Meaning of Sin & Faith, I argue that the young Rawls’s embrace of Neo-orthodoxy shaped his later philosophical view of human dignity and that the central themes of his undergraduate thesis reappear in secular forms in his philosophical development, despite his abandonment of Neo-orthodox beliefs soon after World War II. I will trace out the changes of Rawls’s view on his own religion through a comparison of his main works: from the young Rawls’s Neo-orthodox beliefs to the later Rawls’s rationalistic deism. In the mature Rawls’s political philosophy, I will show that the secular Rawls still holds the Good Samaritan’s ideals such as fraternity, mutual respect, love, and justice as the motivat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and the duty of assistance. My conclusion is that even though Rawls gave up the basic beliefs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he never abandoned the religious motivations that he held in his adolescence. Both the young Rawls’s theological work and the mature Rawls’s philosophical thought share the view that there are deep inequalities and other great evils in society and human history. As a solution, while the young Rawls appeals to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through overcoming sin by faith, through A Theory of Justice (1971), Political Liberalism (1993), and The Law of Peoples (1999), Rawls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the realistic utopia of a well-ordered society that will eliminate the great evil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just social institutions. Moreover, I showed that, contrarily to his declared rejection of metaphysics in his theory of justice, Rawls engaged with metaphysical themes such as human nature, theodicy, moral motivation, and the problem of evil throughout his career, from his senior thesis to his later works. In conclusion, I compare young Rawls with later as Rawls transformed from Neo-orthodoxy into Rationalistic deism, nevertheless emphasizing that Christian values continued to motivate his work until the end. 본 논문의 목적은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1942)와 후기 롤즈의 역작 『만민법』(1999)을 상호간에 비교하여 청소년기의 기독교적 사유가 후기 정치철학의 핵심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청년 롤즈는 신정통주의 신학적 영향을 받았으며, 신의 형상으로 지어진 인간의 존엄성과 삼위일체를 반영한 공동체를 중심으로 죄와 믿음의 관계를 분석한다. 비록 그가 종전(終戰) 후에 청소년기에 가졌던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의 핵심적인 기독교 가치들은 후기 롤즈의 정치 철학에서 보다 세속적인 모습으로 재연되고 있다. 특별히 『만민법』의 ‘원조의 의무’는 선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에 담긴 가치를 반영한 것이다. 롤즈는 평생 인류의 역사와 사회제도의 근본적 부정의와 뿌리 깊은 악을 제거하는 것에 일관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탈형이상학적이었던 공정으로서의 정의관과는 달리, 롤즈는 『만민법』에서 다시 악의 문제, 기독교 정전론, 인간의 본성론같은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다. 청년 롤즈의 사상은 유신론에 근거한 도덕적 실재론이었다면, 후기 롤즈는 합리주의적 이신론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20세기에 가장 탁월했던 정치철학자 존 롤즈의 사상이 기독교적 배경에서 태동되었다는 사실은 그의 정치철학이 더욱 풍부한 사상적 배경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칭의론에 관한 공동선언문 (JDDJ) 』을 넘어서 –칭의와 관련된 인간의 상태에 관한 쟁점 분석과 해결 모색

        백충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2

        In the quincentenary of Martin Luther’s Reformation in 2017, there have been some attempts to reform church and society in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on the one hand, and to seek dialogue between Protestant Churches and Roman Catholic Church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s to the latter, in 2007 the World Communion of Reformed Churches(WCRC) signed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JDDJ) which was jointly signed in October 31, 1999, by Lutheran World Federation(LWF) and Roman Catholic Church, and which was also signed by the World Methodist Council(WMC) in 2006.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analyse some issues in JDDJ and to seek a way to settle them. Here issues refer to remaining differences within consensus between Lutheran Church and Roman Catholic Church, by which mutual condemnation would not be effective any longer. Considering such remaining differences, this paper goes further to examine what have made those remaining differences. In so doing,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① human role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justification, ② human status in justification, and ③ human life of a justified person. In order to do so, Chapter II summarizes some historical background before JDDJ. And then Chapter III analyses its main content and also what have made remaining differences in JDDJ.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each side should sufficiently turn from substantialism/essentialism to relationalism in each own theological anthropology. Especially, this paper expects that contemporary relational trinitarian theology could embrace both a forensic dimension of justification and a participatory or union dimension of justification more appropriately, and thus future dialogue and study should move in that direction. 2017년은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서, 한편으로는 종교개혁의 정신으로 교회 및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개신교회와 로마(천주)교회 사이의 대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후자와 관련하여 가장 인상적이게도 1999 년 10월 31일에 루터교세계연맹(Lutheran World Federation)과 로마(천주)교회 (Roman Catholic Church)가 서명한 『칭의론에 관한 공동선언문(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에 세계감리교협의회(World Methodist Council) 가 2006년에, 그리고 세계개혁교회커뮤니온(World Communion of Reformed Churches)이 2017년에 서명하였다. 본 논문은 『칭의론에 관한 공동선언문(JDDJ)』에서의 쟁점을 분석하고 해결을 모색하고자 한다. 여기에서의 쟁점이란 루터교회와 로마(천주)교회와의 합의 (consensus) 내에서도 여전히 남아있는 차이점들(remaining differences) 안에서의 논쟁점들로서, 양자 사이의 상호정죄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정도의 차이점 들을 가리킨다. 『칭의론에 관한 공동선언문(JDDJ)』에 담겨 있는 양쪽 진영의 합의와 일치의 정신을 존중하면서도, 본 논문은 남아있는 차이점들에 관하여 특별히 주목하여 그러한 차이점들을 만들어내는 논쟁점들까지 분석하고, 그것들을 넘어설 수 있는 해결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남아있는 차이점들 중에서도 ① 칭의의 준비과정에서의 인간의 역할, ② 칭의에서의 인간의 상태, ③ 칭의된 인간의 삶에 특별히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 II장에서는 『칭의론에 관한 공동선언문(JDDJ)』이 있기 까지의 배경 역사를 정리한다. 그런 후에 『칭의론에 관한 공동선언문(JDDJ)』의 내용을 개괄하고, 또한 여기에 남아있는 차이점들을 만들어내는 쟁점들을 분석하 고자 한다. 그러면서 본 논문은 해결 모색을 위하여 각 진영의 신학적 인간론을 본체주의(substantialism) 또는 본질주의(essentialism)로부터 관계주의(relationalism)에로 충분히 전환하도록 제안한다. 특히, 현대 삼위일체신학의 르네상스에서 제시하는 관계적 삼위일체신학이 칭의론과 관련하여 법정적 선언의 차원과 그리 스도와의 연합 또는 참여의 차원을 온전하게 포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앞으로의 대화와 연구가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Probo or Demonstro in Thomas Aquinas’ Five Ways

        백충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82 No.-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al debates on the existence of God. And these debates have been more intensified with contemporary atheistic arguments for the non-existence of God not only in theology but also in public society. These debates have also incurred some misunderstandings and confusions about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od. In this situation it is quite necessary to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each argument and even of some characteristics of each proof or demonstration. This is more so with the case of Thomas Aquin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