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한문과 교육의 현재와 과제

        배희정 한국한문교육학회 2020 한문교육논집 Vol.54 N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 system in which, after a student selects and complete various subjects according to his/her aptitude and career, whether the student is eligible for graduation from a high school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accumulated credits, is scheduled to be enforced completely in 2025.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must be prepared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rom every aspect including amendment of an educational course. For that, this article checks the present state of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of prepar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documents related to the system. In the next,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our tasks for prepa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a survey on and an interview with students. When checking various documents, it could be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 details Chinese character in lots of materials students and teachers have an access to, and not to omit introductory contents. In the meantim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s students can select is small, but the courses of study and subjects in which students must compete increased. Under these situations it seems that there are seldom any good causes for which students must select. It is time that even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needs to develop new courses of study. Considering conten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overall, a more concrete shape cold be given to establishment of additionally elective Chinese character subjects. First, in the aspect of attractiveness of the subject, it is needed to develop a subject which, students can feel, are related to their careers, while their learning burden can be reduced, so that they are able to easily start to study the subject. In the next, from the aspect of necessity of the subject, it is needed to develop a subject for the students who want in-depth study during a Chinese character class in relation to their careers for majoring humanities. I hope that, on the basis of contents of this study, in order to supple the present weakness and to prepare for the forthcom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all of teachers, researchers, educational course developers, etc. who are in charge of Chinese character subjects will try together. 학생이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맞게 다양한 교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도록 한 다음, 누적 학점에 따라 고등학교 졸업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인 고교학점제가 2025년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한문과도 고교학점제를 대비하여 교육과정 개정을 비롯한 다양한 준비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문서를 통해서 고교학점제를 준비하는 한문과의 현 상태를 점거한다. 다음으로 학생 설문과 면담을 통해서 고교학점제 준비를 위한 우리의 과제를 알아본다. 여러 문서를 점검했을 때, 학생과 교사들이 접하는 여러 자료에서 한문을 더 세밀하게 소개하고, 또 소개 내용이 누락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한문 과목은 적은데 선택 경쟁을 해야 하는 교과와 교과목은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 수요자에게 한문 교과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많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한문과도 새로운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을 엿볼 수 있다. 설문과 면담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추가적인 한문 선택교과목 개설의 방향을 더 구체화할 수 있었다. 먼저 과목의 매력도 차원에서는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 있다고 느낄 수 있으면서도 학습 부담은 줄여 한문 교과에 진입 장벽은 낮추는 것에 초점을 둔 교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다음으로 과목의 필요도 차원에서는 인문학 전공을 위해서 자기 진로와 관련해서 한문 시간에 심화해서 배우고 싶은 학생들을 위한 과목도 필요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다가오는 고교학점제 대비를 위해서 교사와 연구자, 교육과정 개발자 등 한문 교과를 담당하는 모두가 함께 노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절차적 방법을 이용한 다관절체의 대화형 동작생성

        배희정,백낙훈,이종원,유관우,Bae, Hui-Jeong,Baek, Nak-Hun,Lee, Jong-Won,Yu, Gwan-U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8 No.12

        In interactive environments including computer games and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we have increased need for interactive control of articulated body motions. Recently, physically based methods including constrained dynamics techniques are introduced to this area, in order to produce more realistic animation sequences. However, they are hard to achieve real-time control of articulated bodies, due to their heavy computa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cedural method for interactive animation of articulated bodies. In our method, each object of the constrained body is first moved according to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external forces, without considering any constraints. Then, the locations of objects are adjusted to satisfy given constraints. Through adapting this two-stage approach, we have avoided the solving of large linear systems of equations, to finally achieve the interactive animation of articulated bodies. We also present a few example sequences of animations, which are interactively generated on PC platforms. This method can be easily applied to character animations in virtual environments. 게임이나 가상 현실 등의 대화형 처리에서 다관절체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관절체의 동작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제약 동역학(constrained dynamics)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들은 사용자의 요구가 빈번한 가상 공간에서 다관절체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는 곤란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관절체의 동작을 비교적 사실적이면서도 빠르게 생성하기 위한 절차적 방법(procedural method)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는 다관절체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동역학적 움직임과 조인트에서의 기하학적 제약 조건을 따로 처리함으로써, 복잡한 선형 시스템의 풀이 과정을 피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본문이 제안하는 방법은 필요한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제안하는 방법의 구현 결과로서, 일반적인 PC 환겨에서 인형 형태 다관절체의 동작을 대화형으로 실시간에 처리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러한 방법들은 가상 공간에서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정신전력교육 효과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희정,정상근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Korean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collective efficacy affect soldi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relative influence between each variable. Above all, it is meaningful to analyze quantitatively whether collective 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pose policy alternatives. To confirm the above study issue, the data from the Defense Agency for Spiritual and Mental Force Enhancement's 2019 ‘Survey on Soldier’s Behavior and Values' a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Spirit Edu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llective efficacy also has a positive (+) impact on the soldi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it has been discovered that collective efficacy ca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Military Spirit Education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Spirit Education, collective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confirmed that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collective efficacy a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ldi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particular, it is very meaningful that it presented the Military Spirit Education development direc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value that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의 정신전력교육과 집단효능감이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와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핵심적으로는 집단효능감이 정신전력교육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군 정신전력교육은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군 정신전력교육은 장병 집단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집단효능감은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군 정신전력교육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9년 국방정신전력원에서 실시한 ‘장병 행동 및 가치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군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효과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집단효능감 또한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아울러 집단효능감은 정신전력교육 효과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정신전력교육과집단효능감,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정신전력교육과 집단효능감이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유의미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함의, 그리고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특히, 조직몰입에 기여할 수 있는 조직가치 차원에서의 정신전력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 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 영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배희정,김승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activitie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on infant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Participants consisted of twenty-eight 2-year-old infants who were going to 4 daycar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urteen infants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fourteen infants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rt activitie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carried out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tandard children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hoosing wordless picture books, training tester, pretest, teacher education, experiment, and post tes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 total of 16 times for 8 weeks from the 28th of December in 2020 to the 19th of February in 202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meaningfully. That is to say, the scores of two sub 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five sub factors of crea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art activitie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affected positively infant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This study indicated that infant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could increase effectively through art activitie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without a fixed stor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emonstrate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 improve infant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eff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 영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의 어린이집 4곳의 만 2세 영아 28명(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으로, 실험집단은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활동에, 비교집단은 표준보육과정의 생활주제와 연계한 미술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 선정, 검사자 훈련, 예비연구, 사전검사, 교사교육, 실험 처치, 사후검사 등의 절차로 이루어졌으며, 실험 처치는 2020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2월 19일까지 8주 동안 총 16회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영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이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의 2개 하위영역과 창의성의 5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이는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활동이 영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야기가 정해지지 않은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활동을 통해 영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중탄산나트륨(NaHCO₃)투여가 1000m 카누경기력, 혈액 pH, 그리고 혈중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장경태,이정수,배희정 韓國體育大學校附屬 體育科學硏究所 1993 韓國體育大學校附屬 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 Vol.12 No.1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NaHCO₃ ingestion on performance and selected blood parameters in 1000m canoe exercise. Six high school male kaya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time trials were conducted on three seperate occasions(control, placebo, NaHCO₃) at the Misari Olympic Rowing and Canoe facility. The dose of NaHCO₃ was 300mg per kg body weight and given to the subjects 90 min before the start of exercise. Time ives measured at 1000rn and at each four 250m.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rest, before exercise, and three minutes after the termination of exerci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lthough ingestion of NaHCO₃ tend to decrease the 1000m canoe trial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ials. 2. Blood p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90 min after NaHCO₃ ingestion. 3. Although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fter exercise was higher in the NaHCO₃ trial, there div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rials.

      • KCI등재

        중등학교 한자 어휘 교육의 실태 및 개선 방향

        배희정 ( Bae Hee-jeong ),안세현 ( Ahn Se-hyu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한문과 선택과목의 개편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택과목 개발을 할 때에는 심화학습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도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자와 어휘’ 영역과 관련한 선택과목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먼저 한자와 어휘 관련 교과목의 교육 실태를 살피기 위해서 선행연구, 교육과정,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한자와 어휘’ 영역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그 중요도나 비중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에 비해 다양한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최근 연구의 수가 적다. 또 교과서를 살펴보았을 때, 기존에 계속 이어졌던 ‘일상 용어’는 교과서에서 다양하게 또 많이 구현되고 있다. 반면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학습 용어’는 교과서에서 비중이 적고, 교수·학습 방법도 다양하지 않다. 이러한 실태를 살핀 결과를 토대로 한자와 어휘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먼저, ‘일상 용어’와 ‘학습 용어’의 구별점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일상 용어’와 ‘학습 용어’의 위계와 범위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한자와 어휘 교육의 발전 및 새로운 선택과목 개발을 위해서는 단원 구성 방안과 교육 방법의 개발 그리고 새로운 교과에 적합한 성취기준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Re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elective subjects are required due to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When developing elective subjects, enrichment learning is important, but the subjects various students can select are also important. From such standpoint,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elective subjects related to the area of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is being stressed. First of all, preceding studies, educational courses and textbooks were examined in order to look into educational status of subject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To examine educational courses, it can be said that the area of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was expanded in terms of importance or weight in the amended 2015 Chinese letter educational courses. However, compared with that, the number of recent studies on various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is insufficient. Besides tha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extbooks, “ordinary terms”,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handed down, are also diversely showed in textbooks. Whereas, the newly introduced ‘learning terms” in the amended 2015 Chinese letter educational courses is low with respect to the weight in textbooks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not diverse.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uch real status, several proposals were made for improvement of vocabulary educ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et a method of discerning ordinary terms from learning terms. And, on the basis of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set the grade of ranks and scope of ordinary terms and learning terms. Also,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education and of new elective subjects, a plan for unit compositi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s and achievement basis suitable for new subject matter, etc. shall take precedence.

      • 상호작용 체감형 게임을 위한 체감 효과의 동기화 기법에 관한 연구

        배희정(Heejung Bae),변기종(Kijong Byun),장병태(Byungtae Ja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B

        체감 효과 (haptic effect)는 가상 환경에서의 실재감 부여를 위하여 중요시되고 있다. 반면, 가상 객체에 실재와 흡사하게 연동하는 기술은, 체감 효과의 모델링과 함께 렌더링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사용의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체감 효과를 위하여 필수적인 가상 객체와의 동기화 기법에 대하여 다룬다. 이를 위하여, 가상 객체에 작용하는 동역학적 움직임을 체감 효과에 대응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실시간 충돌 처리와 연동함으로써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는 캐릭터의 빈번한 제어에 대응되도록 체감 효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이며, 안정적이면서 그럴 듯한 효과를 재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

      • DCT 기반의 질감 특징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정보 검색시스템

        배희정,이우선,정성환 國立 昌原大學校 情報通信硏究所 1997 精報通信論文集 Vol.1 No.-

        Using texture information of image, an efficient content-based image database retrieval system is presented. First, we examine existing retrieval methods and describe their problems. We then propose a retrieval method using DCT coefficients. For image retrieval, it extracts remarkable coefficients according to some directions and uses them as feature vectors.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shows more simple than existing feature extraction ones and reduced the processing time. Especially, we may also have the efficiency of storage space because it is possible to extract features in the compressed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