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ultidimensional Model for Assessing Risks from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of Workers

        Yu-Jung Bae(배유정),Byeong-soo Kim(김병수),Da-yeong Gwon(권다영),Yong-min Kim(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7

        직업상 피폭에 대한 현행 방사선 위험성 평가는 종사자의 피폭선량 평가 및 건강진단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개인 중심의 위험성 평가는 선량계 미착용 및 개개인의 기호로 인한 건강영향 문제 등 정확한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평가의 기준이 되는 선량한도는 법적 최대 상한값으로 방사선 방호에 최적화된 값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에 선원적, 환경적 및 인적 측면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고 방사선방호의 최적화를 이행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새로운 위험성 평가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의 위험성 평가에 기반하여 개인이 아닌 작업장 중심의 위험성 평가 모델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분야의 위험성 추정 방법을 분석하여 방사선 분야에 적용하기 적합한 모델을 도출하고, 모델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절차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작업장 중심의 다차원적 위험성 평가 모델은 위험성을 점수화하고 Rader Plot을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방사선 위험성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결론적으로 효율적인 종사자 관리, 선제적 종사자 보호 및 방사선 방호의 최적화 이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urrent radiation risk assessment for occupational exposure is based on the measured exposure dose and health checkups of workers. This people-centered risk assessment may occur errors because absence of using personal dosimeter or unrelated health symptoms of individuals lead to difficulties in obtaining accurate data from workers. In addition, although the established legal upper dose limit was used as a reference for the assessment, it does not imply that this limit is the optimal dose of radiation workers should get; ALARA principle should always be appreciated. Therefore, a new risk assessment model that can take account of all the important factors and implement optimization of radiation protection is required at the national level. In this paper, based on the KOSHA Risk Assessment, we studied on the workplace-centered risk assessment model for radiation field rather than the people-centered. The result of the study derived a right model for radiation fiel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isk assessment methods in various fields and also found data acquisition methods and procedures for applying to the model. Multidimensional model centering on the workplace will enables more accurate radiation risk assessment by using a risk index and radar plot, and consequently contribute to the efficient worker management, preemptive worker protection and implementation of optimization of radiation protection.

      • KCI등재후보

        국외 부지해제기준 분석을 통한 국내 원자력발전소 부지해제기준 도출에 관한 고찰

        배유정(Yu Jung Bae),김용민(Yong min Kim),안석영(Seok young Ahn),김철민(Cheol Min Kim)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9 No.5

        세계적으로 수명을 다한 원자력발전소들이 증가하면서 노후화 된 원전의 해체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다. 특히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국내의 경우 원전을 해체하는데 있어 부지 재이용 문제는 하나의 중요한 사안이지만, 아직까지 부지 재이용을 위한 구체적인 법적 부지해제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지해제를 위한 IAEA의 국제적 안전기준(Safety Guide No. WS-G-5.1) 및 국내 관련기준, 미국ㆍ유럽 등 선진국들의 부지해제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선량기준 및 국내 부지해제 기준 수립 시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이는 원전 해체 후 부지 재이용을 위한 국내 부지해제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recent years, concern about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growing according to the nuclear power plants aging. Although site reu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doing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in view of the internal affairs, there is currently no specific standard of the site release criteria for site reuse in the Republic of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s for the site release(IAEA's Safety Guide No. WS-G-5.1) and the present domestic condition. Also, we studied the site release criteria and real life examples about advanc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and Europe, which already have experience of decommissioning or site release. As a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ed proper standards and future consideration to establish site release criteria. This will be used for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the domestic site release criteria after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 KCI등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Main Factors of Radiation Risk Index Model for assessing risk in Nondestructive Test workplace

        Da Yeong Gwon(권다영),Ji young Han(한지영),Yu-Jung Bae(배유정),Byeong-soo Kim(김병수),Yongmin Kim(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4

        Risk of radiation worker and radiation workplace are being mainly assessed by exposure dose. But, the radiation used in radiation workplace and the work environment are different. Because the nondestructive work environment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subject,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hielding board, and so on. So, we need to consider the various factors in effective radiation protection aspect. We conducted a survey of radiation workers with over two years` experience in NDT workplace and heared the thoughts of experts. As a result, radiation source, exposure dose, current status of workplace management, workers with personel dosimetry problem and status of periodic regulatory inspection were chosen as main factors of radiation risk index model. Also, we primarily set weighting factors in order of importance based on questionnaires. Finally, we determined weighting factor for details of main factors through the professional advice.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develop the radiation risk index model for assessing the risk of nondestructive test workplace based on main factors that are selected through this study.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작업장의 위험성은 주로 피폭선량 값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방사선작업장은 사용하는 방사선 및 작업환경이 상이하다. 특히,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은 작업대상물, 차폐체 사용 가능 유무 등에 따라 작업환경이 다양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사선 방호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전문가 및 조장 방사선작업종사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방사선원, 방사선피폭선량, 작업장관리현황, 판독특이자, 정기검사현황이 주요인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설문조사 중요도를 바탕으로 1차 가중치(안)을 설정한 후 2차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 내 세부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주요인자를 바탕으로 하여 방사선투과검사작 업장 위해도 지수 모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 위험성 평가를 위한 방사선 위해도 지수 모델 주요인자 선정에 관한 연구

        권다영 ( Da Yeong Gwon ),한지영 ( Ji Young Han ),배유정 ( Yu-jung Bae ),김병수 ( Byeong-soo Kim ),김용민 ( Yongmin Kim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4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작업장의 위험성은 주로 피폭선량 값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방사선작업장은 사용하는 방사선 및 작업환경이 상이하다. 특히,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은 작업대상물, 차폐체 사용 가능 유무 등에 따라 작업환경이 다양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사선 방호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전문가 및 조장 방사선작업종사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방사선원, 방사선피폭선량, 작업장관리현황, 판독특이자, 정기검사현황이 주요인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설문조사 중요도를 바탕으로 1차 가중치(안)을 설정한 후 2차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 내 세부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주요인자를 바탕으로 하여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 위해도 지수 모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isk of radiation worker and radiation workplace are being mainly assessed by exposure dose. But, the radiation used in radiation workplace and the work environment are different. Because the nondestructive work environment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subject,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hielding board, and so on. So, we need to consider the various factors in effective radiation protection aspect. We conducted a survey of radiation workers with over two years` experience in NDT workplace and heared the thoughts of experts. As a result, radiation source, exposure dose, current status of workplace management, workers with personel dosimetry problem and status of periodic regulatory inspection were chosen as main factors of radiation risk index model. Also, we primarily set weighting factors in order of importance based on questionnaires. Finally, we determined weighting factor for details of main factors through the professional advice.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develop the radiation risk index model for assessing the risk of nondestructive test workplace based on main factors that are selected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