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배출시간의 지연을 동반한 호산구성 위염 1예

        배선윤,정호중,김미연,이미래,이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5

        Eosinophilic gastritis is a rare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the bowl wall tissue, and the presentation of symptoms varies depending on the affected site. It is likely that eosinophil-active cytokines play important roles in this disease. A 22-year old man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vomiting. Endoscopic gastric biopsy revealed eosinophilic infiltration, and the serum level of Interleukin (IL)-5 was increased. Gastric emptying was moderately delayed in this patient.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teroid and he showed dramatic clinical improvement with disappearance of the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the gastric mucosa, normalization of the serum level of IL-5 and improvement of the gastric emptying time. There has been few case reports of eosinophilic gastritis that have described the change of the serum level of cytokines and the gastric emptying. We report here on a case of eosinophilic gastritis and the patient showed elevated serum level of cytokines and delayed gastric emptying. The patient improved after being treated with steroid. 호산구성 위염은 장벽의 병적인 호산구 침윤을 특징으로 한 드문 질환으로, 장관내의 침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호산구의 활성화와 관련된 사이토카인이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복통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내시경을 통한 위 조직 검사 상에서 호산구의 침윤이 관찰되었고, 혈청 IL-5가 상승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 운동장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 위배출시간 검사에서 중등도의 지연 소견을 보였다. 스테로이드 투여 후 증상의 호전과 함께 조직의 호산구 침윤의 소실, 혈청 IL-5의 정상화 및 위배출시간의 정상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호산구성 위염의 치료 경과에 따른 혈청 사이토카인 및 위배출시간의 변화를 관찰한 예는 아직 보고가 없으며, 저자들은 사이토카인의 상승 및 위배출시간의 지연을 동반한 호산구성 위염에서 스테로이드 투여 후 호전된 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철학적 사유와 주체화: 『철학에의 기여』를 중심으로

        배선윤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9 현대정신분석 Vol.21 No.2

        Heidegger said that contributing to philosophy is from the notion of ‘Ereignis’. The Ereignis only manifests when we accept the truth of existence that becomes closer to ourselves, but hidden and kept deep within our being. This explanation from Heidegger resembles the definition of Lacan’s Subjectification. The Lacanian Subject is identified as a being that is simultaneously brought into existence and disappearing. When Heidegger said that the days of the system have passed and we must try to approach the essence of being through the other origin, it overlaps with Lacan’s process of birth as ethical subject. This is the process of meeting the lost or hidden ‘Real’ beyond the symbolic—the world of law and order. Heidegger, who peeks at the truth of being through the loss of existence, is very similar to Lacan, who sees the split subject who senses around the Real in the crack of the Symbolic.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s reinterpret Heidegger’s Contribution to Philosophy by understanding its similarity with Lacan’s Subjectification process. 하이데거는 [철학에의 기여]에서 인간 사유의 학문인 철학에 ‘기여’하는 것은 ‘생생한 고유화’로부터이고, 생생한 고유화는 오로지 인간만이 존재를 이해하는 한에서 인간이 자신에게 은닉된 채로 다가오는 존재의 진리를 받아들여, 존재자 안에 간직해 놓음으로써만 발현된다고 말한다. 생생한-고유화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러한 표현은 라캉의 주체화에 대한 정의와 닮아 있다. 라캉의 주체는 생성되면서 동시에 사라지는 존재로 파악되며,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만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한 주체가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곳은 ‘내 말로부터 사라지는 존재’의 장, 곧 불확실성의 장이다. 체계의 시절이 지나가고 다른 시원에로 이행해서 존재의 본질로 다가가야 한다는 하이데거의 말은 라캉의 화법으로 바꾸면 법과 질서의 세계인 상징계를 넘어서 잃어버린 혹은 은닉된 실재를 만나기 위한 윤리적 주체로의 탄생 과정과 겹쳐진다. 존재 망실을 통해 존재의 진리를 엿본다는 하이데거와, 실재를 잃은 분열된 주체가 상징계 내의 균열 속에서 실재를 더듬는다는 라캉의 진술은 그 의미가 매우 유사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가정 하에 존재의 진리를 향한 여정 인 하이데거의 저서 [철학에의 기여]를 라캉이 말하는 주체화 과정에 대입시켜 재해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이상 연작시 「오감도」 이어서 읽기-라캉의 주체화 관점에서-

        배선윤 이상문학회 2023 이상리뷰 Vol.- No.19

        본 연구는 기이한 삶과 천재성, 절망적인 개인과 시대의 병리성 등으로 덧씌워진 기존 이상 연구 경향에서 시선을 달리하고자 하는 욕망으로부터 출발한다. 병리적 시대 속에서 개인의 병리를 견디며 살아낸 이상의 글쓰기는 ‘존재와 권위의 동시적 부재들에 대한 충실성’이라는 라캉 정신분석 시술 윤리의 제 1원칙과 만나서 분할가능하고 반복되는 작가 자신의 자기-정립활동의 실현으로 읽힐 수 있다. 특히 작가 스스로 그 시대보다 수십 년 앞서 있다는 자부심과 달리 당대 독자와 평단의 혹평으로 절반의 지점에서 연재 중단된 「오감도(烏瞰圖)」는 이상의 자기-정립활동의 최정점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라캉이 말하는 주체화의 입장에서 이상의 「오감도(烏瞰圖)」를 존재 회복의 서사로 보고,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의 독자에게 주는 치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적·외적으로 가장 절망적이었던 삶의 시기에서 작가 이상에게 욕망의 새로운 출구가 되었던 시 쓰기가 거의 한 세기 이후 현대의 독자들에게 던지는 치유적 힘의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동시에, 연작시로서의 「오감도」를 유기적으로 이어서 읽어보고자 한다. 작가 이상 개인의 실제 삶과 식민지 현실이라는 외부 요건을 소거하고 현재의 시선으로 다시 읽는 연작시 「오감도」는 독자인 주체가 지닌 내적 이질성인 소외와 탈중심성을 반영하는 거울이 되고, 스크린이 되어 열린다. 「오감도」라는 거울 혹은 텅 빈 스크린 위에 독자가 덧쓰고 있는 그 의미가 이상이 담은 ‘시적 진실’이 아니라 독자 주체가 뱉고 있는 자기-정립활동에 다름 아님을 수용할 때 이상의 「오감도」를 새로운 방향으로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작시 형태의 「오감도」를 발표 순서에 맞춰 분류하고, 각 분류에 따라 분석한다.

      • KCI등재

        김기림의 인공어와 독자의 시선―「기상도」를 중심으로

        배선윤 한국시학회 2023 한국시학연구 Vol.-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im, Kirim’s poetic words which are named as artificial words, focusing on his masterpiece “Weather Map”. For the current reader, Kim’s poetic words may unfold a new field of meaning. To do so, I first searched for the meaning of poetry and poet in Kim’s poetry theory before the publication of “Weather Map”. For Kim, poetry is the architecture of words. The material that becomes the central axis of the architecture is artificial words. “Weather Map” is a unified world in which Kim’s philosophy on poetry is gathered. The world is built not by the dead words of a linguist, but by the living words of a poet. That is the living organism of ‘Today’s poem’. “Weather Map” was written in the form of long-length lyric to imply the complex curves of reality. And “Weather Map” was created as a picturesque poetry to draw the sculpturesque reality. Kim’s artificial words approaches the essence of complex and multi-layered language with overlapping and transparency. In this way, Kim built his own unique world of poetry. The 1930s was a time when British and American trends and literature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 As a result, traces of the West are often seen in the works of the time. If evaluated accordingly, the aesthetic perfection of literary achievement of “Weather Map” may be regarded as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West. However, if we consider Kim as a poet who tried to create his own poetic world by subjectively accepting Western things, “Weather Map” can be read as hope to build a new order on the ruins of reality. 본 연구는 김기림의 대표작 「기상도」에 쓰인 시어들을 탐색하여 인공어로지칭되는 김기림의 시어들이 오늘을 살아가는 독자에게 새로운 의미의 장을 열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기상도」가 시집으로 출간되는 해까지 김기림이 시론을 통해서 밝힌 시와 시인의 의미와 기능을 우선 살펴보았다. 김기림에게 시는 언어의 건축이고, 그 건축의 축이 되는 재료들은 인공어다. 「기상도」는 그런 김기림의 시에 대한 철학이 집적된 하나의 통일된 세계이다. 그 세계는 언어학자의 죽은 말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말로 시인이 제작한 새로운 질서이며, 오늘의 시라는 생명체다. 하나의 유기체적 생명체로서 「기상도」는 김기림이 말하는 현실의 굴곡을 담기 위해 장시의 형식으로 쓰였고, 그 현실의 조소성을 담은 이미지들이 한 데 어울려 회화시가 된다. 언어가 지니고 있는 복합다층적인 본질은 김기림의 인공어가 지닌 중첩성과 투명성으로 재현되면서 김기림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한다. 1930년대 조선 시단에 영향을 미친 영미의 작품과 사조들에 빗대어볼 때 김기림 「기상도」의 미학적 완성도나 문학적 성취가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서구의 기준에서 벗어나 자신의 시론 실천으로 시를 제작한 김기림을 고려할 때, 「기상도」를 읽는 2020년의 독자의 눈에는 현실의 폐허 위에서 새롭게 외치는 새 질서를 위한 희망이 되어 힘든 오늘의 위로로 읽힐 수도 있다.

      • 은유치료 : 문학치료에 대한 은유적 접근

        배선윤,박찬부 대한문학치료학회 2011 대한문학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은유치료의 실제 치료적 가능성 검증에 있다. 은유를 통한 심리치료가 대개의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부분적으로 행해지고는 있으나 은유의 실제적 의미에 대한 성찰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은유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면밀히 살펴보고, 은유가 심리치료에 미칠 수 있는 실제적 효과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은유는 원래 수사학적 개념으로, 문학적 의미를 지닌 용어이므로, 은유의 본뜻과 그 변화 과정을 먼저 살펴보고, 은유의 활용 범위를 재검토한다. 은유라는 개념이 상담이나 심리치료에 활용되기 시 작한 것은 정신분석의 탄생과 함께 하므로, 정신분석학적인 은유의 의미를 탐색한 후, 언어와 은유와 정신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서 인간 정신과 은유의 속성 비교를 한다. 철학과 정신분석학 관련 학자들의 이론 탐색 과정을 거치면서 은유가 인간 정신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검토한 후, 심리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은유적 도구를 소개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사례에서 은유의 효과를 검증하고, 사례분석을 통해서 은유의 활용범위를 확인하고, 은유치료의 나아갈 바를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 KCI등재

        포스트-팬데믹 시대, 새로운 삶의 양식을 찾는 윤리적 주체 - 「주체의 전복과 욕망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배선윤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3 현대정신분석 Vol.25 No.2

        Hysteria is a symptom that presents a diversity of clinical picture, a structure of neurosis, and a discourse. Hysteria unfolds an unsatisfied desire following a fantasy and a symptom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Other in order to find his/her identity. The etiology of hysteria is discussed through the following themes: question (Who am I? a man or a woman?), identification (symbolic identification, imaginary identification), primary erogenous zone (oral), sexual attitude (aversion), symptom (conversion), strategy of being (becoming the cause of the Other’s desire), strategy of separation (supplementing of the Other), the fundamental fantasy (a◇A/ ), and desire (unsatisfied desire). H (the hysteric) who participated in Lacanian psychoanalysis (the non-standard analysis) have experienced castration that jouissance has to be refused in order to be attained on the inverse scale of the Law of desire at the end of the analysis. In other words, H found the drive between her desire and fantasy through the analyst’s punctuation and scansion about the signifying chain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that unfolded through speech, and embraced castration (-φ) by confronting the lack of the Other (S(A/ )). It makes H accept castration after frustration and privation in the Oedipus processes and transform H from the jouissance of the Other into the phallic jouissance (the separation from the analyst). After the analysis, H also has the direction of subjective realization of becoming a woman as not-all/ek-sistence to be transformed into the feminine jouissance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sinthome(the separation from the analysand herself). Ultimately, the practice of Lacanian psychoanalysis is a work in which the hysteria takes responsibility about her symptom and leads to modification of the mental/personal structure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sinthome. This structural change means taking different qualitative relation from the previous life. 2023년 6월 1일부터 코로나19 관련 의무 격리가 해제되고, 우리 사회는 증상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위드 코로나”시대를 맞았다. 돌아갈 데 없는 포스트-팬데믹이라는 미증유 시대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인간 주체가 서 있어야 할 자리는 어디인가를 고민하는 데서 본 연구를 시작한다. 라캉이 말하는 “프로이트의 주체”는 의식과 관련된 자율적 자아가 아니라 하나의 기표와 다른 기표 사이에 사로잡혀 있는, 사라지는 존재로서의 주체, 곧 무의식의 주체이다. 라캉의 주체는 ‘알지 못한다’는 것이 근본적인 특징이며, 투명성, 통일성, 일관성 등을 부정한다. 주체의 결여, 세계의 결여를 수용할 수 없으면, 대타자의 눈 속에 담긴 이미지, 즉 완전하다고 착각하는 자아가 만드는 환상 속으로끌려 들어간다. 주체가 고유성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면, 자아는일련의 외적 이미지들과의 소외적 동일시에 의해 주체 안에 기입된 심적 심급일 뿐이다. 상상계와 상징계를 동일시하는 방법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환상 속 대타자의 욕망에서 분리될 수 있다. 대타자를 향해 “케 보이?”라고 던지던 질문의 방향을 주체 스스로에게로 돌려 대타자의 요구라고 믿어왔던 데서 벗어난다면, 포스트-팬데믹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인간주체가 새롭게 삶의 양식을 구가하는 또 하나의 길이 열릴 수도 있지 않을까? 라캉의 에크리 안에서 그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시도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

        라캉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地圖의 暗室」

        배선윤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1

        이 논문은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으로 이상의 「지도의 암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은 우리나라 현대 문학 초기의 가장 문제시되는 작가로, 여전히 작가도, 그의 작품도 어느 사조에 속하는지조차 규정하기 힘든 미완의 모습으로 남아, 해석에 있어 여러 가능성을 품고 있다. 하지만 내면 묘사에 충실하고 자기 분열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는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분열된 인간 심리의 내부 묘사에 집중하여 이성의 확신에서 벗어난 ‘나’를외치는 이상의 글쓰기가 무의식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특히 인간의자아는 환상이며 언어처럼 구조화된 무의식의 주체가 결국 인간의 본질이라고 주장하는 라캉의 이론과 이상 글쓰기의 유사성을 「지도의 암실」에서 찾아, 이상의 글쓰기는 곧라캉이 말하는 주체화과정에 다름 아님을 보이고자 한다. 상징계 내의 균열로 인한 ‘틈’과 ‘사이’에서 이상이 생성시키는 새로운 의미의 공간은삶의 증상들이며, 이는 상징계적 의미 연쇄 사슬이 끊어진 곳에서 오브제 ɑ라는 흔적으로우연히 스치듯 만나진다. 이때의 증상은 되어가는 과정인 기표로서의 주체이며, 소외와 분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윤리적 주체로의 탄생으로 가는 징검다리가 된다. 이상의 첫 단편인 ⸢지도의 암실⸥이 라캉이 말하는 주체화, 곧 윤리적 주체의 탄생 과정에 부합된다면, 기존 이상 연구 방향과는 다른 또 하나의 시각이 열리는 것이다.

      • KCI등재

        「地圖의 暗室」에 나타난 女性 - 여성, 주체화과정에 비춰진 대상

        배선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6 No.-

        After reviewing Lee, Sang’s works, I saw that the researches on his works tended to focus on the exploration of the overall elements with a specific view. In this essay, I tried to examine “Darkroom of Map” with microscopic view. In Lee, Sang’s works, women often appeared as key elements. “Darkroom of Map” is Lee, Sang’s first short stor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look for the origins in this novel that could lead to female characters in his later works. Because the existing researches tend to read Lee, Sang’s novels in terms of pathology and ego-splitting, the study of women is also analyzed from that perspective. In addition, they studied women with a fixed perspective in relation to sexual issues, prostitution and fidelit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find the concept of women in Lacan’s Seminar 20, and to understand how the subject defined in Lacan’s view is related to the subjectification of birth as an ethical subject. As Lacan say Joyce ’s writing as the subjectification that identify the life with sinthome, we can consider Lee, Sang’s writing as the subjectification. From that point of view, women in Lee, Sang’s works can be in the position of a key device in constructing their plots. Incorporating the women-related signs in “Darkroom of Map” into the subjectification, this essay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fragmented metonymic signs into the discourse of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