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산 UDDI 상에서의 신뢰성 보장을 위한 웹 서비스 정보관리 시스템

        배명훈(Myeong-Hun Bae),국윤규(Youn-Gyou Kook),김운용(Woon-Yong Kim),정계동(Kye-dong Jung),최영근(Young-Keu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의 활성화로 웹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웹 서비스의 등록 및 검색을 지원하는 UDDI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범용 UDDI 레지스트리(UBR, UDDI Business Registry)를 운용하고 있는 IBM, Microsoft, Ariba, SAP등은 상호간에 UDDI의 복제(Replication)를 지원하며 하나의 UDDI 레지스트리에 웹 서비스를 등록하면 다른 UDDI에도 자동으로 웹 서비스가 등록된다. 하지만, 이러한 복제는 최소 24시간을 주기로 복제되며, 또한 업데이트에 대해서는 복제작업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환율 정보 서비스, 예약 서비스, 주식 정보 서비스등 실시간적인 동기화가 필요한 서비스들의 사용자에게 많은 문제점을 안겨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니터링 및 UDDI 동기화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웹서비스의 등록, 삭제 및 업데이트 발생시 등록되어있는 모든 UDDI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한다.

      • 특성 학습을 이용한 P2P 기반의 효율적인 Multi-Agent 시스템

        배명훈 ( Myeong-hun Bae ),국윤규 ( Youn-gyou Kook ),김운용 ( Woon-yong Kim ),최영근 ( Young-keun Choi ),( Kye-dong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병렬처리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의 효율적인 전송 및 관리는 전체 수행시간을 줄이고 신뢰성 높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인 에이전트 기반의 분산 시스템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노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노드의 관리를 위한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분산처리 수행 시 각 노드들의 동적인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처리함으로써 전체적인 성능 저하를 발생시킨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 기반의 분산 시스템에 P2P 아키텍쳐를 결합시킴으로써 작업 스케쥴링 및 노드 관리시 발생하는 부하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노드들의 관리를 위해 특성 프로파일(Specific Profile) 및 특성 학습 에이전트(Specific Learning Agent)를 사용함으로써 P2P가 가지는 불안전한 환경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티볼 동아리 운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배명훈(Bae, Myeong H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근거하여 티볼 동아리를 운영한 한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스포츠 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실제 티볼 동아리를 운영한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외 참여관찰, 문서자료, 연구노트, 사진 및 동영상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3차원 탐구 공간과 4가지 방향성을 고려하여 넓게 보기(broadening), 깊이 살펴보기(burrowing)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는 자료 분석을 통해 ‘이야기하기’와 ‘다시 이야기하기’ 로 구성하였다. ‘이야기하기’는 다시 ‘코로나 시대의 신체활동 동아리 운영’, ‘동아리 준비’, 고정적이지만 탄력적 신체활동 구조‘, ’동아리 활동 종료‘로 범주화하여 연구참여자의 동아리 운영 계기와 활동 준비, 실행, 종료 과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시 이야기하기’는 이야기하기의 내용을 확장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기반한 스포츠 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모두를 위한 수월성’, ‘학교체육 스펙트럼의 확장’으로 범주화하여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서 동아리 활동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결론: 동아리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에 기반을 두고 있고, 자율적 선택에 의해 특정 종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체육수업과 같이 안정적 시간 확보한 가운데 학교스포츠클럽과 같이 원하는 종목의 심화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신체 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a teacher who operated a t-ball club based on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rough this, seek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sports club activities in the area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Methods: Narr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irst,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a teacher who actually operated the T-Ball club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in addition, participation observation, document data, research notes, photographs and video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roadening and burrowing in consideration of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and four directions of backward and forward, inward and outward. Results: The results consisted of "storytelling" and "re-storytelling" through data analysis. "storytelling" described in detail the mot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club operation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executing, and ending the activities. "re-storytelling" analy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club activities, and described them as "excellence for all" and "expansion of the school sports spectrum". Conclusion: Club activities are bas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pecific sports can be intensively performed by autonomous selection.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because it is possible to learn in-depth learning of the desired sport, such as school sports clubs, while securing stable time such as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우수등재

        미국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분석: 2015 개정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명훈 ( Myeonghun Bae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이 연구는 미국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목표, 방법, 내용, 평가로 구분하여 미국의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구체적 내용을 제시하고 의미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전체적인 방향에서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체육교육의 지향점이 비슷하였다. 즉, 우리나라는 신체활동가치 내면화와 역량 함양을 통한 전인교육 실현이며, 미국 역시 피지컬 리터러시에 기반을 둔 총체적 접근을 통해 전인교육을 표방한다. 반면, 미국의 경우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5학년 과정까지 FMS와 움직임 개념 습득에 집중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과정 이후부터 이해중심게임모델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신체활동 상황에서 응용에 집중한다. 또한, 목표를 토대로 성취기준에서 구체적 목표 기능을 제시해주고 달성해야 할 수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경우 초등학교 3~6학년은 FMS와 움직임 개념, 이해중심 게임모델을 제한된 영역에서 다루며, 신체활동 예시를 토대로 신체활동가치 습득에 집중한다. 그리고 교육과정 제시 방식은 목표-내용-방법-평가에 이르기까지 추상적이고 다소 일반적이며 포괄적 진술 형태를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는 차기 교육과정 개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기 위한 FMS 및 움직임 개념 적용에 대한 확대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구체성에 대한 논의 역시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US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compare with Kore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ly,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US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goal, method, content, and evalu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urriculum were explored by analyzing the meaning. Overall, the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of the US and Korea is similar. In Korea, the realization of holistic education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cultivation of competencies, The US also advocates holistic education based on physical literacy. On the other hand, in the US, from kindergarten to fifth grade, the focus is on FMS and movement concepts. And based on this, the TGFU is applied extensively from the middle school course onward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in various physical activity situations. In addition, based on the goal, the specific target skills are presented in the outcomes and the level to be achieved is presented in detail. However, the Korean elementary curriculum in grades 3 to 6 deals with FMS, movement concepts, and TGFU in a limited area, and focus on acquiring physical activity values based on examples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curriculum presentation method is an abstract and rather general comprehensive statement from goal-content-method-evaluation. Currently, Korea is work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application of FMS and movement concepts to keep pace with the global trend.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iscuss the specificity of the curriculum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national curriculum.

      • 이동 에이전트 기반의 웹 서비스 가용성 측정 시스템

        배명훈 ( Myeong-hun Bae ),국윤규 ( Youn-gyou Kook ),김운용 ( Woon-yong Kim ),최영근 ( Young-keu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웹 서비스 기반기술의 표준화와 웹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IBM, Microsoft, SAP, NTT DOCOMO에서 운영하고 있는 UBR(UDDI Business Registry)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 사용자들은 많은 서비스들을 즉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되어지고 있는 웹 서비스들 중에서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개수는 등록되어있는 웹 서비스의 개수에 비해 극히 적다. 이러한 상황은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 가용한 서비스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UBR로부터 검색되어진 웹 서비스들 중에서 가용한 서비스들 만을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UBR 검색 후 이동 에이전트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수행, 가용한 서비스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되어진 웹 서비스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댄스 동아리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배명훈(Bae, Myeong H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이 연구는 한 초등학교에서 운영된 동아리 중 댄스동아리 담당 교사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형식을 빌려 탐구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바탕으로 한 초등학교에서 댄스동아리 운영을 경험한 교사 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담당교사와 반구조화 형식의 심층 면담을 4회 실시하였으며, 면담 외에 담당 교사의 허락을 얻어 실제 동아리 활동 관찰을 수시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보조적인 성격으로서 계획서, 활동 일지, 출석부, 결과보고서 등의 공식적, 비공식적 문서자료와 사진, 동영상, 학생 소감문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넓게 보기(broadening)와 깊이 살펴보기(burrowing)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이를 토대로 이야기하기와 다시 이야기하기로 구성하였다. 이야기하기는 동아리 참여 계기와 동아리 운영 준비로 구성된 ‘동아리 운영의 시작’, 학생 활동과 교사 역할로 구분한 ‘동아리 활동의 전개’, 그리고 ‘동아리 운영의 마무리’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다시 이야기하기는 댄스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자율성, 교류의 장, 여학생 신체활동 접근성 향상으로 범주화하였다. 교사의 이야기를 통해 드러낸 댄스동아리는 정규 교과나 다른 형태의 학교체육과는 또 다른 모습의 신체활동이다. 동아리 활동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특별한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기에 학교체육에서 권장되어야 하며 학교현장에 안착을 위한 꾸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ory of a teacher in charge of a dance club operated in an elementary school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four times semi-structured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 in charge, and the actual club activities were observed with the permission of the teacher. In addition, formal and informal documents such as plans, activity journals, attendance books, and results reports, as well as photos, videos, and student reviews were collected as a supplementary data. The data analysis used broadening and burrowing techniques, and the result was composed of storying and re-storying. Results: The story was described in terms of" "the beginning of a club activity", which consisted of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in the club and prepa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club, "the development of the club activities" divided into student activities and the roles of teacher, and "the end of the club activity". The retelling analy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dance club activity and categorized them as autonomy, a place of social exchange, and improved accessibility to physical activities for girls. Conclusion: The dance club revealed through the teacher"s story is a physical activity that is different from regular subjects or other forms of school sports. Since club activiti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and can have special educational effects, they should be encouraged in school sports, and constan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settle in the school site.

      • KCI등재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체육과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적용 사례 연구

        배명훈(Bae, Myeonghun),채창목(Chae, Changmok),김영식(Kim, Young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이 연구는 직소 모형을 활용한 체육과 거꾸로 교실 적용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23명(남 11, 여 12)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활동 11차시를 구상하여 실행하였다. 수업 촬영, 현장노트, 체육일기, 면담, 수업 결과물을 수집하여 해석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온라인 강의에서는 접근의 편의성, 흥미와 관심 및 참여 의지 고양, 수업이해 및 준비도 상승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실제 수업시간에서는 지식의 확산 과 협력적 의사소통, 인지과정 범위 확장과 고차원 기능 발달 등의 효과를 확인할 수있었다. 결론적으로 거꾸로 교실은 온라인 강의와 협력적 수업 활동을 통해 지식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수ㆍ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flipped classroom connected with jigsawcooperative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Eleven lessons of health activity were planned and the participants were eleven male and twelve female students of 3rd grade. Interpretation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uch as recorded lesson videos, a teacher s and students journals, interviews, students outcom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felt free to access the online lectures. This lead the students to increased levels of interest and engagement and was helpful for understanding of and preparing for the lessons. Second, the knowledge used in the classroom spread rapidly by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and the students applied all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process and developed higher thinking skill. The flipped classroom enables students to apply knowledge by using out-of-class online lectures and collaborative in-class time as well. Therefore, the flipped classroom strategy is a good fit for teaching students of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교 자율 체육 동아리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배명훈 ( Bae Myeong Hun ),김영식 ( Kim Young Si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student-led autonomous physical activity clubs for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area of the 2015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eacher meetings and club activities, public and personal documents,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and students participated in club activities. For data analysis, case record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lub management method was theoretically based on a self-directed learning model. Second,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positive recognition for the operating process that they planed and executed themselves, and gave meaning to experiencing self-dire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 factors of club activities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gener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oriented operation by self-determin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growing as they taught and learn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use of peer teaching. In conclusion, since club activities based on the curriculum were guaranteed relative autonomy compared to physical education, they could achieve sufficient educational effects in many aspects, and could be another effective physical activity model as a complementary role to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 체육 교육에서의 근거기반실천(Evidence-based practice)을 위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배명훈(Bae, Myeong hun),김영식(Kim, Young si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천(evidence-based practice)의 관점에서 초등 체육 교육 관련 실험연구들을 분석해보고 향후 연구 및 현장 체육 수업 실행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와 제안 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주요 체육 관련 학회지를 조사하여 23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 대상, (2) 설계, (3) 독립변인, (4) 종속변인, (5) 측정도구, (6) 결과, (7) 효과크기(ES)를 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많은 수의 논문들이 5~6학년군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모든 연구는 집단 실험 설계 연구를 기본방식으로 하였고 대부분의 연구가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일부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및 혼합 연구 방식의 연구 설계를 택하였다. 둘째, 처치 프로그램은 음악줄넘기, 무용, 구기, 영역통합, 놀이, 보건 프로그램 등이 이용되었고 효과크기를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에서 설정된 종속변인은 인지·심동적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의적 영역에 관한 것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초등 체육 관련 실험연구는 학년 및 영역 간 불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의 후속연구는 다양한 대상 설정, 소외 신체 활동 가치 영역에 대한 관심과 연구 증대, 다양한 측정 도구 개발을 통해 초등 체육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grams in the evidence-based practice point of view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research and practice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wenty three selected studies by searching major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journals in Korea in terms of seven analytical variables: (1) participant, (2) experimental design, (3) treatment variable(program), (4) dependent variable, (5) measurement tool, (6) result, (7) effects size(ES).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the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When it comes to design used in the studies, most of the studies us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some of them use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parallel method design. Second, music jump roping, dance, ball game, traditional activity, and health education were used as teaching programs, and on the average, all the studies had medium effect. Third, many of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ies were about affective domain and some of them were about psychomotor domain and cognitive domain. Conclusion: In conclusion, for further results, following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more with the other grade students. Also,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psycho motor and cognitive domain more and develop tools in order to measure various aspects of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