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관련 요인

        배남규(Bae, Nam-Kyou),송영수(Song, Young-Su),신은숙(Shin, Eun-Sook),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 상태를 평가해 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350명(재가급여 178명, 시설급여 172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1년 2월 16 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재가급여 노인의 IADL과 MMSE-K는 시설급여 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ADL과 CES-D는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ADL, IADL, CES-D 및 MMSE-K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재가 및 시설급여 이용노인 모 두 ADL은 IADL 및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CES-D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IADL은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CES-D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재가 및 시설 급여 이용 노인 모두 ADL과 IADL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건망증 증상 유무, 규칙적 운동 및 MMSE-K가 선정되었다. 또한 CES-D와 MMSE-K는 주관적 건강상태, 건망증 증상 유무 및 IADL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은 개인의 건강상 태나 건강관련행위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and to reveal its association with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received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16, to March 31, 2011, to 350 elderlies admitted long-term care insurance dwelling in Daejeon city and Chungchung provinces. As a results, the levels of IADL and MMSE-K in the elderly received home care insurance servic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received facility care insurance services. But the levels of ADL and CES-D was not significant. Concerning correlation of ADL, IADL, CES-D and MMSE-K, the level of AD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IADL and MMSE-K, where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CES-D. IAD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MMSE-K, where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CES-D. As a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of influence with the level of ADL and IADL were selected the variables of amnesia, regular exercise and MMSE-K. The factors of influence the level of CES-D and MMSE-K were selected the variable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mnesia and IADL. AS a above results, the level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in the elderly people received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implies closely related with th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 KCI등재

        건강검진 수검자의 최근 10년(1997~2007)간 비만 유병률의 변화양상 및 관련요인

        배남규(Bae, Nam-Kyou),김광환(Kim, Kwang-Hwan),권인선(Kwon, In-Sun),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는 일반인구집단의 특성을 대표성 있게 반영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여 1997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에 걸쳐 2년에 1회씩 총 6회 건강검진을 받은 5,420명(남성 4,556명, 여성 86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만 유병률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 요인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지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최근 10년(1997~2007) 간의 비만 유병률은 최초년도(1997)에 20.9%에서 최종년도(2007)에는 31.9%로 11.0%포인트 증가하였으며, 여기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건강관련행위 및 식습관 등 여러 요인이 관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hange of prevalence rate of obesity, also to know the relevant factors for 10 years in korean adults, which targets on the 5,420(4,556 men and 864 women) people who had undergone one biennial medical health check-up throug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rom 1997 to 2007. As a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obesity increased 11.0% point from 20.9% in the initial year( 1997) to 31.9% in the final year(2007) for the recent decades and this is related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and eating habits.

      • KCI등재

        장기요양 인정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 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

        김형선,배남규,권인선,조영채,Kim, Hyeong-Seon,Bae, Nam-Kyou,Kwon, In-Sun,Cho, Young-Chae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quality of life (QOL) according to the grade of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people who wer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o reveal its association with the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such as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th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nd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Methods: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 to May 31, 2009, for 958 elderly people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various indices such as the ADL, IADL, CES-D, and MMSE-K,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x of QOL, as the dependent ones.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s were used for the mean scores of QOL according to gender and the grade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Spearman's correlation was used for each variable. 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for QOL were assesse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The mean scores of QOL among all the subjects was $55.4{\pm}15.62$ (Grade I: $49.7{\pm}14.17$, Grade II: $56.8{\pm}14.62$, Grade III: $59.4{\pm}16.36$), and it was lower according to the higher grade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QOL and the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factors, the Q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DL, IADL and MMSE-K, while i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On the analysis of covariance, mental functioning (depression and the MMSE-K)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level of QOL than the physical functioning (ADL and IADL). Conclusions: The level of the QOL in the elderly people who wer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was lower according to higher the grade of long-term care insurance. Also, the mental functioning (depression and MMSE-K) was more influential on the level of the QOL than the physical functioning (ADL and IADL).

      • KCI등재

        우리나라 70세 이상 고령자의 연령대별 대사증후군의 분포 및 관련요인

        송영수(Song, Young-Su),배남규(Bae, Nam-Kyou),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70세 이상 고령자들의 연령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별 대사증후군의 분포를 비교해 보고자 2011~2014년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을 받았던 70세 이상 고령자 1,756명(남성 872명, 여성 884명)을 대 상으로 대사증후군과 관련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사증후군이 나타날 위험 비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혼자 사는 군보다 가족과 함께 사는 군에서, 가정의 경제상태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정상체중 군보다 비만군에서, 뇌졸중 과거력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유 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사대상자들의 대사증후군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 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age groups among the elderly people to reveal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related factors. The survey in 2011∼2014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under regular medical check-ups, which received a recognition survey targeted 1,756 people aged over 70.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on the relation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As a result, the risk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significantly in females than in males, living with a family than living alone, high economic status than in the low group, obese than in the normal weight group, have a history of stroke group than the no history group, smo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 group, and drinking group than the non-drinking group. The distribution of metabolic syndrome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 KCI등재

        고혈압 사례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혈압수준의 경시적 변화

        정형태(Jung, Hyung-Tae),배남규(Bae, Nam-Kyou),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고혈압 사례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 및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간은 2007년 5월 1일부터 2007년 6월 30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고혈압 사례관리 프로그램 참여자 250명(남성 101명, 여성 149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사례관리 1회 실시군(Group Ⅰ)과 사례관리 2회 실시군(Group Ⅱ)으로 구분하여 사례관리 실시 직전, 실시 직후, 6개월 및 12개월 후의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 및 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고혈압 사례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 의 혈압치는 사례관리 실시 직전에 비해 실시 직후에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6개월과 12개월 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사례관리 1회 실시군(Group Ⅰ)에 비해 사례관리 2회 실시군(Group Ⅱ)에서 사례관리 프로그램 의 중재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by case management program and durability of the effect, which targeted on the 250(101 men and 149 women) people who had undergone hypertensive patients case management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rom May 1. 2007 to June 30. 2007.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and durability, the study was examined just before the case management, right after case management, after 6 months and after 12 months through classifying case management 1(Group Ⅰ) and case management 2(Group Ⅱ).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blood pressure level in the hypertensive patients case management improved just after the case management compare to just before one. but it had a tendency to increase once more after 6 months and 12 months case manag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o maintain the effect by the case management in Group Ⅱ compare to Group Ⅰ.

      • KCI등재후보

        일부 사무직 공무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에 관련된 요인

        조광희(Kwang-Hee Cho),배남규(Nam-Kyou Bae),박정아(Jung-Ah Park),조영채(Young-Chae Cho)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3 No.1

        본 연구는 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피로수준을 파악하며, 이에 관여하는 제 특성을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에 소 재하고 있는 정부 공공기관의 일반 사무직 행정공무원 1,0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은 조사대상자의 인 구사회학적 및 직업관련 특성, 건강관련행위, 업무요구도, 업무자율성, 직장의 사회적지지, 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자기존중감, 사회심리적 스 트레스 수준, 피로수준 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피로수준을 종속변수로, 기타 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단변량 분 석 및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직급, 근무경력 등의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건강관련행위의 실천 여 부,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직장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와 같은 직무내용 및 인성(A형 행동유형,통제신념)이나 자기 존중감 등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무원들의 스트레스나 피로를 감소시키기기 위해서는 직무내용의 개선 및 인성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We evaluated the level of psychosocial stresses and fatigue symptom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and its related factors. Method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between Dec. 5th, 2005 and Jan. 31st, 2006, to 1,005 individuals in the service of general administration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items included subjects" socio-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 degree of job demand, job autonomy, social support in work, type A behavior pattern, locus of control, sense of self-esteem, psychosocial distress and degree of fatigue. Result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tress or fatigue is so complicatedly influenced by variable factors as well as job-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nk in work, or job career, to a greater extent, by job specifications and personality traits(type A) like whether performing health-related behavior or not, job demand, job autonomy, social support in work, or sense of self-esteem. Conclusions: Thus the effective strategy for psychosocial distress and fatigue symptoms reduction among governmental employees requires additional programs focusing on innovated job specifications and managed personality trait.

      • KCI등재

        국민건강보험공단 사례관리 사업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미치는 효과

        송영수(Song, Young-Su),배남규(Bae, Nam-Kyou),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당뇨병 사례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 및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간은 2007년 5월 1일부터 2007년 6월 30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당뇨병 사례관리 프로그램 참여자 115명(남성 51명, 여성 6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사례관리 1회 실 시군(Group Ⅰ)과 사례관리 2회 실시군(Group Ⅱ)으로 구분하여 사례관리 실시 직전, 실시 직후, 6개월 및 12개월 후 의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중재효과 및 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 사례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혈당치는 사례관리 실시 직전에 비해 실시 직후에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6개월과 12개월 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 또한 사례관리 1회 실시군(Group Ⅰ)에 비해 사례관리 2회 실시군(Group Ⅱ)에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by case management and durability of the effect, which targeted on the 115(51 men and 64 women) people who had undergone diabetes case management throug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rom May 1. 2007 to June 30. 2007.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and durability, the study was examined just before the case management, right after case management, after 6 months and after 12 months through classifying case management 1(Group Ⅰ) and case management 2(Group Ⅱ).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blood glucose level in the diabetes case management improved just after the case management compare to just before one. but it had a tendency to increase once more after 6 months and 12 months case manag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o maintain the effect by the case management in Group Ⅱ compare to Group Ⅰ.

      • KCI등재

        우리나라 고령자의 연령에 따른 신체적 기능(ADL, IADL)과 관련요인

        송영수(Song, Young-Su),배남규(Bae, Nam-Kyou),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들을 연령대별로 70대군, 80대군, 90대군 및 100세 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ADL과 IADL수준을 비교해 보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09~2012년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수검 및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았던 70세 이상 고령자 1,756명(남성 872명, 여성 884명)이었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자의 연령대별 ADL과 IADL기능장애군의 분포는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ADL에 대한 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각 연령대별로 큰 차이 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농촌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정상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서, 뇌졸중 과거력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 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IADL에 대한 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각 연령대별로 큰 차이 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정상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 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자들의 ADL 과 IADL 수준이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에서 ADL과 IADL 수준이 저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hysical function (ADL, IADL) and to reveal its association with the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The study subjects were 1,756 (male 872, female 884) people aged over 70 who received medical check-ups and long-term care services between 2009 and 2012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impaired ADL and IADL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risk ratio of impaired AD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ollowing groups: female, urban, low weight, stroke history group,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not regular exercise group. The risk ratio of an impaired IADL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emales, low weight, smoking, alcohol drinking. On the other hand the risk ratio of an impaired ADL and IADL was similar in each age group. As above results, the levels of ADL and IADL in the study subje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In particular, they suggested that the levels of ADL and IADL were lower in the poor group of the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regular exercise.

      • KCI등재후보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관련요인

        이종천(Jong-Cheon Lee),박정아(Jung-Ah Park),배남규(Nam-Kyou Bae),조영채(Young-Chae Cho)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3 No.2

        본 연구는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망과 사회활동 등에 따른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의 중재변수로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존중감, 상태불안, 대인의존형행동특성 및 통제신념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이 우울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그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도시지역 노인 396명(남자 182명, 여자 214명), 농촌지역 노인 394명(남자 174명, 여자 220명), 합계 790명(남자 356명, 여자 434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07년 4월 1일부터 6월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CES-D에 의한 우울수준 평균점수는 16.65±10.97점이었으며, 도시지역 노인이 18.81±10.31점, 농촌지역 노인이 14.49±11.20점으로 도시지역노인에서 더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우울수준 평균점수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65-74세군보다 75세 이상 군에서, 학력이 낮은 군일수록, 직업이 없는 군에서, 배우자가 없는 군에서, 혼자 사는 군에서, 월수입이 낮은 군일수록, 생활비를 자녀가 조달하거나 정부보조를 받는다는 군에서, 일상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관련행위 특성별 평균 우울점수는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에서, 흡연 군에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군에서, 규칙적인 식사를 하지않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상태별 평균 우울점수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 신체적인 부자유스러움이 있다는 군에서, 눈의 부자유스러움(잘 안 보임)이 있다는 군에서, 귀의 부자유스러움(잘 안 들림)이 있다는 군에서, 치아의 부자유스러움(음식물 씹기 어려움)이 있다는 군에서, 요실금이 있다는 군에서, 건망증이 있다는 군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도움이 필요하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지지망과 사회활동특성별평균 우울점수는 자녀수가 적을수록, 친구 수가 적을수록, 친구와의 접촉빈도가 낮을수록, 친척수가 적을수록, 외출 빈도가 낮을수록, 취미활동의 빈도가 낮을수록, 사회봉사활동의 빈도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의한 조사대상 노인들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심리적 요인을 독립적으로 회귀모델에 투입하였을 경우 이들의 설명력은 73.2%로 매우 높았으나 그 밖에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사회적 지지망과 사회활동특성 등의 변수들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경우에는 설명력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회심리적 요인이 우울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의 우울수준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모색과 사회심리적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depression symptoms among the community elderlies and to reveal its related factors, specifically aimed at revealing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net-work, sense of self-esteem, state anxiety, interpersonal behavior trait and locus of control. Methods: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07 to the 790 elderlies in urban and rural areas. Results: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CES-D) among all subjects were 16.65±10.97(urban: 18.81±10.31, rural: 14.49±11.20) and they were higher in urban than rural. The level of depression symptoms was influenced by the variables of educational level, with or without spouse, bear for living expenses, sense of satisfaction in daily life. As for health related behaviors, they were influenced by the variables of with or without regular exercise. As for health status, they were influenced by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ith or without disability of body, visual acuity, hearing ability, ability of food mastication, urinary incontinence, with or without help in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As for social support net-work and social activities, they were influenced by number of offspring, frequency of offspring contents, frequency of going out and activity of hobbies. As for psycho-social factors, they were influenced by sense of self-esteem, state anxiety and social support, especially, the level of depression symptoms was higher influenced by the variables of psycho-social factors than other variables. Conclusions: Lower of the level of depression symptoms among the community elderlies would requir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o keep under management psycho-social factors as well as looking for ways to promoting the present health status.

      • KCI등재후보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윤현숙(Hyun-Suk Yoon),권인선(In-Sun Kwon),배남규(Nam-Kyou Bae),조영채(Young-Chae Cho)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1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요실금의 출현빈도를 조사하고 요실금과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2007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간에 충청남도의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46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요실금 경험률을 보면「매일 실금」이 9.5%,「가끔 실금」이 35.5%로 요실금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이 45.0%이었다. 성별로는 남자(29.8%)보다 여자(58.5%)에서, 연령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교육수준이 높은군보다 낮은 군에서, 월수입이 높은 군보다 낮은군에서 요실금 경험률이 높았다. 일상생활습관별 요실금 경험률은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음주군보다 비음주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요실금 경험률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에서, 건강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는다는 군보다 한다는 군에서, 신체부 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건망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ADL과 IADL별로는 도움이 필요 없다는 군보다 도움이 필요하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요실금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성별, 연령, 흡연습관, 건강에 대한 걱정유무, 신체부자유 유무, 건건망증 유무, I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농촌지역 노인들의 요실금 출현빈도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고연령일수록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상생활습관이나 주관적 및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을수록 요실금 출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따른 노인들의 적절한 건강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the rural elderly people and its related factors. Methods: Informations have been obtained through interviews from the 464 rural residents of advanced age over 65 years on September 1st through November 30th, 2007, in Chungnam Province. Results: As for the rate of experiencing urinary incontinence, the group with the experience rate of 「every day」were 9.5% and 「occasionally」35.5%, with the total of 45.0%. The higher rates of urinary incontinence were in the elderly women(58.5%) than in the elderly men (29.8%), in the more advanced in age, in the higher educated, and in the groups with higher monthly income. Based on life styles, the rate of experiencing urinary incontin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moking groups and non-drinking groups. Based on subjective senses of health, it was mo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groups who reported that they were not healthy, that they concerned themselves about health, that they had physical disability, that they had forgetfulness, and they needed assistance in terms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than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By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ex, age, smoking status, anxiety, physical disability, amnesia, and IADL was indicated the affecting factors to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reveal that the rat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higher in the elderly women than the elderly men, and in more advanced age. Moreover, its rate increases in the groups with undesirable life styles or lower senses of subjective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It is highly suggested that efforts to manage urinary incontinence of the elderly need to be narrowed to the more advanced, especially those with lower standards of health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