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에 문제가 있는 자폐스펙트럼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김보경,박신희,방현선,천송희,한재화,전병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8 No.4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에 문제가 있는 자폐스펙트럼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 향을 전산화신경인지검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전광역시의 주간보호센터에 있는 만 10세와 12세의 자폐스펙트럼아동을 2명을 대상으로 회기 당 30 분씩 총 13회의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AB 단일실험연구를 사용하였고, 주의집중력의 변화는 치료 전, 중, 후 3회에 걸쳐 전산화신경인지 검사를 통하여 지속 및 선택적 주의집중력을 측정하였다. 모든 치료 회 기 동안 선택적 주의집중을 확인하기 위해서 별지우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회기별 변화정도를 시각적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 별 지우기 검사와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통하여 감각통합치료 후 주의 집중력을 측정하였을 때, 전 반적으로 주의 집중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 감각통합치료가 자폐스펙트럼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작업치료 임 상에서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하여 감각통합치료가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영화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의 포스트80 세대 표상 분석 :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劉東方(Liu, Dong-Fang),文炫善(Moon, Hyoun-Sun)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1 No.-

        포스트80 세대의 문화적 특징은 자기표현에 거침이 없으며 전통적인 교육 체제 및 모델의 구속을 깨뜨리는 반항적 풍격에 있다고 이야기된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은 이후 점차 거대한 담론의 장으로 확장되었으며, ‘반항’과 ‘반주류’라는 포스트80 세대의 키워드를 도출해냈다. 홍콩 출신 감독 쩡궈샹(曾國祥) 감독의 영화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는 중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소설가 안니 바오베이(安妮寶貝)의 몇몇 중단편을 저본으로 삼아 제작되었으며, 포스트80 세대의 청춘기에 대한 매우 성공적인 집단 기억의 낭만적 서술로서 인정받은 바 있다. 본고는 영화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가 완전히 상반되는 성격과 사고방식, 행동양식을 지닌 두 주인공을 내세워, 이들이 서로의 동질성과 차이성을 인식하면서 포스트80 주체로 탄생하는 과정을 그려내는 일종의 성장담이라는 점에 착안해 라캉의 정신분석학 개념들을 도입해 영화의 표상들을 분석하고, 이 표상들이 환기하는 포스트80 세대와 그 세대가 위치하는 중국사회의 문화적 특징을 확인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영화 속의 주인공인 칠월은 라캉의 정의에 따라, 개혁개방 이후 급성장한 포스트80 세대의 일원으로서 중국 사회의 경제적 혜택을 누리고 주어진 목표를 충실히 이행하며 살아가지만, 이처럼 외부로부터 주어진 자아의 지향이 진정한 자기의 내적 추구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전통적인 사회 질서 및 통념, 가치관과 결별한 뒤 스스로의 개인적 욕구의 충족을 위한 새로운 삶을 기획하고 실행에 옮긴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실천은 종종 현실의 장벽에 부딪히며, 오직 환상을 통해서만 온전히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포스트80 세대의 우울감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It is said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ost-80 generation are in the rebellious wind that is outspoken in self-expression and breaks the restraints of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s and models. These cultural features gradually expanded to the stage of a huge discourse later on, drawing out the keywords of the post-80 generation, ‘rebellion’ and ‘anti-mainstream’. The Hong Kong-born director Zeng Guo-Xiang’s film <Soulmate> was produced based on several short stories from China’s leading Internet novelist Anni Baobei and was recognized as a romantic narrative of a very successful collective memory of the youth of the post-80 gener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movie Soulmate is a kind of growth story that depicts the process of being born as a post-80 subject while recognizing the homogeneity and differences of each other, through the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concepts to analyze the movie’s representation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t-80 generation and the Chinese society in which these images are evoked. In accordance with Lacan’s definition, the main character in the film, Qi-Yue(七月) enjoys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rapidly growing Chinese society since its reform and opening, and lives faithfully fulfilling the given goals, but realizes that the self-oriented direction given from outside does not match the true inner pursuit of self, and plans and practices a new life to meet one’s personal needs after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social order, conventional ideas and values. In fact, however, these practices often run into barriers to reality, and are also a source of depression for the post-80 generation, given that they can only be carried out intact through illusions.

      • KCI등재

        중국 전통미학의 관점에서 본 천카이거(陳凱歌) 영화: <요묘전(妖猫傳): 레전드 오브 더 데몬 캣>(2018)의 ‘응시’가 그려내는 ‘진환(眞幻)’

        유동,현선 한국영상문화학회 2019 영상문화 Vol.0 No.34

        Director Chen Kai-Ge(陳凱歌)'s latest film, “Legend of the Daemon Cat” (2018), which has shown exceptional ability to exhibit the beauty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n a cinematic manner, is a tangible. With the spectacle that mixes reality and fantasy, he successfully reproduced a scene of the history of Tae-Pyeong-Sung-Dae(太平聖代) in Chang'an(長安), the capital of Tang(唐) Dynasty, which boasted the most brilliant culture in Chinese history. In other word, the ‘invisible’ literary imagination was reborn as a ‘visible’ cinematic representation. This paper considered such aesthetic pursuits as “Jin-Huan(眞幻)” theories of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and tried to explain them through “gaze,” a major concept of video symbolism. The attempt this time is will be an analysis of movie text through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and also an attempt to analyze it by image symbol concept. Through this methodology, the texts of “Legend of the Daemon Cat” can be decipher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n gaze of truth-seeking, gaze of power-seeking, gaze of the human touch, and the count gaze.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identify that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eyes and the gaze, potential for resistance to “domination” were drivers that caused the intersection and transformation of “truth” in fiction, “false” in actuality, and “true pursuit” in dreams.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eaching jobs of “Jin” and “Hwan” is one example that confirms the premise of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which is the true aesthetic landscape of artistic beauty. 전통적인 중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영화적으로 전시하는 데 탁월한 역량 을보여온천카이거감독의최신작<요묘전: 레전드오브더데몬캣(妖 猫傳, Legend of the Demon Cat)>(2018)은 추리극의 형식을 띤 고장현 환(古裝玄幻) 블록버스터 무비로서 허구와 실제, 현실과 환상을 뒤섞는 스 펙터클을 앞세워 중국 역사상 가장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던 당나라의 수 도 장안과 성당(盛唐)의 태평성대(太平聖代)라는 역사의 한 장면을 시각적 으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보이지 않았던’ 문학적 상상이 ‘눈에 보이는’ 영화적 표상으로 살아난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허실상생(虛實相生)과 기관(奇觀)이 추구하는 미학적 경지를 중국 전통미학의 ‘진환(眞幻)’ 이론으로 고찰하고, 이를 영상기호학 의 주요 개념인 ‘응시(gaze)’를 통해 해명하고자 했다. 이는 중국의 전통 미학을 통한 영화 텍스트의 분석인 동시에 영상기호 개념에 의한 중국 전 통미학의 이해를 위한 학술적 시도라 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요묘전>의 텍스트는 진실을 추구하는 응시, 권력을 추구하는 응시, 인정 을 추구하는 응시, 역응시의 서로 다른 관점에서 해독되었으며, 연구자는 그 시선의 교차와 ‘응시’의 저항 가능성이 허구(幻) 속의 사실(眞), 현실 (眞) 속의 거짓(幻), 환상(幻) 속의 진실(眞), 꿈(幻) 속의 진정한 추구(眞) 등 ‘진’과 ‘환’의 교차와 변환을 일으키는 동인이라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 다. 또한 이러한 작업은 ‘진’과 ‘환’의 교직이야말로 예술적 아름다움의 진 정한 미학적 경지라는 중국 전통미학의 전제를 확인시켜주는 하나의 사례 라는 사실을 재인시켜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