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족보를 통해 본 최양업 신부 가문의 몇 가지 문제

        방상근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3 교회사학 Vol.- No.23

        최양업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의 두 번째 방인(邦人) 사제로, 2016년 4월에 ‘가경자(可敬者)’로 선포된 인물이다. 최 신부는 시복 대상자가 될 정도로 한국교회에서의 위상이 매우 높다. 그리고 그러한 위상에 걸맞게 그에 대한 연구도 일찍부터 진행되어, 다양한 주제의 연구 성과들이 나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최양업 신부의 가계, 특히 최한일(최양업의 증조) 이전의 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물론 최한일 이전 세대는 천주교와 무관하다. 그렇지만 이들에 대한 족보 기록은 기존에 불명확했던 사항들을 설명할 수 있는 단서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에 필자는 족보를 활용하여 최양업 가문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즉 “최양업 집안이 서울에 정착한 시기, 청양으로 이주한 이유, 김화(金化, 즉 금성) 지역과의 관계, 이 가문에서 처음으로 신자가 된 최한일의 입교 과정과 양자설(養子說), 최양업 가문의 신분” 등에 대해 새롭게 정리해 보았다. 이 중에서 특히 최양업 가문의 신분이 서족(庶族)임을 밝힌 것은 이 글의 커다란 성과라고 하겠다. Father Choi Yang-eop is the second native priest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in April 2016, he was declared a “venerable.” Father Choi has a very high status in the Korean church to the extent that he is subject to beatification. And, befitting its status, research on it has been conducted from an early stage, and research results on various topic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few studies have analyzed Father Choi Yang-eop's family lineage so far. In this situation, the author uses genealogy to investigate several issues related to Father Choi Yang-eop's family, namely, when Father Choi Yang-eop's family settled in Seoul, the relationship with Kimhwa, why they moved to Cheongyang, and how Choi Han-il gained faith. and the status of the Choi Yang-eop family also was newly revealed. Among these, especiall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great achievement of this article to reveal that the family of Choi Yang-eop was a Seojog(庶族).

      • KCI등재

        개화기 프랑스 선교사들의 정착과 한국 인식

        방상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8 No.-

        Since their return to Korea in 1876, French missionaries, in efforts to reconstruct a Christian community, had engaged in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cultivating catechist, offering free funeral services and running orphanage, nursing home, pharmacy and even schools. Their outreach effor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local communities and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number of Catholics in Korea. In the meantime, the French missionaries were able to settle down in the country. They carried out their missionary work based on the Korea-France Treaty’s provisions for consular jurisdiction and the protection of foreigners and with support from the French Minister to Korea. As a result, they came to have considerable influence and better status especially in rural communities. Furthermore, the exoneration of Nam Jong-sang and Hong Bong-ju in January 1895 and the audience of Bishop Mutel with King Gojong in August of the same year constituted important backgrounds for missionaries to settle down in a local community. Meanwhile, those missionaries who settled in Korea during its Enlightenment Period treated Korean people and their culture with a Western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and recognized the Japanese rule of Korea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country was politically corrupt and backward, ignoring the issue of Korean independence. The missionaries took a pro-regime position in order to have freedom of religion guaranteed, although they were well aware of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who had suffered exploitation and had a understanding of what Japan’s invasion did mean. Consequently, they supported the Joseon Dynasty’s regime while it was in place and accepted the Japanese rule after the forced Eulsa Treaty concluded in 1905. In conclusion, the freedom of religion and doubts about Korea’s ability to achieve independence constituted a main reason why the French missionaries ignored Korea’s national issue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however, the way that they looked at Korean problems as Frenchmen can be said to have underlain such perceptions. 이 논문은 1876년부터 1910년 사이,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국 정착과 한국에 대한 인식 문제를 살펴본 글이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재입국한 1876년 이후 신자공동체를 재건하는 한편, 전교회장을 양성하고, 고아원, 양로원, 시약소, 무료 장례 등의 활동을 전개했으며, 학교도 운영하였다. 선교사들의 이러한 활동은 당시 천주교의 인상을 좋게 하고 외교인들을 감화시켜 신자수를 증가시켰고, 천주교가 지역 사회와 소통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가운데 선교사들의 정착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다음으로 선교사들은 조불조약의 ‘영사재판권, 외국인 보호’ 조항과 프랑스 공사의 후원을 토대로 선교 활동을 전개했다. 그 결과 이들은 양대인으로 호칭될 정도로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이 커졌고, 이러한 선교사들의지위 향상은 교세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1895년 1월에 있었던 남종삼과 홍봉주의 신원 조치와 8월에있었던 뮈텔(Mutel) 주교의 고종 알현도 선교에 영향을 미쳤다. 역적으로 취급되던 신자들이 신원되고, 사교라고 탄압받던 천주교의 책임자가 국왕을 만났다는 것은 선교사들이 지역 사회에 정착할 수 있는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한편 개화기 한국 사회에 정착했던 선교사들은 서구문화 우월의식에 입각하여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평가했고, 한국이 정치적으로 부패하고 낙후되었다는 인식 아래 일본의 한국 지배를 인정하고 한국의 독립 문제를 외면했다. 선교사들은 착취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고, 일제의 침략이 의미하는 바도 이해하고 있었지만,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해 체제옹호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그리하여 조선 왕조가 유지될 때에는 왕조 체제를 옹호했고, 1905년 이후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아들였다. 결국 종교의 자유, 한국의 독립 능력에 대한 회의가, 개화기 프랑스 선교사들이 한국의 민족 문제를 외면한이유지만, 이러한 인식의 기저에는 프랑스인으로서 한국 문제를 바라보는 타자의 입장이 깔려있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박해시기 조선 천주교회의 배교자와 회심자

        방상근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9 敎會史硏究 Vol.0 No.55

        Since its founding in 1784,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has been maintained and developed in repetition of persecu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Church. Among the believers who rebuilt and developed the church at this time were martyrs, apostates, repentants. However, the apostat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Korean Catholic research. In the 1990s, however, apologists became part of Korean church history, and the understanding that Korean church history is necessary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Korean church history has emerged. This article also summarizes the content of the apostate and the repenter under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Catholic believers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more than 50% of the arrested became apostates, and the main apostasy reason for apostates was the lack of conviction of the God and doctrine. And the repenter chose martyrdom according to ‘logic of martyrdom’ after restoring faithfulness by self awareness and the counsel of acquaintances. ‘The logic of martyrdom’ refers to the conviction of the existence of God, the recognition that the world is a place to stay for a while, the firm belief in the Eternal Happiness of Heaven and the Eternal punishment of hell. The Church imposed certain penance on these repenters, and the penance rules were different from time to ti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Sichuan Synod Order(1822), the Pastoral letter of the Berneux Bishop(1858), and the Customary of the Korea Mission(1887). The rule of 1858 was the strictest. Perhaps it is because of the different situations in which the church is based. 한국 천주교회는 1784년에 설립된 이래, 박해와 교회의 재건을 반복하는 가운데 유지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 시기 교회를 재건하며 발전시킨 신자들 중에는 순교자도 있고, 배교자도 있으며, 배교했다가 회심한 신자들도 있었다. 그러나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에서 배교자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어 배교자도 한국 교회사의 일부이고, 한국 교회사의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하게 되었다. 이 글 역시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박해시기 배교자와 회심자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 본 것이다. 박해시기 천주교 신자들은 체포자의 50% 이상이 배교를 하였고, 배교자들의 주된 배교 이유는 천주와 교리에 대한 확신의 부족에 있었다. 그리고 회심자는 스스로의 자각과 지인들의 권면으로 신덕을 회복한 후 ‘순교의 논리’에 따라 순교를 선택했다. ‘순교의 논리’란 천주의 존재에 대한 확신, 현세는 잠시 머무는 곳이라는 인식, 상선벌악에 따른 천당의 영복(永福)과 지옥의 영벌(永罰)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말한다. 교회는 이러한 회심자들에 대해 일정한 보속을 부과했고, 보속 규정은 시기에 따라 달랐다. 「사천 시노드 교령」(1822), 「베르뇌 주교의 사목서한」(1858), 『조선교회 관례집』(1887)의 내용에 차이가 있으며, 1858년의 규정이 가장 엄격했다. 아마도 교회가 처한 상황에 따라 보속 규정이 다르게 적용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병인박해기의 순교자와 체포자

        방상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866년에 시작된 병인박해는 1873년 흥선대원군이 정권에서 물러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했는데, 달레(Dallet)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사』에서 1870년까지 ‘8천 명’이 순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를 근거로 병인박해기에는 8천 명 이상의 신자가 순교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8천 명 순교설’은 지금까지 학술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필자는 ‘8천 명 순교설’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당시에 체포된 신자 수와 순교자 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몇 가지 특징들도 정리해 보았다. 필자는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8천 명 순교설’은 근거가 없음을 밝혔다. 이 설은 리델(Ridel) 신부가 1869년에 이미 들었던 풍문이며, 원래의 내용은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이 설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보다는 오히려 ‘1868년 9월 이전에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칼레(Calais) 신부의 서한 내용이 좀 더 신빙성이 있다. 둘째, 1868년 9월 이전의 순교자를 기준으로 병인박해기의 체포자 수를 추정해 보았다. 즉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내용과 ‘76.3(50.0)%로 추정되는 당시의 순교율’을 연계해서 최대 4,471명의 체포자를 산출하였다. 셋째, 관변 자료와 교회 자료에서 1,891명의 체포자를 찾아냈고, 이를 통해 병인박해기 체포자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① 시기적으로는 1868년>1866년>1867년>1871년 순으로 체포자가 많았고, 지역적으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신자들이 많이 체포되었다. ② 남성 신자가 여성 신자 보다 3배 정도 많이 체포되었으며, 남성 신자는 1866년에, 여성 신자는 1868년에 가장 많이 체포되었다. ③ 체포된 숫자는 남성 신자가 많지만, 남성 신자에 비해 여성 신자의 순교율이 높고, 배교율이 낮았다. ④ 지역별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순교자가 많았고, 지역과 시기를 연계했을 때에는 ‘1868년 충청도>1866년 충청도>1868년 서울>1866년 서울’ 순으로 순교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그리고 남자는 ‘1866년 충청도’, 여자는 ‘1868년 충청도’에서 가장 많은 순교자가 나왔다.

      • KCI등재

        병인박해기의 순교자와 체포자

        방상근(方相根)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866년에 시작된 병인박해는 1873년 흥선대원군이 정권에서 물러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했는데, 달레(Dallet)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사』에서 1870년까지 ‘8천 명’이 순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를 근거로 병인박해기에는 8천 명 이상의 신자가 순교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8천 명 순교설’은 지금까지 학술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필자는 ‘8천 명 순교설’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당시에 체포된 신자 수와 순교자 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몇 가지 특징들도 정리해 보았다. 필자는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8천 명 순교설’은 근거가 없음을 밝혔다. 이 설은 리델(Ridel) 신부가 1869년에 이미 들었던 풍문이며, 원래의 내용은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이 설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보다는 오히려 ‘1868년 9월 이전에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칼레(Calais) 신부의 서한 내용이 좀더 신빙성이 있다. 둘째, 1868년 9월 이전의 순교자를 기준으로 병인박해기의 체포자 수를 추정해 보았다. 즉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내용과 ‘76.3(50.0)%로 추정되는 당시의 순교율’을 연계해서 최대 4,471명의 체포자를 산출하였다. 셋째, 관변 자료와 교회 자료에서 1,891명의 체포자를 찾아냈고, 이를 통해 병인박해기 체포자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① 시기적으로는 1868년>1866년>1867년>1871년 순으로 체포자가 많았고, 지역적으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신자들이 많이 체포되었다. ② 남성 신자가 여성 신자 보다 3배 정도 많이 체포되었으며, 남성 신자는 1866년에, 여성 신자는 1868년에 가장 많이 체포되었다. ③ 체포된 숫자는 남성 신자가 많지만, 남성 신자에 비해 여성 신자의 순교율이 높고, 배교율이 낮았다. ④ 지역별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순교자가 많았고, 지역과 시기를 연계했을 때에는 ‘1868년 충청도>1866년 충청도>1868년 서울>1866년 서울’ 순으로 순교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그리고 남자는 ‘1866년 충청도’, 여자는 ‘1868년 충청도’에서 가장 많은 순교자가 나왔다.

      • KCI등재

        동서분당과 선조의 리더십: 당쟁의 기원에 관한 재해석

        방상근 한국정치사상학회 2019 정치사상연구 Vol.25 No.1

        Because Seonjo(宣祖) became king from collateral line for the first time in Joseon dynasty, the legitimacy of his throne was weak. However, he was able to maintain the throne for a long time because he made appropriate use of East-West party division and confrontation. The pre-Seonjo kings, such as Taejong(太宗) and Sejo(世祖), did not show any willingness to strengthen their power and maintain state control by taking advantage of the confrontation. They did not allow any antagonism among the subject(臣), based on the view that the monarch and the subject were one body. On the other hand, Seonjo supported the East and West party at the same time to make the confrontation worse. With the king lacking the will for reform and not presenting national vision or principles of reform, the confrontation and partisan conflict became severe and entrenched. Seonjo did not mediate or coordinat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as Seongjong(成宗) did. Nor did he seek political compromise with one party as Jungjong(中宗) did. If he had presented clear political vision and principle in the beginning of the East-West division and adjusted confrontation, the personal grudge between Sim Uigyeom(沈義謙)and Kim Hyowon (金孝元) would not have resulted in the lethal partisan strife. Another point to note here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partisan strife is the fact that Seonjo did not punish the leaders of both parties according to the criminal law. Rather he declared himself as a member of the West Party, namely "Yi Yi(李珥) and Seong Hun(成渾)'s party." He utilized the partisan strife for his political purposes. As the result, he invalidated the criminal law punishing the formation of political party, and paved the way for the politics of partisan strife in a political practice. 선조는 조선왕조에서 처음으로 방계(傍系)에서 왕이 되었던 만큼, 즉위 직후의 왕권의 정당성은 취약했다. 그런 그가 오랫동안 왕위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신세력으로 등장한 사림 내부의 분열과 대립을 적절하기 이용했기 때문이었다. 선조 이전의 국왕들은 신하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을 이용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국정주도권을 유지해야겠다는 의지나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군주와 신하가 한 몸이자 통치의 주체라는 ‘군신공치(君臣共治)’의 관점에서 입각하여 신하들 간의 반목을 허용하지 않았다. 반면에 선조는 때로는 동인을, 때로는 서인을 지지하며 대립을 이용했다. 국왕이 개혁의지가 부족하고 명확한 국정목표나 개혁의 원칙을 제시하지 않는상태에서, 신하들의 대립을 이용하여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고자 할 때, 신하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은 깊어지고 고착화되어갔다. 선조는 성종처럼 교화라는 정치비전을 목표로 내걸고 서로 대립하는 세력을 중재하지 않았다. 또한 조광조 일파의 희생을 바탕으로 훈구세력과 정치적 타협을 시도했던 중종처럼 어느 한쪽 세력에 힘을 실어주지도 않았다. 만약 그가 동서분당 초기에 명확한 정치비전과 원칙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신하들 간의 대립을 조정하였다면, 심의겸과 김효원 사이의 개인적 원한이 당쟁으로 귀결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당쟁의 기원 혹은 분당의 고착화와 관련하여 주목해야할 또 다른 점은 동인과 서인이 당파를 형성하여 전개된 투쟁국면에서 선조가 각 당파를 《대명률》에 따라 처벌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도리어 ‘이이· 성혼의 당’이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당파를 처벌하기보다는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당파를 이용한 것이다. 그 결과 당파의 형성을 죄악시하고 처벌하는 법 규정을 사문화(死文化)시켰다. 당쟁이 정치적 관행으로 허용됨으로써 붕당정치의 길을 열었다.

      • 인천지역의 천주교 박해와 제물진두

        방상근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5

        병인박해 때 인천의 제물진두(濟物津頭)에서는 10명(1868년 4명, 1871년 6명)의 신자들이 처형되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제물진두와 천주교의 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1868년에 처형된 4명은《치명일기》와《박순집증언록》에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을 뿐이며, 1871년에 처형된 6명은 제물진두에서 처형했다는《일성록》의 보고 기사가 전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천 지역의 박해와 제물진두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1868년과 1871년에 제물진두에서 천주교 신자들이 처형된 배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기록상 1868년의 처형은 신자들이 관여한 덕산 사건과 영종에서의 교전으로 척사 의식이 고조되던 시기에, 부평에서 체포된 손 베드로 등이 처형된 것이다. 그리고 1871년의 경우는 이연구 형제가 신미양요를 일으킨 미국 군함에 접근하려 한 죄목으로 처형되었고, 이재겸의 처를 비롯한 3명도 신미양요의 여파로 제물진두에서 처형되었다. 결국 제물진두에서 신자들이 처형된 배경과 과정은, '서양세력의 침공 → 천주교도가 내응하고 이끈 결과라는 인식 → 척사 의식 고조 →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 지시 → 서양배와 관련된 장소이자 백성들을 경계하는 효과가 큰 진두(津頭)에서의 신자 처형'으로 도식화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의 처형은 1866년 양화진두 처형부터 본격화되었으며, 1868년과 1871년에 있었던 갑곶진두(강화)와 갈마진두(보령 수영)의 처형도 같은 성격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 서양배와 관련된 사건이 발생한 경우, 신자들은 대체로 관련 지역의 진두에서 처형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물진두는 순교지로서의 성격은 있다. 그렇지만 그곳에서 처형된 신자들이 모두 순교자인지는 또 다른 문제이다. 즉 제물진두와 제물진두의 순교자는 별개의 문제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During the Byeongin persecution, a total of 10 believers (4: 1868, 6: 1871) were executed in the Jemuljindu. So far, however, the relations between the Jemuljindu and Roman Catholic Church have been barely known. Four martyrs who were put to death in 1868 are briefly mentioned in Chimyeongilgi (records of the persecution on Catholicism) and the Testimony of Park Soon-jip. In addition, six martyrs who died in 1871 are just reported in an article in Ilseongrok (a dairy-style chronicle of kings' daily liv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ersecuti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 Jemuljindu in Incheon and review the background that Roman Catholics were executed in the Jemuljindu in 1868 and 1871. According to the records, Peter Son and others were executed 1868 when the movement of cheoksa (rejection of heterodoxy) was at its peak due to the Yeongjong Battle and Deoksan Incident in which believers involved. In 1871, on the contrary, Lee Yeon-gu and his brother were executed for attempting to enter into the U.S. warship which caused Shinmiyangyo (the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in 1871). In addition, three believers including Lee Jae-gyeom's wife were put to death in the Jemuljindu in the aftermath of Shinmiyangyo. After all,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execution of Roman Catholics in the Jemuljindu can be diagramed as follows; invasion of the western powers → doubt on Roman Catholic's connection with the western powers → spread of cheoksa (rejection of heterodoxy) → order to persecute Catholicism → execution of Roman Catholics in a place(jindu) related with the western ship to make the public be on the alert. This kind of execution started in 1866 (Yanghwajindu Execution) and continued with Gapgotjindu Execution (Ganghwa, 1868) and Galmajindu Execution (Boryeong, 1871). At that time, when an incident associated with a western ship took place, believers jindu around the related region were executed. Meanwhile, Jemuljindu is meaningful as a martyrdom site. However, it is another matter if people who were killed there are all martyr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Jemuljindu martyrdom site and martyrs separately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 KCI등재

        18세기 말 전라도 신앙공동체와 천주교 서적

        방상근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9 교회사학 Vol.0 No.16

        In Jeolla-do, a community of faith was formed in Jeonju and Jinsan by Yoo Hang-gum and Yun Ji-chung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t that time, believers in Jeolla-do, like other area believers, learned about Catholicism through books and Based on this, the faith community was formed and expanded. Jeolla-do believers may have read many of the church books that were read by Seoul and Chungcheong-do believers. However, the books that Jeolla believers read can only be found in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The Seven Victories(七克), The Ten Commandments(十誡命), matins and complines(早晩課), and The Overview of Western Learning(西學凡). Of these, The Ten Commandment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faith and life of Jeolla believers. They engaged in active Missionar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Ten Commandments, and believed that they could ascend to receive the heavenly blessings. As a result, the number of believer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is period. Next, believers came to the idea that they should not apostate through the Ten Commandments. And this perception led to the martyrdom of believers when persecution arose. The Ten Commandments affected not only the life of faith but also the temporal life of believers. In other words, The Ten Commandments taught believers to live as good people, filial sons, loyal people, and mature human beings in this world, and believers did their best to keep these commandments. 전라도에는 조선 교회가 설립된 직후에 유항검과 윤지충에 의해 전주와 진산에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었다. 당시 전라도의 신자들은 다른 지역의 신자들과 마찬가지로 서적을 통해 천주교에 대한 지식과 교리를 익혔으며, 이를 토대로 신앙공동체를 형성하고 확대시켰다. 전라도 신자들은 서울과 충청도 신자들이 보았던 많은 교회 서적들을 읽었다. 그러나 기록상 《천주실의》, 《칠극》, <십계>, <조만과(早晩課)>, 《서학범(西學凡)》 정도만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십계>는 전라도 신자들의 신앙과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십계>의 가르침에 따라 신앙생활을 하였고 전교활동도 펼쳤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하늘의 영복(永福)을 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신자들의 이러한 믿음은 이 시기 신자 수를 증가시킨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신자들은 <십계>를 통해 배교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박해가 일어났을 때 신자들을 순교로 이끌었다. <십계>는 신앙생활뿐만 아니라, 신자들의 일상의 삶에도 영향을 미쳤다. <십계>(4~10계)는 신자들이 현세에서 착한 사람, 효성이 지극한 자식, 충성스런 국민, 인격을 갖춘 성숙한 인간으로 살아가도록 가르쳤고, 신자들은 이러한 계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천주교도의 순교 과정(체포~처형) 연구

        방상근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1

        During the persecution period, Catholics went through the stages of arrest, interrogation, decision, application, and execution, leading to martyrdom.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process of martyrdom by examining how Catholics were treated at each stage from 1785 to 1872. In other words, the types of arrests, the institutions and procedures for interrogation in Seoul and provinces, the structure and timing of decision was summarized, and changes in legal provisions(application) applied to believers were examined. In particular, in the application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gal basis for punishment was prepared as punishment for Catholics was gradually systemized, When the “Making Magical Inscriptions and Magical Incantations”(jo yoseo yoeon, 造妖書妖言) clause is applied, the ‘recognition and response(punishment)’ of the authorities on the Catholic Church did not match,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y coincided in the stage of the egulations of the Six Codes(Yukjeon chorye, 六典條例, 1867).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as punishments for Catholics gradually tightened, some believers were executed after 1868 according to “execute the criminals first and inform the king afterwards”(seoncham hugye, 先斬後啓). And finally, in the execution stage, the types, main agent, and places of execution were examined. 박해시기 천주교도는 체포 → 심문 → 결안(結案) → 조율(照律) → 처형 단계를 거쳐 순교에 이르렀다. 이 글은 1785년부터 1872년까지 천주교도들이 각 단계별로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순교 과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즉 체포 유형, 서울과 지방에서 심문하는 기관과 절차, 결안의 구조와 작성 시점을 정리하였고, 신자들에게 적용되는 법조항(조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조율 단계에서, 천주교도에 대한 처벌이 점차 체계화되면서 처벌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는 과정, ‘조요서요언(造妖書妖言)’ 조문이 적용될 때는 천주교에 대한 당국자들의 ‘인식과 대응(처벌)’이 일치하지 않다가 『육전조례(六典條例)』(1867) 단계에서 일치하게 되었다는 점 등을 확인했다. 아울러 천주교도에 대한 처벌이 점차 강화되면서 1868년 이후 선참후계 조치에 따라 처형되는 신자들도 생겨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처형 단계에서는 처형의 종류, 주체, 장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