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체험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화윤(Park Wha-Youn),이연희(Lee Yeo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전통 및 산업 문화를 직접 탐색, 감상한 후 표현해 보는 미술활동경험이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능력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I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 비교 두 집단 사전 사후설계에 의해 실험집단에게는 지역사회의 전통 및 산입문화를 중심으로 체험주제와 관련된 자료의 탐색 및 감상 등의 사전활동을 한 다음, 현장체험에서는 직접 탐색 및 감상, 사후활동에서는 미술표현 및 감상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사회체험에 기초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평면미술 및 입체미술표현능력과 미술감상능력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rt activities based on community culture experience affected young children's ability of art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The subjects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of Y day care center in Iksan city of Jeonbuk province. For this study, 20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12 sessions of art activities based on Iksan community culture, where themes were composed of pottery, stone sculpture, and jewelry. The experimental group did such activities by observatio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it.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bilities,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assessment developed by Jongsook O, drawing expression ability developed by Sungae JI, and aesthetic development developed by Sookyoung Lee were used for pre-test and post-t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both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art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children's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 KCI등재

        명화감상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및 공간능력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화윤(Park Wha Youn),임경례(Im Goung Re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명화감상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을 실시하였을 때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및 공간능력 발달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반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비교 설계에 의해 이혜주(1996)의 친사회적행동 설문지와, 홍혜경(2001a)의 공간능력 도구를 사용하여 그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명화감상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돕기, 나누기, 협력하기 등 친사회적행동과 공간적 추리, 형태 바탕 지각,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 등 공간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cooperative art activities based on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have on developing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nd spatial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 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wo child daycare center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tes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s on pro-social behaviors of Lee Hye-ju (1996) and spatial ability tools of Hong Hye-kyung (2001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operative art activities are shown to have effects on improving pro-social behaviors such as helping, giving, and cooperating, and spatial abilities such as spatial reasoning, form-based recognition, visual memory, and recollection.

      • KCI등재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박화윤(Park Wha-Youn),오경숙(O Kyeong-Sook),박미경(Park Mi-K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0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적 행동이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연령, 성, 출생순위 등 개인적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 유아 299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며 양육신념에 관한 어머니용 질문지와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관한 교사용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t 검증, 적률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대부분 어머니들은 자녀발달에서 인성을 강조하고 환경의 영향을 강조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유아의 연령과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도덕적 행동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 및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녀발달에서 환경의 영향을 강조하는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유아의 성별 및 출생순위와 자녀발달에서 환경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은 유아의 도덕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도덕성발달을 위해서는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신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beliefs and other variables on their young children's moral behavior. The subjects were 299 four, five-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Data were gathered through mothers beliefs questionnaires by their mother and preschoolers' moral behavior test by their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1)most mothers' parenting beliefs emphasized their child's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ism in child development, (2)most preschoolers had common levels of moral behavior and their moral behavior level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sex, birth order and their mother's age, (3)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behavior and their mother's environmentalism parenting beliefs of development, (4)variables which effected preschooler's moral behavior were child's sex, child's birth order, and mother's environmentalism parenting beliefs of development.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력, 언어 이해력 및 표현력에 영향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박화윤 ( Wha Youn Park ),조진희 ( Jin Hee Choug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의 이해력 및 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세와 5세 다문화유아 284명이다. 자료 수집은 장영애(1981)의 4-6세 유아용 언어능력검사의 수정에 의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t, F검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어휘력은 연령, 성별, 교육기관, 가정방문교육경험,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며 언어이해력은 연령, 교육기관, 가정방문교육경험,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고, 언어표현력은 연령, 생활지역, 교육기관,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와 언어이해 및 표현력 모두에서 영향력을 가진 주변인은 연령이고 그 다음 상대적인 중요도는 어휘력은 어머니국적, 성별, 교육기관 순이고, 언어이해력은 어머니국적, 언어표현력은 생활지역, 어머니국적,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교육이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할 때 연령은 물론 언어형태에 따라 사회 인구학적 변인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the oral language abilities comprising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analyzing data from 284 participating children aged four and fiv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Jeonbuk province. The language ability assessment developed by Jang Young Ae (1994) was revised for this study an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reveal firstly that the oral ability levels of the subjects are a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following ways: a) vocabulary abilitie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preschool type attended, home-visit teacher education, and mother`s nationality: b) understanding of oral language differed by age, preschool type attended, home-visit teacher education ,and mother`s nationality while c) language expression differed according to age, location in province, preschool type attended, and mother`s nationality. Secondly, analysis finds age to be the most common correlating variable in all oral language areas. After age however, each language area was affected by correlating variables in different descending orders: a) vocabulary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mother`s nationality, child`s gender and preschool type attended b) understanding of language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the mother`s nationality and c) language expression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child`s residential district, mother`s nationality, and preschool type attend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지도관련 학술지연구의 내용분석

        박화윤(Park Wha-Yo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본 연구는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놀이지도행동 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 교사의 놀이교수능력 발달 및 놀이증진을 위한 교사의 놀이지도연구의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관련 6개 학술지에 게재된 놀이지도행동연구 29편이며 연구내용은 교사행동범주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논문의 분석 결과,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신념, 교수효능감을 주제내용으로 하는 인식론적 연구와 교수행동을 주제내용으로 하는 경험론적 연구로 대별할 수 있었고, 경험론적 교수행동 연구가 인식론적 연구보다 많았으며 놀이지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2000년부터 이루어졌다.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인식론적 연구내용은 놀이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인식, 신념과 교수효능감의 측정도구 개발 및 놀이지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내용이었고 경험론적 교수행동 연구내용은 놀이시간의 현상학적 교수행동분석과 교수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분석, 놀이증진에 영향을 주는 교수행동과 교사개입의 효과를 분석하는 내용이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trends of the research contents of teacher's play guide behavior in the play research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otal 29 articles of teacher's play guide were selected from the 6 Korea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the first published year of every journal to July, 2008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nalyzing criteria of the research contents was based on subcategory classifying teacher behavior artic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lassified with the two kinds of research contents in the teacher's play guide behavior researches, which are teacher's teaching behavior research and epistemological research of teacher's play. Teacher's teaching behavior research is more than epistemological research of teacher's play. Second, in the epistemological research of teacher's play, there are teacher's perception,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f play. Teacher's perception research of play was studied the most, while teacher's belief research of play was studied the least. Third, in the researches of teacher's play guide behavior, there ar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at shows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 variable research that effects teaching behavior during play time, and also there are the variable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behavior that effects the play development, and the teacher's intervention research that conduct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 KCI우수등재

        미술 작품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화윤(Wha Youn Park)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2

        In this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on children`s creativity, art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provided for 20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over an 8-week period. Data collected with the use of the General Creativity Test for Children(Chon, 1995) were analyzed by t-test, ANCOVA a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developed a higher level of creativity on all scales of creativity, including originality, fluency, flexibility, and imagination and in all areas of physical, linguistic, and diagrammatic creativity. Boys were more creative than girls in imagination, originality and physical creativity.

      • KCI등재

        몬테소리 일상생활영역 중심 부모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명위(Seong, Myoung-Wui),박화윤(Park, Wha-Yo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몬테소리 일상생활영역 중심 부모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실험과 통제집단 각각 유치원 만 3세반 유아와 그들의 부모 20명씩으로 총 유아 40명과 부모 40명이다. 부모교육은 9개 주제로 강의, 모둠별 발표 및 토의, 극놀이, 시범 등의 교수 학습방법과 평가로 구성하고 각 주제는 일주 단위로 2시간씩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에서는 물론 유치원에서의 유아기본생활습관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의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가 가정에서 자녀에게 직접 실행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부모역할능력을 기르기 위해 반성적 사고와 실재 경험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부모교육운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Montessori practical-life-centered parent education effects the basic life habits of 3-year-old children as well as their mothers" parenting efficac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nd their 40 mothers at D kindergarten in J city in Jeonbuk provinc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20 one serving as experiment group and one as the control group.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rating scales of basic life habits(National Board of Educational Evaluation, 1995) and parents" parenting efficacy(Choi Hyngsung & Jeong Oakbun, 2001). The parents" education, two hours each session, was implemented a total of nine tim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COVA using SPSS 18.0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Montessori practical-life-centered parent education was effective at improving children"s basic life habits and their parenting efficacy.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with teaching sources for parents who train the basic life habits of their children, and also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resources for the parent education of childhood education cente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이 감성역량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숙(Kim, Kyung-Sook),박화윤(Park Wha-Yo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이 감성역량의 매개효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보육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Mayer and Salovey(1990)의 감성지능과 Goleman(2002)의 감성역량 및 Bandura(2002)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요인인 감성인식, 감성표현, 감성조절, 감성활용이 자기관리와 관계관리를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수집된 자료는 AMOS 1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요소 중 감성인식과 감성활용은 감성역량요소인 자기관리와 관계관리에, 감성조절은 자기관리에, 감성조절과 감성활용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감성역량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감성역량 요소 중 관계관리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보육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감성지능은 물론 감성역량도 함께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methods for effectively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of child care center by establishing positive cause-and-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efficacy. Ba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it was assumed that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representation, control and use of emotion, influence their self-efficacy through self-control and relationship-control of emotional competence.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discovered;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percep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control and relationship?control; control of emotion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use of emo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control, relationship control, and self-efficacy. It was also discovered that relationship-control influences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esent suggestions of improving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providing qualitative child care services.

      • KCI등재

        보육시설장의 리더십 유형과 보육시설 운영 관리와의 관계

        오경숙(Oh, Kyoung-Sook),박화윤(Park, Wha-Youn),조도현(Jo, Do-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의 리더십 유형과 보육시설 운영관리가 시설장의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리더십유형이 운영관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보육시설장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시설장들의 리더십과 운영관리 수준은 보통정도의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보육시설장의 리더십은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운영관리는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보육시설장의 리더십은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고, 경력이 높아질수록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보육시설장의 리더십 유형은 보육시설 운영관리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시설의 운영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장들의 리더십의 발달이 필요함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styles and thei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daycare center programs. 122 daycare center directors were surveyed in order to analyze their leadership level according to their age, management career, and academic backgroun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rectors perceived the levels of their leadership and the level of management of daycare center to be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The perceptions of their leadership skills were likely to be rated higher as their education level and management experience increas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irector"s self perceived leadership skill and thei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ome basic guidelines and implication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in developing their leadership skills to foster effective managements and administration of their facilities.

      • 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박화윤,임경례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論文集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f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researches into 100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children 3 towns in Chungnam and 800who are 3,4,5 year-old children in selected teachers' classes. The research tool is the questionnaire. To survey social support of the teacher it is the "Social support perception" which is made by Ji-Won Park(1985). To survey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it is made by Pease, Clark & Crase(1979) and then revised by Jung-Youn Lee(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eachers perceived their social support above the average whil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ypical traits of the teacher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type of education facilities and their classes. Second,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s taken as whole, 5 year-old are better than 3,4 year-old children however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Third, it shows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teacher is related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Social support what teachers perceived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social perception of the development. Consequently, teachers should perceive their own social support to make raise efficiency of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