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분자딸기의 성숙 단계별 생리활성 비교

        차환수,윤예리,박필재,최혜란,김병삼,Cha, Hwan-Soo,Youn, Aye-Ree,Park, Pill-Jae,Choi, Heh-Ran,Kim, Byeong-S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6

        본 실험은 성숙시기별 복분자딸기 과실부(미숙과 및 중간숙과, 완숙과)를 70% ethanol로 추출하여 항산화 원인 물질로 여겨지는 여러 유효 성분들을 조사한 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복분자딸기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완숙과가 4.50g으로 미숙과(2.84 g)와 중간숙과(1.55 g)에 비하여 약 2배정도 함량이 많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도 복분자딸기 과실이 성숙할수록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도 복분자딸기가 중간숙과 80.05%, 완숙과 95.03%로 과실이 미성숙했던 시기보다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복분자딸기의 비타민 A 함량은 미숙과가 2.37 mg으로 중간숙과와 완숙과에 비하여 높았지만, 비타민 E는 완숙과가 0.9 mg으로 미숙과 0.2 mg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복분자딸기의 비타민C 함량은 미숙과 28.55 mg, 중간숙과 23.06 mg, 완숙과 30.79 mg으로 과실의 성숙정도와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복분자딸기 완숙과가 $49{\mu}m/mg$로 중간숙과($16.4{\mu}m/mg$)와 미숙과($15.4{\mu}m/mg)$에 비하여 과실이 성숙할수록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색소성분으로 여러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안토시아닌은 미숙과일 때 7.89 mg%에 불과하였던 것이 완숙과일때 394.50 mg%로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 vitamin A, C, E, flavonoid and anthocyanin of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were investigated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Rubus coreanus Miquel as functional food material.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nripened, middle-ripened and ripened fruit of Rubus coreanus Miquel were examined. The ripened fruit included higher contents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sample groups, unripened and middle-ripened fruit. SOD of unripened, middle-ripened and ripened fruit were 59.15, 80.05 and 95.03%, respectively. Scavenging concentration ($SC_{50}$) of unripened and middle-ripened fruit for 0.4 mM DPPH (1,1-diphenyl 2-picryl hydrazyl) was 2.3 mg/mL by weight, but only 1.6 mg/mL for ripened fruit. The vitamin A content of the Rubus coreanus Miquel was found to be lower as the fruit ripened; however, vitamin E showed the reverse pattern. In addition Rubus coreanus Miquel is a fruit which has a high vitamin C content regardless of maturity. The flavonoid contents of Rubus coreanus Miquel were in order of ripened fruit ($49{\mu}m/mg$)>middle-ripened fruit ($16.4{\mu}m/mg)$>unripened fruit ($15.4{\mu}m/mg$). Also, the contents of anthocyanin in ripened fruit were $394.50{\mu}m/mg$,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middle-ripened ($12.43{\mu}m/mg)$ and unripened fruit ($7.89{\mu}m/mg$).

      • KCI등재

        국내산 복분자 열매에 대한 화학적 조성 및 생리활성 비교

        신공식(Kong Sik Shin),박필재(Pill Jae Park),부희옥(Hee Ock Boo),고정연(Jung Youn KO),한성수(Seong Soo Han)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6 No.2

        복분자 열매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재배복분자와 야생복분자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재배복분자 완숙과와 야생복분자 미숙과에서 각각 222, 190mg/g 이었고, 다당체 함량은 야생 북분자 미숙과가 320 unit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열매의 전자공여능은 야생복분자 미숙과가 100 ㎍/mL 농도에서 95% 이상으로 높은 활성을 보여 미숙과가 완숙과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야생복분자 미숙과가 81%, 재배복분자 완숙과가 77%를 나타내어, 총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추세를 보였으며, 과산화지질 형성억제능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과 같은 억제수준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열매의 고혈압 완화효과로써 ACE 활성 저해율은 야생복분자 미숙과와 재배복분자 완숙과가 추출농도 1% 범위에서 98% 이상의 높은 ACE 활성 저해율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iologic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n the fruit of bogbunja (Rubus coreanus Miquel). Total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s in cultivars ripened fruit and immatured wild-type fruit were 222 and 190mg/g, respectively, Polysaccharide contents of immatured wild-type fruit were the highest value of 320U. For EDA analysis, immatured wild-type fruit showed over 95% in 100㎍/mL of sample concentration, which is the the most effective. Levels of SOD-like activities in immatured and cultivar ripened fruits were 81% and 77%, respectively, For the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all of bogbunja prepared were similar with those of α-tocopherol as control. The inhibition of ACE activities on the water extracts of bogbunja fruit showed over 98%, especially, in immature wild-type and cultivar bogbunja.

      • SCOPUSKCI등재

        [연구노트] 성숙단계별 복분자딸기의 이화학적 특성

        차환수(Hwan-Soo Cha),윤예리(Aye-Ree Youn),박필재(Pill-Jae Park),최혜란(Heh-Ran Choi),김병삼(Byeong-Sam Kim)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4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 과실부의 성숙시기(미숙과, 중간숙과, 완숙과)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복분자딸기가 완숙과가 되었을 때 100g당 81.4 g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단백질ㆍ회분ㆍ식이섬유는 미숙과일때가 중간숙과와 완숙과에 비하여 약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과실이 성숙 할수록 당도와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산도는 중간숙과 일 때 3.38%를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딸기 미숙과, 중간숙과, 완숙과에서는 17종의 아미노산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546.55, 383.56, 375.08 ㎎% 함유되어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도 과실이 성숙될수록 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과실의 성숙도와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Ca>Mg>P>Na>Fe 순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총 무기질 함량은 미숙과가 중간숙과나 완숙과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Rubus coreanus Miquel as a functional foo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during maturation. Crude protein, crude ash, and dietary fiber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unripened fruit, but decreased thereafter; whereas moisture and the soluble solid contents showed a reverse pattern. The free sugar concentration of the middle-ripened fruit (0.7 g/100g) increased as it became a ripened fruit (4.1 g/100g). Also, the acidity of R. coreanus Miquel was at its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middle-ripened fruit at 3.38%. Seventeen types of amino acids were analyzed from R.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The highest amino acid components in the unripened fruit were aspartic acid (546.55 ㎎/100g) and glutamic acid (452.22 ㎎/100g). Among the minerals studied during this research, R. coreanus Miquel contained a high level of potassium. The potassium concentrations of the unripened fruit, middle-ripened fruit, and ripened fruit were 306.0, 191.1, and 164.1 ㎎/100g,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초음파 처리에 의한 검정라즈베리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

        김기안(Ki An Kim),권지웅(Ji Wung Kwon),김용석(Yong-Suk Kim),박필재(Pill Jae Park),채규서(Kyu Seo Chae)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검정라즈베리 부산물인 줄기, 잎 및 씨 초음파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산화방지 활성을 가지는 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검정라즈베리 부위별을 물 및 25, 50, 75, 10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초음파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검정라즈베리 줄기의 25, 5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348.21±5.40, 343.39±5.94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잎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61.06±3.57 ㎎/g, 씨의 경우는 75% 에탄올 추출물이 266.29±2.51 ㎎/g으로 나타나 줄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페놀성 화합물 10종의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갈산과 엘라그산이 가장 높은 함량의 화합물로 분석되었고, 쿼르세틴, 페룰산, 쿠마르산, 카페산, 루틴, 루테올린은 모든 추출물에서 분석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추출용매간에 함량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줄기는 25% 에탄올 추출물이 76.02±4.23 ㎎/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잎의 경우는 50% 에탄올 추출물이 82.28±0.54 ㎎/mL로 가장 높았으며, 씨의 경우는 75% 에탄올 추출물이 82.40±2.49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화방지 활성 검증을 위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의 EC<SUB>50</SUB> 값을 비교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줄기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씨>잎 순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추출용매 조건에 따라서 활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줄기>씨>잎 순으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고, 검정라즈베리 부산물인 줄기, 잎 및 씨 모두 높은 수준의 산화방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출조건으로는 줄기의 경우 25, 50% 에탄올, 잎의 경우 50% 에탄올, 씨의 경우 75% 에탄올 용매 조건에서 산화방지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검정라즈베리 부산물인 줄기, 잎 및 씨 모두 산화방지 활성이 우수한 천연소재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특히 줄기의 경우 산화방지 활성이 매우 뛰어나 건강기능 식품 및 의약품과 같은 산업적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parts (stems, leaves, and seeds) of the black raspberry for utilization as food materials. Different parts of the black raspberry were subjected to extraction via ultra-sonication extraction methods using water and ethanol at various concentrations (25, 50, 75, and 100%). Antioxidant capability of the extracts were determined by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with flavonoid conten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Irrespectively of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s of stem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different parts of black raspberry.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the black raspberry stem using 25 and 50% ethanol showed 348.21±5.40 and 343.39±5.94 ㎎/g, respectively. Fifty percent ethanol extracts of the black raspberry stem showed the highest DPPH (EC50 value: 60.89 ㎍/m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EC50 value: 82.57 ㎍/mL). Further, 25% ethanol extacts of the black raspberry stem (0.263±0.004)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reducing power.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raspberry stem indicates that black raspberry stem may be useful source for functional food.

      • KCI등재

        본태성 고혈압 쥐에서 복분자 완숙과 추출물의 혈압 개선 효과

        이정현(Jung-Hyun Lee),최혜란(Hye Ran Choi),이수정(Su Jung Lee),이민정(Min Jung Lee),장지은(Ji Eun Jang),권지웅(Ji Wung Kwon),박필재(Pill Jae Park),이태범(Tae-Bum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는 본태성 고혈압 쥐인 SHR을 이용하여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의 혈압 강하 효과 및 그와 관련된 인자들[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eNOS), homocysteine,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 albumin, creatinine, blood lipid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태성 고혈압 쥐에게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을 12주간 투여한 결과 수축기 혈압이 고혈압대조군에 비하여 약 12% 억제되었다. 또한 eNOS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혈청 homocysteine 및 PAI-1의 활성이 눈에 띄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근 호산성 세포수를 감소시켜 심장의 손상 및 병변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혈중 지질 및 혈청 albumin, creatinine의 농도에는 각 군 간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은 혈관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homocysteine이나 PAI-1과 같은 염증성 인자로부터 혈관을 보호하고 이를 통해 eNOS의 유전자 발현을 개선시킴으로써 혈압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심혈관계 질환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50% ethanol extracts of rip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RBR) on hyperten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The final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group treated with RBR for 12 week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HR group.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HR. However, treatment with RBR and captopril increased the level of eNOS mRNA in SHR. Moreover, plasma levels of homocysteine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RBR. Plasma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in SHR than Wistar Kyoto rats (WK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sma triglyceride level between WKY and SHR. The number of eosinophilic cardiac muscle cells was reduced in heart muscles after treatment with captopril and RB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RBR extracts may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hypertension.

      • KCI등재

        수종(數種) 토양세균에 의한 살균제 Myclobutanil 의 분해력

        한성수,정재훈,임요섭,박필재 한국환경농학회 1996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5 No.1

        土壤細菌에 의한 myclobutanil의 分解力과 그들의 分解特性을 究明하고자 農藥無處理 土壤으로 부터 數種의 菌株를 分離固定하고 이들 細菌의 myclobutanil 分解力과 myclobutanil에 대한 耐性을 調査하였으며, 分解能이 比較的 좋은 細菌에 대한 myclobutanil의 分解特性, 즉 窒素源 혹은 炭素源으로서의 myclobutanil 利用性 그리고 myclobutanil 反覆處理, pH, 溫度 및 接種量의 差異에 따른 myclobutanil의 分解와 細菌增殖 樣相을 調査하였다. 供試土壤으로 부터 分離하여 屬까지 分類한 細菌은 그람陽性細菌이 Corynebaxterium屬, Listeria屬, Staphyloccus屬, Streptococcus屬 等 各 1菌株씩이었고 그람陰性細菌로는 Actinobacillus屬 3菌株와 Enterobacterium屬 및 其他 屬 各 1菌株씩이었다. 이들 細菌들의 myclobutanil에 대한 生存力 實驗에서 供試菌株 모두 55ppm까지는 旺盛한 生育을 보였고, 70ppm 以上에서는 生育이 微弱하거나 不能이었다. 供試 菌株중 35% 以上 myclobutanil 分解能力을 가진 細菌은 Staphyloccus屬 I, Actinobacillus屬 III 및 其他 屬 I이었고 이들 3菌株는 myclobutanil을 單一 窒素源 또는 單一 炭素源으로 利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菌株 모두 myclobutanil을 1回處理와 3回反覆處理時 迅速하게 分解하였고, 菌의 生育은 反覆處理함에 따라 점점 增加되었다. 한편 上記한 3菌株의 myclobutanil 分解率과 菌增殖量은 pH 5.5에서 8.5로 높아질수록 그리고 接種量이 많아질수록 增加하였고, 이 菌株들의 溫度差異에 따른 myclobutanil 分解率과 菌增殖程度는 28℃ > 18℃ > 38℃의 順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some bacterial strains which had potentiality of good degrader of fungicides from herbicide free soil and to clarify degradation of a fungicide mycrobutanyl[2-p-chlorophenyl-2-(1H-1,2,4-triazole-l-ylmethyl)-hexanenitrile]. Ten strains of the gram-positive and the gram-negative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Most of them vigorously proliferated at 55ppm of mycrobutanil, but the stains were not grown when more than 70ppm of this fungicide were treated Staphylococcus spp. I, Actinobacillus spp. III, and another I of the isolated bacteria degraded more than 35% of the treated mycrobutanil. These three strains could utilize mycrobutanil as nitrogen and carbon sources. Mycrobutanil was rapidly decomposed by these strains when applied once or three times. Tested bacteria gradually increased in growth when mycrobutanil was applied repeatedly. Degradation of mycrobutanil and growth of these bacteria were greater in pH 5.5, and they were high in the order of 28℃ > 18℃ > 3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