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ragile States in Sub-Saharan Africa

        Park, Tae In(박태인),Kang, Dongyoen(강동윤),Kim, Pan Suk(김판석)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5 No.-

        일부 개발도상국가들은 국가개발목표 달성을 향해 발전을 지속해가는데 반해서, 상당수의 아프리카 저소득국가들의 거버넌스 상황과 환경은 악화되고 있고, 지속적인 위기와 교착 상태 등으로 인해서 여러 상황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취약성이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부각되었고, 국제개발 및 개발도상국가의 경제성장 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취약국가들의 최근 현황을 살펴보고, 이 지역 국가취약성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서 본고는 국가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결정요인들 중에서 천연자원, 대외원조, 부패에 관심을 갖고, 이 요소들이 국가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간 국가취약성 문제는 서방세계의 여러 원조공여국과 국제기구들이중 심이 되어 활발하게 논의된 반면에, 동아시아 국가 및 이들의 국제개발 관련기관들은 서방세계에 비해서 국가취약성 문제에 상대적으로 주의를 많이 기울이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중장기 국제개발 및 공적개발원조 정책과 관련사업을 입안할 때,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취약국가들의 국가취약성 문제에 관하여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국제개발정책을 개발하고 집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While some countries are making progress toward achieving their development goals, a number of low-income countries are falling behind with deteriorating governance environments and situations of prolonged crisis or impasse. Consequently, the concept of state fragility has gained currenc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discours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cent status of fragile states in Sub-Saharan Africa (SSA) and explore some empirical determinants of state fragility in the SSA region.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natural resources, foreign aid, and corruption on state fragility among a large number of potential determinants in the African context. The issue of state fragility has been discussed by many Western don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le East Asian countries and their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ie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is issue.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need to consider the problem of fragile states in their mid-term and long-term policy goal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technical assistance, particularly for the SSA region.

      • KCI등재

        판례에 나타난 "의료수준"의 내용에 관한 연구

        박태신 ( Tae Shin Par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2

        통상적인 의료과오소송에서는 환자가 원고가 되어 의사 등을 피고로 하여 손해배상을청구하는 경우 그 청구원인이 무엇인지 여부가 문제인 바, 그것은 의사 등이 계약상 또는사실상 주의의무를 위반하였다고 하는 내용으로 주장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의사의 주의의무란 의료행위를 할 당시 의료기관 등 임상의학 분야에서 실천되고 있는 의료행위의 수준을 기준으로 삼되, 그 의료수준은 통상의 의사에게 의료행위 당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또 시인되고 있는 이른바 의학상식을 뜻하므로 진료환경 및 조건, 의료행위의 특수성등을 고려하여 규범적인 수준으로 파악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이는 가장최근의 판례를 통하여 선언한 것이다. 그러나 의료과오를 판단함에 있어서 우리와 동일한기준을 적용하는 일본은 실무적으로 "의료수준"이라고 하는 기준에 대하여 새로운 내용을제시하여 그것을 통해 의사 등의 과실을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의료수준의 내용등 그 실체의 파악은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핵심적 과제라고 할 수있어 이 논문은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의 판례변화를 살펴본 후 의료수준의 의미, 의학 및의료수준의 차이, 의료수준을 인정할 필요성, 일본 판례의 변화추이, 의료수준론 및 의료환경의 변환에 따른 의료수준의 검토사항을 고려한 후 의료과오사건에서 과실을 판단할 때현재의 도달목표와 남겨진 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In a typical medical malpractice lawsuit, the patient becomes a plaintiff, if he want to claim damages and doctors become a defendants. It will be a claim with the contents that the doctor has violated the duty of care on the contract or on the fact. Here, the duty of care of a physician are based on the level of medical standard that has been practiced in the clinical medicine field at the time of the medical practice. The medical standard, at that time a normal doctor was a medical practice, commonly known, also has been endorsed, means the so-called medical common sense. Accordingly clinic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peculiarities of medical practice, but should be understood in a normative level. Contents, such as described above, are those that have been declared through the most recent case law. However, in order to determine the medical malpractice, Japan to apply the same standards like us, practically to present a new content for the standard of medical standards, admits negligence, such as a physician through it. Therefore, identifi- cation of the substance,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above medical standards can do that most important core tasks in a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 KCI등재

        채권자대위권에 관한 이해의 변화 모색 - 보전의 필요성 및 채무자의 무자력과 관련하여 -

        박태신(Park, Tae Shin)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6

        종래 학설은 채권자대위권을 ‘본래형’과 ‘전용형’으로 구분하여 전자의 경우 보전의 필요성은 채무자의 무자력을 의미한다고 한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보전의 필요성에 관한 별다른 언급 없이 채무자의 무자력은 요구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전자를 (일반)책임재산보전제도로, 후자를 (개별)채권보전제도로 인식해 온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대법원 2001. 5. 8. 선고 99다38699 판결은 ‘피보전채권과 피대위채권의 밀접한 관련성’, ‘피보전채권의 현실적 이행을 유효, 적절하게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채무자의 자유로운 재산관리행위에 대한 부당한 간섭이 아닐 것’을 채권자대위권의 ‘보전의 필요성’ 판단을 위한 일반기준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대법원 2020. 5. 21. 선고 2018다879 전원합의체 판결은 기본적으로 위 요건을 보전의 필요성 판단기준으로 제시하면서도, 피대위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피보전채권의 현실적 이행을 유효, 적절하게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지 여부에 관한 판단을 위한 고려요소로 ‘채권자가 보전하려는 권리의 내용’, ‘채권자가 보전하려는 권리와 대위하여 행사하려는 권리의 관련성’ 등을 언급하면서 ‘채무자의 자력 유무’는 피보전권리가 금전채권인 경우에 고려할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판결들로 종래의 이원화된 채권자대위권의 보전의 필요성 판단기준이 통일적으로 제시되었으나, 위 전원합의체 판결은 피보전채권이 금전채권인 경우에는 여전히 채권자대위권을 (일반)책임재산보전제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법해석의 목표나 현실적 필요성을 고려하면, 피보전채권이 일반금전채권인 경우에도 채권자대위권을 (개별)채권보전제도로 보는 인식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ories have divided creditor subrogation rights into ‘original type’ and ‘exclusive type’, and the former said that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means the debtor’s insolvency, while the latter said that the debtor’s insolvency is not required without any particular mention of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It seems that the former has been recognized as a (general) responsible property preservation system and the latter as an (individual) claim preservation system. However, the 99Da38699 ruling(the Supreme Court sentenced on May 8, 2001) suggested ‘close relationship between creditor’s claim and subrogated right’, ‘when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secure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creditor’s claim’, and ‘not unreasonable interference in the debtor’s free property management behavior’ as general criteria for judging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of the subrogation rights of creditors. Also, 2018Da879 the all consensus decision(the Supreme Court sentenced on May 21, 2020) ruled ‘close relationship between creditor’s claim and subrogated right’ and ‘the debtor’s insolvency’ as elements for judging whether the exercise of the subrogated right is necessary. With such a series of judgments, the conventional dualized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of the creditor subrogation rights were unified, but the all consensus ruling above still recognizes the creditor subrogation rights as a (general) responsible property preservation system. However, considering the objectives and practical necessity of legal interpretation, it seems necessary to shift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subrogation rights of creditors to the (individual) claim preservation system.

      • KCI등재

        집합건물의 관리에 관한 기초적 연구 -전유부분을 중심으로-

        박태신 ( Park Tae-shi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05 홍익법학 Vol.7 No.-

        One of the hard issues in the civil law is how to reasonably regulate the condominium. So the Act on Possession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APMC) was enacted on April.10. 1984. and came into force on the 1st of April,1985. But the Act still can`t reasonably regulate the posesession and mangement of condominium. But because of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APMC, I want to study and write about an unit of condominium to lay a foundation on the study of condominium. According to APMC, a unit is independent parts for ownership of the condominium. The unit is each part under regulation of APMC. Because a unit is a basis to regulate the legal relationships among many people associated with the condominium. Therefore, I wanted to address the unit which is fundamental in understanding the management of a condominium.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 KCI등재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박태신 ( Tae Shin Par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1

        For disputes over medical cares, litigations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pursue responsibilities of physicians, medical institutions and nurses, and have been increasing. In medical malpractice measures of doctors or medical institutions make patients disappointed and give patients physical and emotional damages seriously. But physicians who have been filed with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blame the patients due to the fact that they were judged with unsaticefied result by the patients nevertheless they made an efforts to provide proper treatments as an expert. With these reasons,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s conflict seriously between the parties compared to common litigations, and is common that parties and litigation officials are caught up with the conflicts. Therefore, in process of accountability of a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s, the parties need to decide emotional and rational determinations.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proper attitude in examining the doctors in charge as a witness at the court. Therefore, this paper has examined what the patient`s attorneys should notice and consider when they examine the doctors in charge as a witness. And I examined the feature of lawsuits in cases the doctors in charge are the witnesses, and the preparations for the enforcement of the cross examins in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I pointed out that the doctors as witnesses are different from a general civil litigation`s witness through this study. And it is noted that a patient`s attorney has to explore how to instill impressions of validity of the plaintiffs` claim in courts rather than cross-examination format by unilateral conflict relationship. Finally, I point out that a patients` attorneys have to examine evaluating evidence in courts and importance of advanced preparations for examinations of the doctors in charge.

      • KCI등재

        의료소송에 있어서 소송물과 요건사실에 관한 연구

        박태신 ( Tae Shin Par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홍익법학 Vol.12 No.2

        의료과오소송(medical malpractice suit)에서 원·피고가 어떠한 사실에 관하여 주장·입증책임을 부담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검토하고 확인하는 것이 당사자 쌍방의 적절한 소송행위와 법원의 정확한 소송지휘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소송실무의 관점에서 요건사실론(the theory of the fact that consis of the cause)에 근거하여 제시된 설례에 따라 위와 같은 손해배상청구소송에 있어서 공방의 기본구조를 명확하게 하고자 하였다. 의료과오소송의 이론구성은 일반적으로 채무불이행(default)과 불법행위(tort)으로 하고 소송과정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주장·입증해 갈 것인지 여부에 관한 내용을 요건사실이라는 것을 바탕으로 비교·검토하였다. 하여튼 의료과오소송의 법리구성이 채무불이행이든지, 불법행위이든지 관계없이 의료소송과 같은 현대형 소송에서 어떻게 기존의 기본적인 법리를 충분히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양당사자의 입장을 충분히 배려할 것인지 여부를 이 글을 통하여 심도가 있는 고민을 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In medical malpractice suit, evaluation and confirm of the responsibilities of plaintiff and defendant on claims and proofs for certain truth is very important for proper lawsuit of litigants and lead of court martials. So in the point of view of lawsuit practices based on the theory of the fact that consis of the cau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it clear about the basic structure of legal battles in claim for damages with presented example. In this article, it is compared and constrasted based on the fact that general case of medical malpractice lawsuit consists process of choosing between default and tort and how to claim and proof the case. In conclusion, this article is to have deepen thoughts about how to consider the position of both litigants without damaging the existing basic codes in modern lawsuits such as medical malpractice suit

      • KCI등재

        신의료기술평가제도와 요양급여대상결정제도에 관한 고찰

        박태신(Park, Tae Shi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2

        의학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새로운 의료기술 또는 기존의 의료기술을 토대로 개선된 의료기술이 고안된 경우 그 의학적 안전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제도로 의료법에서 규정한 신의료기술평가제도가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새로운 의료기술 또는 개선된 의료기술을 건강보험의 영역으로 편입시킬 것인지, 사적 자치의 영역에 남겨둘 것인지를 결정하는 제도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요양급여대상여부 결정제도이다. 위와 같은 두 제도의 관계에 관해 별개의 제도로서 서로 무관하게 각 제도에 따른 결정의 적법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판례들이 있으나, 새로운 의료기술 등을 건강보험의 적용대상에 포함시킬 것인지 아니면 배제할 것인지는 해당 의료기술이 의학적 안전성 및 유효성을 갖추었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므로 위 판례들은 부당하다. 즉, 의료법에 따른 신의료기술평가제도는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요양급여대상여부결정제도에 선행하는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위 두 결정이 서로 모순된 경우에는 어느 한 결정이 위법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there exists a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nHTA) in Medical Law as a system to verify the medical safety and validity of newly emerging medical technology or improved medical technology developed based on conventional. Moreover, the Decision System for Medical Care Benefits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makes decisions whether to incorporate the above new medical technology and improved medical technology into the field of health insurance or to leave them in the field of private autonomy. There are judicial precedents decided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the legality of each administrative measure based on each system,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However, those decisions are unjust since new medical technologies to be covered by health insurance or not should be based upon the premise that the medical technology is safe and effective. Therefore, the nHTA of the Medical Law should precede the Decision System for Medical Care Benefit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Furthermore, if those decisions are contradictory, one of them should be regarded illegal.

      • KCI등재
      • 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한 서해안 동호-구시포 조석대의 지형변화 연구

        박태임 ( Tae Im Park ),양우헌 ( Woo Hun Rya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6 No.-

        한반도 서남해안의 고창군 동호-구시포 대조차 연안에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형변화를 연구하였다. 1989년과 2003년 항공사진 영상을 각각 모자이크하고, 1:5000 수치지도의 데이터 중 수준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DEM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DEM을 통해 정사보정을 실시하였고 해안 지형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두 항공사진을 중첩하였다. 연구 결과, 1989년에 비해 2003년의 해안선이 전반적으로 육지 쪽으로 후퇴하였다. 또한 1990년대 건설된 방파제로 인한 파랑의 간섭에 의해 구시포 지역에 모래 퇴적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The Gochanggun Dongho-Gushipo macro-tide coast, located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as studied in terms of geomorphic changes of shoreline using aerial photographs. We made mosaic images of aerial photographs taken in 1989 and 2003, respectively, and produced the DEM (Digital Terrain Model) of the images using datum level data of the 1:5000 numerical map. After creating the DEM, the orthorectification was done and changes of the shoreline were analyzed through superposition. As a result, the shoreline of 2003 was retreated landward rather than that of 1989. In addition, sand deposition occurred in the Gushipo area is indicative of wave interference caused by construction of the breakwaters of 199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