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고려] 지평의 확대와 깊이의 심화, 그러나 치우침

        박진훈(Park, Jin-hoon) 역사학회 2011 역사학보 Vol.0 No.211

        The study on Goryeo dynasty for two years in 2009 and 2010 includes data such as research report or annotation 10 in 2009 and 14 in 2010, literature 12 in 2009 and 12 in 2010, as well as research paper 144 in 2009 and 151 in 2010. This is a large increase in quantity compared to one report, 6 literatures, and 91 research papers in 2008. The trend in subject shows that history of politics,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regional institution, history of city, study on transportation road, and history of Buddhism were activated, while studying abroad, history of laws, caste system, land system and history of life were relatively inactive. The study on Goryeo dynasty for two years in 2009 and 2010 reexamined the existing study or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based on new methods,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results from other areas(particularly history of China), while subjects which have not gained much attentions until now were started to be studied in a new fashion. There were also a trend, however, that researches are focused to certain period such as King Hyeon Jong’s reign or King Gong Min’s reign or certain subjects, for example, history of foreign relation with Mongol Empire or with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Goryeo dynasty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in a broader sen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evenly on the entir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on various areas, particularly, history of laws, caste system, land system and history of life are areas where the study should be more activated. And Interdisciplinary schorary co-work is desirable in the field of Goryeo dynasty history.

      • KCI등재

        고려후기 홍건적의 침입과 安祐의 군사활동

        박진훈(Park, Jin Hoon)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0

        元의 세력 약화로 동아시아의 국제질서가 흔들리자, 중국에서 일어난 농민반란군인 홍건적이 2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략하였다. 원 간섭기 동안에 군사력이 약화되었고 더불어 왜구의 침입 및 동북면 지역 여진족에 대한 대비 문제로 군사력을 분산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공민왕 8년 홍건적의 1차 침입 때 고려는 처음부터 불리한 입장에서 전투를 치루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고려 정부는 서북지역에서 홍건적을 교란 내지는 저지하는 동안 고려군을 집결시키는 군사정책을 폈다. 이러한 임무를 맡은 사람이 안우였다. 안우는 철주 및 淸江에서 홍건적을 여러 차례 방어하며 소기의 목적을 이루었다. 이에 홍건적은 청강을 우회하여 안우군의 뒤쪽으로 돌아가 매복을 한 다음 안우군을 유인하였으며, 안우군은 결국 매복작전에 걸려 대패하였다. 안우군은 정주로 후퇴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고려군의 집결이 완료되지 못하였으므로 고려군은 서경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으며, 서경은 홍건적에게 함락되었다. 서경 함락 이후 고려군은 군대를 집결시켜 홍건적을 공격하였다. 이때 안우를 비롯한 고려군 지휘부의 솔선수범과 희생정신이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결국 4만 명이 침입한 홍건적은 300명 만이 살아서 돌아가는 대패를 당하였다. 홍건적의 2차 침입은 공민왕 10년에 있었다. 1차 침입 때 고려가 직면했던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인데다가 1차 침입 때 입은 피해가 복구되지 않았으므로, 1차 침입 때보다 상황은 더욱 불리하였다. 더구나 홍건적은 1차 침입 때의 5배인 20만 명이었다. 이에 고려 정부는 청야전술을 구사하기로 결정하고, 서해도의 절령에 목책을 설치하고 백성과 양곡을 이곳으로 옮기도록 하였다. 이는 서경을 포함한 서북면 전역을 포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1차 침입 때와 마찬가지로 안우가 지휘하는 고려군이 홍건적의 침입로에서 유격 전술을 펴도록 하였다. 홍건적은 1차 침입 때 그들이 저지당한 곳을 피해 2차 침입 때는 내륙 쪽의 삭주 방면으로 침입하여 귀주를 거쳐 무주 쪽으로 공격하였다. 안우의 고려군은 홍건적이 침입하는 경로상의 여러 곳에서 유격전을 펴 많은 성과를 달성하였다. 하지만 결국 중과부적으로 안주에서 패배를 당하고, 절령으로 후퇴하였다. 절령에 집결한 고려군을 홍건적은 야밤에 1만 명으로 기습하였다. 기습을 당한 고려군은 대패하였고, 홍건적을 막기 힘들다고 판단한 고려 정부는 수도 개경을 포기하고 피난하였다. 이후 고려는 20만 명을 개경 근처에 집결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홍건적의 방비 상태를 정탐하였다. 적의 주력이 모여 있는 숭인문 쪽의 방어가 허술한 것을 파악하고 이 곳을 집중 공격하여 승기를 잡았다. 결국 홍건적에게 대승을 거두었으며, 홍건적 잔당 10만 명 정도만이 압록강을 건너 돌아갔다. 고려군이 홍건적에 비해 중과부족이었던 이유도 있었지만, 홍건적과의 1~2차 전투에서 고려군이 패배한 이유를 살펴보면, 경계의 실패를 틈탄 적의 기습 공격이나 우회 기동 등을 파악하지 못해 매복에 걸린 것이 패배의 주요 요인인 경우가 있었다. 반면 고려군이 승리한 이유도 홍건적의 허실을 탐지하고 이를 이용한 작전계획을 세워 계획대로 실행한 것이 결정적인 경우가 있었다. 즉 매복, 기습 등 가장 기본적인 사항들이 승패를 결정한 경우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안우를 비롯한 고려군 지휘관들의 솔선수범이나 희생정신, 용맹함 등도 전투 승리의 주요한 요인이었다.

      • KCI등재

        景福宮에 투영된 조선초기의 理想的 國政運營體系

        박진훈(Park, Jin-hoo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60 No.-

        정도전을 비롯한 조선건국 주도세력들은 자신들의 정치이념과 이상적인 국정운영체계를 경복궁의 전각 배치와 명칭에도 반영하였다. 그리고 이는 태종대와 세종대를 거치면서 수정․보완되었다. 景福宮은 국정운영과 관련되어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강녕전에서 사정전으로 이어지는 국왕과 신료들의 정책 결정 및 구상 공간이다. 국왕이 정책을 올바르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신체와 도덕성이 전제되어야만 하므로 국정운영의 첫걸음을 강녕전으로 보았다. 강녕을 통하여 국왕이 몸과 마음을 충분히 수양하고 국정운영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게 되면 이어 思政 즉 국가정책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정치행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강녕전 다음의 전각 명칭이 사정전이다. 두 번째 부분은 근정전에서 홍례문, 그리고 광화문으로 이어지는 행정운영과 전국민에게로의 업적 확산 공간이다. 국가 정책이 결정되면 최선을 다해 정책을 시행하는 勤政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사정전 다음에 근정전을 배치하였다. 근정의 목적은 부국강병을 넘어 도덕적 사회, 유교적 이상국가를 완성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의 의지가 표현된 것이 弘禮이다. 그리고 이러한 국왕의 정치, 국가의 정책을 전 국민으로 확대하여 전 국민을 敎化시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 의지는 光化로 표현되었으며, 이는 중앙집권적 체제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세 번째 부분은 경복궁 내 서편에 위치한 경회루이다. 이는 국정운영을 통한 업적확인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해소 및 소통 공간이다. 네 번째는 경복궁 내 동편에 위치한 동궁전으로, 후계자의 양성과 국정운영의 발전적 계승 공간이다. 경복궁은 이와 같은 국정운영체계가 서로 연계되고 순환하는 구조를 염두에 두고 전각이 배치되고 명칭이 지어졌다. 경복궁에 표현된 이러한 국정운영체계가 제대로 구현되면 조선왕조와 민들은 커다란 복 즉 景福을 받게 된다. 이에 이러한 목적을 담아 조선왕조 궁궐의 이름을 景福宮이라고 하였다.

      • KCI등재

        여말선초 江陵 지역에서의 통혼실태 : 江陵崔氏를 중심으로

        朴晉勳(Park Jin-Hoon) 고려사학회 2011 한국사학보 Vol.- No.43

        This paper researches the inter-marital situation in Gangneung area during 16C from late Goryeo till early Joseon through the actual cases of Gangneung Choi family. The Gangneung Choi family has three branches of Choi Mun-Han(崔文漢). Choi Heun-Bong(崔欣奉) and Choi Pil Dal(崔必達). who had the inter-marital relation with indigenous families in Gangneung as high as 48~54%. 41 % and 44% of total inter-marriages respectively, In similar rates of around half, three families had the inter-marital relation with indigenous families in Cangneung. More concretely, they had it with other branches of Gangneung Choi family, Gangneung Kim family(江陵金氏), Gangneung Park family(江陵朴氏) and Gangneung Ham family(江陵咸氏) in order. That is, three Choi branches had the dose inter-marital relation with each other and Gangneung Kim family and Gangneung Park family in Gangneung region. It must be because they shared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interests in the region. When the inter-marital ratio was checked in Gangneung jurisdiction or vicinity region. Choi Mun-Han had 57~64% of the total inter-marital relations with indigenous families in Gangneung vicinity region. while Choi Heun-Bong and Choi Pil-Dal had 51 % respectively. Especially, they had many inter-marriages with Samcheok Kim family(三陟金氏) and Samcheok Sim family(三陟沈氏). In the generational change, they showed the fluctuation of 37%~58%, 31%~50% and 31~52% respectively. With about 10% fluctuations from the averages, all the three branches had 3~5 of 10 inter-marriages with indigenous families in Gangneung area. They showed little increasing or decreasing in the marital tendency over generations. It must be because Gangneung has an isolated topographic condition with Taebaek(太白) Mt. Ridge and suffered few social changes due to it. And it turned out that Gangneung Choi family had little bond with other typical Cangwon areas(江原道) like Wonju(原州) and Chuncheon(春川) through the inter-marriage. In the actual marriage situation. Gangneung Choi family had duplicative and repetitive inter-marital relation with other indigenous families in Cangneung generation over generation. When a girl of the Choi family got married to a boy of other family, their kids married again with Gangneung Choi family members. In these inter-marriages, there were sorre cases of consanguineous marriage and ignorance or reversal of generation and kindred degree. Therefore, even if Gangneung Choi family had 51~60% of total inter-marriage with indigenous families in Gangneung area, actual ratio seemed much higher because the inter-marital relation was linked again with Gangneung Choi family through other family names. This type of inter-marriage must have an important role for Gangneung Choi family to maintain the social previledge in Gangneung.

      • KCI등재

        고려시대 리더십의 요소에 대한 연구

        박진훈 ( Park¸ Jin-hoon )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6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lements of leadership in the Goryeo Dynasty, it was found that several elements acted in a complex way to form the leadershi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general, the status or position have been reckoned to bring the leadership through its authority. However, the authority and power from the status or position did not function properly in a critical situations. The force that operates differently depending on time, place, and situation cannot be called as leadership. The competence was a key element of the leadership. Military ability played a major role in attracting the respect and obedience from the soldiers under the military leader. The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bilities were also the objects of respect. The official with this ability was more likely to acquire the leadership. However, the ability alone was not sufficient in implementing the leadership. The ability had to be the one to meet the needs of the group. In order to bring out the leadership, the ability had to be used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for public purposes rather than private interest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The courage was sometimes required for the use of the abilities in accordance with principles. Therefore, only those with courage could exercise the leadership. Principles brought the leadership only when applied for the group or a common purpose of the group members. Even if the leader adhered to the principles, the leadership used to collapse if it conflicted with the goals or expectations of group members. The leader had to equip the virtue of tolerance toward the group members while respecting the principles. The virtue of generosity was not to ignore the hope or expectations of the members and subordinates for life. This can be called the leadership by virtue. Unlike other leadership elements, the leadership by virtue was formed i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Therefore, the leadership by virtue could bringt about the voluntary obedience of members, thereby strengthening the authority and leadership of the leader and promoting the group cohesion. It also played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role in achieving the group’s goals, ensuring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group members.

      • KCI우수등재

        고려시대 官人層의 火葬

        박진훈(Park, Jin-Hoon) 역사학회 2016 역사학보 Vol.0 No.229

        Among the 326 epitaphs of bureaucrats investigated, 35 cases were cremated. The first record of cremation appeared at the reign of Munjong, and 50~60% of the bureaucrats’ families were cremated during the reigns of Yejong and Uijong. But the ratio of cremations during the reign of Myeongjong declined by 14% from the reign of Uijong to 36.1%, and the ratio kept dropping consistently during the military regime. No further record of cremation is shown among 110 epitaphs from the reign of Wonjong to the end of the dynasty. Cremation was an expensive funeral method. Therefore, there was an increased number of bureaucrats who could not afford to be cremaetd due to financial reasons. Additionally,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military regime and Buddhist temples is thought to have had reduced the frequency of cremations. Goryeo went into a war with the Mongols from the reign of Gojong. As a result, the country was ravaged and people were massacred. Consequently, cremation became almost impossible due to its costliness. Towards the end of the dynasty, cremation had been mostly replaced by burial as the common funeral method. Nevertheless, there remained a few number of people who were cremated for their devout faith in Buddhism. But when the radical group of new Sadaebu ferociously criticized Buddhism and the tradition of cremation, and established the Joseon dynasty based on Neo-Confucianism, the few remaining traditions of cremation disappeared.

      • KCI등재

        고려시대 관인층(官人層)의 임종 장소와 그 변화상에 대한 고찰

        박진훈 ( Jin Hoon Par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2 No.-

        고려시대 묘지명을 분석한 결과, 고려시대 관인층이 사망한 장소는 크게 집과 사찰 두 곳으로 압축된다. 전체 329건의 묘지명 중에서 사망장소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143건이며, 이 중집에서 사망한 경우는 122명, 사찰에서 사망한 경우는 21명이다. 이를 시대별로 분석하여 보면, 무신정변이 일어나는 의종대까지 고려의 관인층은 전체 111건 중에서 집이나 사찰에서 사망한 사람이 55건이며, 이 중 집에서 36명, 사찰에서 19명이 사망하였다. 집에서 사망한 사람이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대략 5~4명에 1명꼴로 사찰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반면 무신정권기에는 사망 장소가 확인되는 47건 중 2명만이 사찰에서 사망하였다. 충렬왕대 이후에는 사망 장소가 확인되는 41명 모두집에서 사망하였다. 고려 관인층은 의종 12~13년에서 명종 15년사이에 더 이상 사찰에서 죽음을 맞이하지 않게 되었으며, 세속적 장소인 집에서 임종을 맞는 관습이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발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무신정변의 발생으로 개경의 많은 사찰들이 커다란 피해를 입었다. 정변 이후에도 사찰 및 승려들은 계속해서 무신정권과 갈등을 빚었으며, 정변 발생 이후 치안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개경근처의 사찰들은 도적들의 습격을 받았다. 이에 따라 사찰은 요양을 하거나 안온한 죽음을 맞기에는 더 이상 적절한 장소가 아니었다. 따라서 사찰에서 임종하는 고려 관인층이 무신정변을 기점으로 급감하게 되었으며, 사찰에서 임종하는 것을 회피하는 풍조가 무신정권 내내 상당 기간 지속되면서 보편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유교적인 관념이 강화되고 유교적 상장례에 대한 의식이 성장하면서, 사찰에서 임종을 맞아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합리화되고 강화된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고려후기에는 독실한 불교신자라고 하더라도 사찰이 아닌 세속적 장소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삶과 죽음에 대한 고려 관인층의 생각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omb inscriptions from the Goryeo Dynasty, the death places of Goryeo bureaucrats`` famili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heir houses, and temples. Breaking it down by era, there were 111 members of Goryeo bureaucrat families buried before the Musin Jeongbeon (a coup d``etat by soldiers), of which 55 had their death places specified: 36 had died at their house, and 19 at the templ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47 people who had died under the soldiers`` reign and whose death places could be identified, only 2 bureaucrat family members had met their death at the temple. After King Chungyeol, all 41 bureaucrat family members with specified death places had died in their own home. The reason for this change was as follows: when the Musin Jeongbeon coup broke out, many temples in Gaegyeong - the capital of Goryeo - suffered huge damages. Even after the Jeongbeon, temples and monks maintained serious conflicts with the governing soldiers. Therefore, temples were no longer an appropriate place to seek health treatment or peaceful death.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Goryeo bureaucrat family members who chose to die at the temple drastically decreased after the Musin Jeongbeon, and the tendency to avoid dying at the temple remained prevalent among bureaucrats`` families long after the Jeongbeon. Furthermore, as Confucian ideologies were emphasized and their funeral rituals grew, the idea that death should not be met at the temple seems to have been rationalized and strengthened. Therefore, although bureaucrat family members were devoted Buddhists, it became generally accepted among them that death should be met in a secular place rather than at the temple. This change seems to have had an influence on Goryeo bureaucrat families``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in the long r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