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매 업태에 따른 판촉활동에 관한 이론적 연구

        박진호,이수동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7 서비스연구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nsumers who show the consumption patterns of brand switching and repeated purchasing, find the decision factors of their brand switching and repeated purchasing, analyze the difference in marketing response variables being represented as corporate promotion activities in the brand switching and repeated purchasing process, and provide a suggestion to apply the result to marketing Therefore, it tries to help the firms, which develop push marketing as the result of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distributors and sales competition focusing on external appearance, recognize consumers as individual substances; to propose proper efficient promotion activities; to let consumers increase loyalty to their trademark and continue to purchase their products repeatedly; and to induce competitor brand consumers to do brand swit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who prefer events, price discount, samples, and product premium which means the products with brand or logo on them had the feature of repeated purchasing. Secondly, service benefit, point-type promotion, cost-saving satisfaction didn't affect brand switching, and only the consumers who prefer coupon-type promotion did brand switching. Thirdly, a distribution type produce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repeated purchasing and coupon and coupon-type promotion, and between brand switching and service benefit. 본 연구에서는 상표전환과 반복구매의 소비 형태를 보이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상표전환과 반복구매의 결정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며 그러한 상표전환의 과정과 반복구매에서 기업의 촉진활동으로 대표되는 마케팅 반응변수별 차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마케팅에 적용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유통업계간 과다경쟁과 외형을 중시한 판매경쟁의 결과로 밀어내기식의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는 기업에게 소비자를 개개인의 실체로 인식시켜 이에 맞는 효율적인 촉진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자사상표에 대한 상표 충성도를 높여 지속적인 반복구매를 하게하고 경쟁상표 소비자의 상표전환을 유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벤트와 가격할인과 샘플이나 견본상표 혹은 로고(logo) 등이 새겨진 것을 일컫는 제품 프리미엄 등을 선호하는 고객들은 반복구매를 하는 특징이 있다. 두 번째 서비스 혜택과 포인트 형 판촉 그리고 비용절감 만족도가 상표전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쿠폰 형 판촉을 선호하는 사람들만이 상표전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반복구매와 쿠폰 형 판촉 사이에서는 소매 업태가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상표전환과 서비스혜택 사이에서도 소매 업태가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단체협약 종료 후의 집단적 노사관계 규율에 관한 연구

        박진호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1

        최근 들어 노사분쟁이 격화되고 있는 사업장들을 면밀히 관찰해보면, 주로 “단체협약 해지”와 “근로시간 면제자의 업무복귀 및 기타 근무시간 중 조합활동 금지”에 관한 사항들이 공통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은 현재 우리나라의 노동관계법망이 단체협약 실효 후의 노사관계, 특히 집단적 노사관계를 보다 촘촘하게 다루지 못하고 사각지대로 방치하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나타내주는 방증이라 할 것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행정 및 사법기관은 단체협약 중 조합활동과 관련한 대부분의 주요 사항들에 대하여 모두 채무적 부분으로 보고 단체협약이 그 유효기간의 만료나 기타 사유 등으로 실효될 경우 원칙적으로 함께 종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우리나라 노사관계에서는 단체협약의 유고 시 대부분의 조합활동들도 필연적으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며, 이러한 법현실은 일부 사용자의 본능적인 부당노동행위의사와 결합하여 종종 노동조합 무력화 내지 파괴 전략의 핵심 도구로 변용(變用)되기도 한다. 본고의 논의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한다. 즉 본고에서는, 노사간 분쟁이 필요 이상으로 지속·확대되는 주요 원인을 조합활동에 대하여 규범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는 작금의 법현실에서 찾아보고, 이에 따라 단체협약상 규범적 부분의 범위를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현실에 맞게 재조정하는 방법을 통해 그 해결을 시도하였다. 본고의 검토에 따르면, 비록 목적이나 지향하는 바가 조합활동을 위한 것이라도 그 수단이 근로조건의 규율을 통해 이루어진다면 이는 원칙적으로 모두 단체교섭의 대상이자 규범적 부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임자 및 근로시간 면제자, 근무시간 중 조합활동, 노동조합의 인사(징계)절차 참여, 시설·편의제공 등에 관한 단체협약 조항들 역시 해당 근로자에 관한 한 규범적 부분으로서 근로계약의 내용을 직접 규율 내지 형성하고 또한 이렇게 형성(또는 규율)된 근로계약은 단체협약이 종료되더라도 계속하여 유지·존속하므로, 그것을 변경하는 새로운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또는 근로계약이 체결되기 전까지 해당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위 각 조항들의 내용을 기존과 동일하게 요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나아가 법적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입법으로 명정(明定)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 경우 법체계적 정합성의 관점에서 현행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동쟁의의 대상(동법 제2조 제5호)에 “조합활동”에 관한 사항들을 추가하고 또한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와 근로시간 중 유급조합활동을 제한하고 있는 현재의 법조항(동법 제24조 및 제81조 제4호)들은 모두 삭제 내지 노사 간 완전자율에 맡기는 방향으로 함께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어떤 식으로든 근로조건과 관련한 내용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노사자치에 따르도록 하는 것이 헌법상 노동3권 보장의 이념과 취지에 보다 부합하기 때문이다. A close observation of those companies lately undergoing an intensified series of labor disputes reveals that some of the keywords to describe the disputes include “termin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order for a time-off worker to return to the job,” and “no union activities during work hours.” These circumstances paradoxically prove the loopholes in Korean labor law on the regulation of labor relations, especially industrial relations, once the collective agreement expires. In fact, both the administrative branch (i.e., the Kore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judicial branch (i.e.,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gard most of the major contents of collective agreement relevant to union activities as contractual obligations, and consider that the expiration or invalidation of a collective agreement in principle entails the lapse of the contractual obligations as well. In short, union activities are necessarily hard hit in the absence of a collective agreement. In combination with some employers’ instinctive tendency to engage in unfair labor practices, such a legal reality is often misused as an essential means to incapacitate or destroy unions. This is where this paper comes in. Namely, this article: (a) traces the main cause of the unnecessary continuation and increase of labor disputes down to the current legal reality denying the normative Kraft of union activities; and (b) attempts at resolving the problem by readjusting the scope of normative Kraft of collective agreements consistent with Korean circumstances. This paper argues as follows: (a) even when a clause under a collective agreement is aimed at vitalizing union activities, it ought to be subjec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normative Kraft inasmuch as it is implemented by means of regulating the terms of employment; (b) as such, the clauses under a collective agreement on such matters as full-time union official and time-off worker, union activities during work hours, the union’s right to attend and state opinions in disciplinary hearings, and provision of convenience also constitute normative Kraft as to the given individual employee, and thus, directly regulate and form an employment contract; (c) an employment contract so formed and/or regulated by a collective agreement survives the expiration of the collective agreement; and (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view that the given individual employee may continue to claim against the employer for each of the clauses above unless and until a new collective agreement, work rules, or employment contract modifying the same is entered into. Furthermore, it makes sense to clearly stipulate the above matters by legislation for the sake of enhancing legal stability. To this author’s view, from a legal congruence perspective, it would be reasonable to amend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in the following direction: (a) include matters on union activities in the coverage of industrial disputes under Article 2 subparag. 5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and (b) either entirely delete or leave up to the complete autonomy of the labor and the management the current provisions under Article 24 and Article 81 subparag. 4 of the same Act, prohibiting wage payment to full-time union officials and restricting paid union activity during work hour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more consistent with the ideal and purport of the three fundamental labor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to basically follow the autonomous agreement between the labor and the management on matters pertaining to the terms of employment.

      • KCI등재

        터널 굴착면 전방의 이상지반 예측을 위한 전기비저항 기반 하모니서치 (HS) 역해석 알고리즘

        박진호,이강현,신상훈,이성원,이인모,Park, Jin-Ho,Lee, Kang-Hyun,Shin, Sang-Hoon,Lee, Seong-Won,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4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비저항을 사용한 터널 굴착면 전방의 이상지반 탐사 시 이상지반의 위치와 두께 및 전기적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하모니서치(Harmony Search, HS) 알고리즘의 적용과 역해석 정확성의 검증이다. 가우스법칙(Gauss' laws)과 옴의 법칙(Ohm's laws)으로부터 이상지반 존재 시 암반의 전기저항과 이상지반 특성 변수를 연관 짓는 관계식을 유도하고, 전기저항을 사용하여 이상지반 특성 변수를 예측하도록 HS 알고리즘 기반의 역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지반의 전기비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 측정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제안된 HS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실내실험으로 모사한 이상지반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역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상지반의 위치와 두께에 대한 예측은 5% 이하의 낮은 오차율을 나타내어 이상지반의 특성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함을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application of the harmony search (HS) algorithm and verification of the accuracy of inverse analysis to predict the location, thickness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nomalous zone ahead of tunnel face when utiliz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ground. The relationship correlating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anomalous zone with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was derived using Gauss' laws and Ohm's laws. Inverse analysis program was developed to predict anomalous zone by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based on HS algorithm. Electrical resistance measuring system is devised to obtain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ground, and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on anomalies to verify the proposed HS algorithm.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omalies are predicted reasonably well resulting in less than 5% error when predicting the location and thickness of the anomaly.

      • 경상남도 소형풍력 활성화 방안

        박진호,안창현 경남발전연구원 2011 정책포커스 Vol.- No.-

        ○최근 경제발전과 더불어 에너지소모가 극심해지고 기존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한 국제적ㆍ사회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이러한 에너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노력중임 ○신ㆍ재생에너지 중 무한ㆍ무공해 에너지로서 풍력에너지가 가장 실용적인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생활미풍에서도 발전이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대한 제한이 적고, 송배전망을 필요로 하지 않아 도서지역 등의 오지에 경제적인 전력원인 소형풍력에 대한 연구개발이 급성장하고 있음. ○정부는 2004년 12월 31일 기존의 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ㆍ보급촉진법을 개정하여「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촉진법」을 개정ㆍ공포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기 위한 법적ㆍ제도적 기반을 마련함 ○경상남도는 2006년 8월 에너지기본조례를 제정하고 신ㆍ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이용을 촉진시키고자 노력을 하고 있으나 소형풍력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함 ○경남에서 소형풍력설비인증을 받은 제품이 없으므로 소형풍력설비에 대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하며, 인증에 필요한 성능검사기관을 경남에도 두어서 인증심사기간을 단축시켜야 함 ○경남은 조례 개정을 통해 신ㆍ재생에너지에 대한 보급화에 대한 계획 및 지원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며, 신ㆍ재생에너지 관련 조례 미제정 기초지방자치 단체는 조례 규정을 통해 신ㆍ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법정 계획화가 필요하고, 이에 근거하여 신ㆍ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비전과 목표 등을 제시한 에너지관련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함 ○소형풍력에 대하여 농촌지역과 해안지역에 소형풍력을 설치하는 경우 보조금 지원(약 50%)등을 통해서 소형풍력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산ㆍ관ㆍ연이 꾸준하게 협력하여 연구ㆍ개발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함

      • KCI우수등재

        콘크리트 표면처리 방법이 콘크리트 표면 금속용사 피막의 부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진호,김상열,이한승 대한건축학회 202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6 No.1

        The exterior finishing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prevent durability and prevent natural environment ordisaster such as temperature, snow, wind, rain from the outside as well as external design of buildings. Finishing methods can be dividedinto wet and dry methods. The wet method using paint is relatively easy to construct, but it requires repair and reinforcement every 1 to 5years and requires a lot of LCC for maintenance. Finishing method using panel has good durability, bu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expensive. Therefore,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bond strength for the application of the metal spray method in order to overcome theproblems of existing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andblast + surface roughness agent(S-R(Y)) has a roughness of 41.16 ㎛and the bond strength is about 3.19 MPa, which is the highest bond strength. In addition, the grinding + surface roughness agent(G-R(Y))application showed roughness of about 36.59 ㎛ and secured the bond strength performance of 2.94 MPa.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외부 마감은 건물의 외부 디자인뿐만 아니라 외부의 온도, 눈, 바람, 비와 같은 자연 환경 또는 재난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방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금속공법 적용해 표면거칠기에 따른 부착강도를 평가 하였다. 실험 결과 샌드블라스트+조면형성제 도포한경우 약 3.19MPa 로 가장 우수한 부착강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Fast Cardiac CINE MRI by Iterative Truncation of Small Transformed Coefficients

        박진호,홍혜진,양영중,안창범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5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19 No.1

        Purpose: A new compressed sensing technique by iterative truncation of smalltransformed coefficients (ITSC) is proposed for fast cardiac CINE MRI. Materials and Methods: The proposed reconstruction is composed of two processes:truncation of the small transformed coefficients in the r-f domain, and restorationof the measured data in the k-t domain. The two processes are sequentially appliediteratively until the reconstructed images converge, with the assumption that thecardiac CINE images are inherently sparse in the r-f domain. A novel samplingstrategy to reduce the normalized mean square error of the reconstructed images isproposed. Results: The technique shows the least normalized mean square error among thefour methods under comparison (zero filling, view sharing, k-t FOCUSS, and ITSC). Application of ITSC for multi-slice cardiac CINE imaging was tested with the numberof slices of 2 to 8 in a single breath-hold, to demonstr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the technique. Conclusion: Reconstructed images with the compression factors of 3-4 appear veryclose to the images without compression. Furthermore the proposed algorithm iscomputationally efficient and is stable without using matrix inversion during thereconstruction.

      • KCI등재

        멀티 생체신호 동기 시스템을 이용한 심장자기공명영상

        박진호,윤종현,양영중,안창범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4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18 No.3

        Purpose : We proposed a multi-physiological signals based real-time intelligent triggering system(MITS) for CardiacMRI. Induced noise of the system was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MITS makes cardiac MR imaging sequence synchronize to the cardiac motion using ECG,respiratory signal and second order derivative of SPO2 signal. Abnormal peaks due to arrhythmia or subject’smotion are rejected using the average R-R intervals and R-peak values. Induced eddy currents by gradients switchingin cardiac MR imaging are analyzed. The induced eddy currents were removed by hardware and software filters. Results: Cardiac MR images that synchronized to the cardiac and respiratory motion are acquired using MITS successfullywithout artifacts caused by induced eddy currents of gradient switching or subject’s motion or arrhythmia. We showed that the second order derivative of the SPO2 signal can be used as a complement to the ECG signals. Conclusion: The proposed system performs cardiac and respiratory gating with multi-physiological signals in realtime. During the cardiac gating, induced noise caused by eddy currents is removed. False triggers due to subject’smotion or arrhythmia are rejected. The cardiac MR imaging with free breathing is obtained using MITS. 목적 : 멀티 생체신호를 이용한 지능형 실시간 심장과 호흡에 동기화 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심장자기공명영상을 수행하였다. 또한 멀티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유기될 수 있는 eddy current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멀티 생체신호 동기화 시스템에서는 심전도 신호와 호흡신호 외에 추가로 SPO2 정보를 수집하여 심장의 움직임에 동기화 하였다. 심장운동의 동기화는 심전도와 함께 SPO2의 이차미분 신호를 이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심장 동기화 과정에서 피검자의 움직임과 부정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동기신호를 평균 R-R 시간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심장 영상화를 위한 시퀀스에서 경사자계의 스위칭에 의해 유기될 수 있는 eddy current의 특성을 분석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필터로 차단하였다. 결과 : 제안된 동기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심장과 호흡 운동에 동기화된 심장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심전도 신호에서 피검자의 움직임과 부정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동기신호를 차단하였고, 심장 영상화 과정에서 유기될 수 있는 eddy current를제거하였다. 또한 심전도 신호를 보완하여 SPO2의 이차미분신호를 이용하여 심장 영상이 가능함을 보였다. 결론 :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 생체신호 동기화 시스템은 심장자기공명영상을 위해 여러 생체신호 (심전도, SPO2, 호흡)를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심장과 호흡 동기화를 수행한다. 심전도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과 부정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동기신호를 차단하였다. 경사자계의 스위칭에 의해 생체신호에 유기될 수 있는 eddy current를 분석하였고, 심장과 호흡 동기를 병행하여 피검사자가 자유롭게 호흡하면서 심장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