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의 교체와 조직 성과

        박지현(Jeehyun Park),곽상모(Sangmo Kwak),김양민(Yangmin Kim),이승혜(Seunghye Lee)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7 연세경영연구 Vol.54 No.1

        본 논문은 Rowe et al.(2005)의 NHL 하키팀을 대상으로 한 리더 교체에 대한 선행연구가 타 종목의 스포츠에도 적용되는 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미국의 메이저리그 야구팀을 대상으로 리더의 교체가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감독뿐만 아니라 단장의 교체도 함께 연구함으로서 이 분야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프로야구 구단의 단장은 선수의 리크루팅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경기 중의 선수기용과 작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감독 못지않게 야구팀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1988년부터 2012년까지 15년간의 기간을 대상으로 30개의 미국의 메이저리그 야구팀을 대상으로 감독과 단장의 시즌 도중 교체와 시즌 간의 교체가 각각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즌 중 감독 및 단장의 교체는 모두 팀의 해당시즌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리더 교체 이론 중, 리더의 교체가 성과 상승이라는 본연의 목적 보다는, 성적이 부진한 팀에서 급격한 리더의 교체로 오히려 팀의 사기가 떨어지고 현황 파악을 하지 못한 새 리더가 갖는 불리함 때문에 성적 저하가 일어난다는 악순환(vicious cycle)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감독이나 단장의 교체 시기별로는 별 성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시즌 간의 교체를 겪은 팀이나 시즌 중에 교체를 겪은 팀이나 유의미한 성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단장의 시즌 중 교체를 겪은 팀에서는 당해년도의 잔여승률에는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그 다음 시즌의 승률은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시사점 및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order to verify the external validity of Rowe et al. (2005)’s study on leader success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NHL hockey team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leader succession on organization performance in the Major League Baseball Teams. Our study extends the existing studies of this area by examining both managers’ and GM (general managers)’s successions and their impa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evious sports-related studies including Rowe et al. (2005) have concluded that between-season succession (ritual scapegoating theory) does not impact team performance, while within-season succession (vicious-circle theory) tends to worsen team performance. By analyzing 30 Major League baseball teams leader successions between 1988 and 2015, we confirm these conclusions. We found that teams that have a coach and GM within-season successions are associated with worse performance in that season than those teams that do no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m performance between teams that experience within-season successions and teams that experience between-season successions for both manager and GM successions. However, teams that experience within season GM successions,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team performance improvements in the following seas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이사회의 다양성이 기업의 사회적 성과(CSP)에 미치는 영향

        박지현 ( Jeehyun Park ),장영균 ( Young Kyun Chang ),김태규 ( Tai Gyu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3

        본 연구는 이사회의 다양성과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한 기존의 서구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국내의 독특한 사회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서구에서는 폭넓고 다양한 의견들이 기업 의사 결정에 필수적이며 긍정적인 요소로 간주되어 이사회의 다양성이 사회 공헌과 같은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다양성보다는 화합과 통일성을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특성으로 인하여 이사회의 다양성이 기업전략에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이사회의 임기, 전공, 교육 수준의 다양성과 사회적 성과는 부(-)의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사회 경력 다양성은 사회적 성과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본 연구는 이사회의 다양성과 기업의 사회성과와의 관계는 국가별 제도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extant literature in Western contexts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aspects of board diversity and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CSP), but the relationships need to be reanalyzed in non-Western contexts, especially in Korea, given the distinct theoretical assumptions across countries. While Western contexts emphasize wider and various inputs for corporate decision-making, Korean contexts are presumed to underscore harmonious and unified inputs for the decision. In this regard, we propose that board diversity and CSP in Korea should be negatively related. From 1,060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years 2002-2005 in Korean large firms, we found that board diversity in terms of tenure, academic major, and educational level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SP respectively, whereas diversity in previous career experiences of board members is not related to CSP.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universal patter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ard diversity and CSP due to the idiosyncratic aspects of institutional contexts across countrie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CSP)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지현(Park, Jeehyun),장영균(Chang, Young Kyun),강평경(Kang, Pyung Kyu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16 관리회계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특성(나이 및 임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 가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 국내 연구에서는 다소 덜 주목한 개념인 경력 시야와 인지적 경직성 측면에 주목하여 이론적 맥락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유가증권 시장에 등록된 기업을 주요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였고 최종 표본에는 265개의 기업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최고경영자의 나이와 임기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고경영자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경력 시야가 짧을수록) 그리고 재임기간이 길수록 (인지적 경직성이 강할수록) 장기적이며 불확실성을 수반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를 보다 덜 추구할 것이라는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지지한다. 또한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공직 경력과 광고집중도를 조절 변수로 사용하여, 이 조절 변수들이 최고경영자의 나이 및 임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고경영자가 공직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그리고 기업의 광고 집중도가 높을수록 최고경영자의 나이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간의 부(-)의 관계는 보다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CEO’s characteristics (age and tenure) and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CSP). In particular, this study argues that CEO age and tenure relate to hard-to-measure cognitive factors such as the CEO’s career time horizon and fixed paradigm. This study proposes that CEOs with shorter career horizon be less committed to outcome-uncertain social investments due to their increasing riskaverseness. Also, this study argues that CEOs with high cognitive rigidity would be less attentive to social investments due to their lack of cognitive flexibility.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at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and CSP is mitigated by CEO’s work experience in 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firm’s advertising intensity. The hypotheses are tested with a sample from 256 large publicly traded Korean companies from 2002 to 2006.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CEO’s age and CEO’s tenure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SP, and (2) CEO’s governmental institutions careers and firm’s advertising intensity mi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age and CSP.

      • KCI등재

        ESG 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기업 재무성과: 실증연구 고찰과 향후 발전 방향

        김양민(Yangmin Kim),박지현(Jeehyun Park) 한국전략경영학회 2021 전략경영연구 Vol.24 No.2

        비록 학술지에서 이 주제에 대해서 다룬 것은 한 세기 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또는 ESG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특히 지난 30여 년간 엄청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여 무수히 많은 연구가 이 분야에서 진행되었고, 지난 20여 년간 이 분야의 학자들이 가장 자주 다룬 주제는 바로 CSR·ESG와 기업의 재무성과(CFP)의 관계였다. CSR·ESG와 CFP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들은 나름의 논리적 입장을 토대로 각기 긍정론, 부정론, 무효과론을 주장하고 있다. 정교한 연구 설계를 통한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CSR·ESG와 CFP간의 정(+)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으나 여전히 혼재된 결과들도 도출되고 있고, 특히, CSR·ESG를 잘 수행하면 재무성과가 좋아지는지, 즉 두 변수 사이에 확실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분야에서 이루어진 최신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 분야 최신 연구의 자세한 고찰을 토대로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ESG와 관련한 규제와 제도적 환경의 변화를 맞이하여 수혜를 받는 기업과 피해를 볼 기업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둘째, 현재의 ESG 지표가 지나치게 기술 중심 기업에 유리하고 고용을 많이 하고 세금 많이 내는 전통의 유통, 제조업에 불리하게 되어 있다는 지적을 감안한 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셋째, CSR·ESG와 CFP간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CSR·ESG와 CFP의 시간차 고려와 장기간의 자료 사용, 내생성에 대한 철저한 통제, 그리고 보다 정교한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발굴을 통한 검증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안에 대한 보다 더 자세한 논의와 함께 이 분야의 학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r ESG had an incredible journey in the management literature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hereas the scholarly literature about CSR dates to more than a century ago, its sensational rise in popularity in the 1990s and the 2000s implies that it is relatively a young area of academic research. While there are many research subjects, one of the most heavily studied topics in the area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CSP)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CFP). The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has been mixed. While most recent studies show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SP and CFP,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is not necessarily positive or significant. Furthermore, even in most studies that repor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t is not perfectly clear whether the relationship is causal whereby good CSR·ESG leads to good CF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cent empirical studies, and develop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is subject. We suggest that researchers on this subject must (1) focus more on impacts of ESG regu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P and CFP; (2) pay attention to a claim that ESG investment favors tech companies with fewer workers and low effective tax rate and the claim’s implication to the CSP-CFP relationship research; and (3) address endogeneity concern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SP and CFP and find more convincing mediators and moderators between the two variables. We conclude with detail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at will enable scholars to do a more fine grained study on this subject there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SP and CFP clea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