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연안에서 관측된 풍속자료를 이용한 바람소음준위 추정 연구

        박지성,강돈혁,김미라,조성호,Park, Jisung,Kang, Donghyug,Kim, Mira,Cho, Sungho 한국음향학회 2019 韓國音響學會誌 Vol.38 No.4

        항해하는 선박으로부터 방사되는 선박소음과 달리 바람소음은 바람과 해수면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된 쇄파에 의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바람의 소음원을 쇄파로 인해 발생되는 기포운으로 설정하여 바람소음준위를 모델링하였다. 모델링에서 바람소음의 음원준위는 동해 연안에서 운영되는 기상부이로부터 측정된 풍속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풍속을 측정함과 동시에 기상부이의 주변에 계류된 자가기록식 수중청음기를 이용하여 소음준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중소음에서 선박소음을 제거한 소음준위와 풍속에 따라 모델링된 바람소음준위를 저주파대역에서 비교하였다. 모델링된 바람소음준위와 측정된 소음준위의 전반적인 경향이 서로 유사하였다. 이에 따라 바람에 의해 발생된 소음원인 기포운의 음원준위 및 분포 수심을 고려하여 천해역에서 바람소음준위를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Unlike ship noise that radiates from moving ships, wind noise is caused by breaking waves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ind and the sea surface. In this paper, WNL (Wind Noise Level) was modeled by considering the noise source of the wind as the bubble cloud generated by the breaking waves. In the modeling, SL( Source Level) of the wind noise was calculated using the wind-speed data measured from the weather buoy operated in 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At the same time as observing the wind speed, NL (Noise Level) was continuously measured using a self-recording hydrophone deployed near the weather buoy. The modeled WNL according to the wind speed and the measured NL removing the shipping noise from the acoustic raw data were compared in the low-frequency band. The overall trends between the modeled WNL and the measured NL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model the WNL in the shallow water considering the SL and distribution depth of bubble cloud caused by the wind.

      • KCI등재
      • KCI등재

        동료의 사회적 태만과 지식 공유

        박지성(Jisung Park),채희선(Heesun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논문은 조직 내 지식 공유에 있어 동료 효과와 성별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논문은 동료의 사회적 태만과 지식 공유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동료의 사회적 태만과 지식 공유 간 관계에 있어 성별 차이가 어떠한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사회적 교환관계이론에 근거하여 동료의 사회적 태만에 대해 강하게 인지할수록 개인의 지식 공유 정도는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지식 공유 감소 효과는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 보다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가설화하였다. 이러한 가설 검증을 위하여 상사-부하 설문(170부)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론 부분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동료의 사회적 태만은 개인의 지식공유 행동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식 공유 저하 효과는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 감소 폭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진 함의와 한계를 결론에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er and gender effects in knowledge-sharing behavior.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d how coworker social loafing is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and how gender differenc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 social loafing and knowledge-sharing behavior. Drawing on economic and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predicts that coworker social loafing will decrease the knowledge-sharing behavior. In addition,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men will be more likely to withdraw knowledge-sharing behavior than women when they faced coworker social loafing.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paper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test with the supervisor-employee dyad samples.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 social loafing and knowledge-sharing behavior, coworker social loafing decreased the knowledge-sharing behavior, and the negative effect was larger in the case of men rather than women. In the discussion section, this paper propo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oretical arguments and empirical findings.

      • KCI등재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순환적-점진적 복합 분석방법

        박지성 ( Jisung Park ),이재호 ( Jaeh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6 No.4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시스템의 개발에는 일반적으로 신뢰성 높은 대규모 지식처리, 지식의 통합과 인간 수준의 이해, 지식기반 인간-기계 협업, 전문가 수준의 지능 서비스 등의 효과적 통합이 요구된다. 특히 빅데이터 이해 기반 자가학습형 지식베이스 및 추론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과제의 일환으로 개발 중인 WiseKB 통합 플랫폼은 대용량 지식을 저장하여 추론과정을 통한 질의 및 응답이 가능한 대규모 지식 베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지식표현, 자원통합, 지식저장소, 지식베이스, 복합추론, 지식학습 등의 요소기술들의 효과적 통합이 필수 적이다. 통합 플랫폼의 효율적 통합을 위해서는 정확한 요구사항 분석이 중요하며, 이는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요구사항 분석 방법론의 적용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요구사항 분석 방법인 순차적 방법론과 순환-점진적 방법론은 WiseKB와 같은 시스템의 대규모 복합적 개발 특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순차적 방법과 순환-점진적 방법론을 결합해 각 단점을 보완하고 대규모 복합적 특성을 갖는 시스템의 요구사항 분석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통합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적용을 통해 그 효과를 보인다. Development of Intelligent Systems involves effective integration of large-scaled knowledge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human-machine interaction, and intelligent services. Especially, in our project for development of a self-growing knowledge-based system with inference methodologies utilizing the big data technology, we are building a platform called WiseKB as the central knowledge base for storing massive amount of knowledge and enabling question-answering by inferences. WiseKB thus requires an effective methodology to analyze diverse requirements convoluted with the integ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resource management, knowledge storing, complex hybrid inference, and knowledge learn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grated requirement analysis method that blends the traditional sequential method and the iterative-incremental method to achieve an efficient requirement analysis for largescale systems.

      • KCI등재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행위, 직무 특성, 그리고 조직의 인정 간 관계에 관한 연구

        박지성(Jisung Park),채희선(Heesun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2

        본 논문은 비싼 신호보내기 이론과 자기향상동기를 중심으로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 행위 간 관계, 그리고 더 나아가 조직의 인정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개인의 성격적 특질에 더하여, 상황적 요인으로 직무 특성을 고려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직무 복잡성과 다양성이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 행위, 조직 인정 간 정(+)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제안하였다.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사-부하 쌍(dyad) 설문을 실시하여 총 166쌍의 응답을 실증 분석한 결과, 예측한대로 주도적 성격을 가진 구성원일수록 지식 공유 행위를 보다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식 공유 행위는 조직 내 상사가 평가한 조직 인정을 궁극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직무 복잡성과 다양성이 높을 때가 낮을 때보다 지식 공유 행위에 의해 매개된 주도적 성격과 조직 인정 간 정(+)의 관계를 보다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예측한대로 조절변수 관련 가설들도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직 공유의 동기가 무엇이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경계조건들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지식경영 분야에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Drawing on costly signaling theory and self-enhancement motiv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proactive personality,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organizational recognition. In addition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this study considers job characteristics as conditional factors, and especially proposes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job complexity and variety moderate the relationships among proactive personality,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organizational recognition. To prove these hypotheses, empirical analyses are conducted with 166 dyad s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industries. As predicted, individuals with high proactive personality are more likely to become involved in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this behavior increases organizational recognition rated by their supervisors. Moreover, job complexity and variety moder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recognition is mediated by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ese results reveal the motive in knowledge sharing and the boundary condition that is necessary to increase such behavior. The study finding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to the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 KCI등재

        여성 관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전망 간 관계: 합리적 인사관리관행과 조직 내 상위직 여성 관리자 비율의 조절효과

        박지성(Jisung Park),옥지호(Chiho Ok),신수영(Soo-young Sih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10 No.3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 경력개발과 관련된 기존의 이론적 발견과 실무적 함의에 기여하고자 사회 인지적 경력개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을 토대로, 여성관리자들의 경력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실증적인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성 관리자가 인식한 주관적 경력성공이 경력전망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는 한편, 합리적 인사관리관행과 조직 내 상위직 여성관리자 비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조사를 활용하여 465명의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경력전망에 대한 인식 역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 검증결과, 상위직 여성 관리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수준과 경력전망의 정(+)의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합리적 인사관리관행과 관련된 조절효과의 경우 예측과는 달리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와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론에서는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지지되지 않은 가설에 대한 대안적 설명과 추후연구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Following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o influence female managers’ career prospec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how female managers’ subjective career success influences their career prospect as a main effect. Moreover, this study also explores how perceived rational human resource practices and the female percentage at the higher-position level moderate the main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prospect. The results analyzing 465 female managers panel data from Korea Female Policy Institute showe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prospect, and the female percentage at the higher-position level strengthened this main relationship. However, unlike the prediction, the perception of rational human resource practices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as a moderator. In the discussion part, this study suggest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색상 패턴을 고려한 예술적 텍스처 전이 기법

        박지성(Jisung Park),강동완(Dongwann Kang),윤경현(Kyunghyun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0 No.4

        텍스처 전이 기법은 대상 영상에 입력 영상의 텍스처를 전이하는 방법으로, 입력 영상의 예술적 스타일을 대상 영상에 전이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 영상의 텍스처 뿐만 아니라 색상의 패턴도 함께 고려한 텍스처 전이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입력 영상으로부터 주변 색상과의 차이에 기반한 색상의 패턴을 분석하고, 입력 영상으로부터 최적의 후보를 탐색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텍스처 전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여, 대상 영상의 원 색상을 보존하면서, 입력 영상의 텍스처와 색상 패턴을 효과적으로 전이한다. Texture transfer is a method to transfer the texture of an input image into a target image, and is also used for transferring artistic style of the input image.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technique considering not only the texture but also the colors patterns of the input image. Our method analysis the colors pattern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neighbors, and search the best pixels in the candidates set in the input image. By using this method, we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successfully transfer the texture and the colors patterns of the input imag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lors of the target image.

      • KCI등재

        고령화와 조직 혁신: 비선형성과 연령 다양성의 조절효과

        박지성(Jisung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논문은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효과와 연령 다양성이 이러한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지식경영 기반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업 특유적 지식과 조직 내외부 사회적 연결망 측면에서 고령인력이 일정 정도 조직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반면, 고령인력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면 새로운 지식 창출관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조직 혁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보다는 부정적 효과가 보다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더하여,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적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연령 다양성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연령 다양성이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측한대로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은 역 U자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연령 다양성은 이러한 역 U자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결과는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들을 보다 다각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asting effects of an aging workforc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diversity. By utilizing a knowledge-based view, this study asserts that an aging workforce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to some degree due to accumulated firm-specific knowledge and experiences as well as various social networks within and outside the firm. On the contrary, as the portion of an aging workforce increases, the negative effect of the aging workforc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can overwhelm the positive effects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new knowledge cre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age diversity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workforce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Empirical findings showed that an aging workforce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had an inverted-U relationship, and age diversity moderated this curvilinear relationship as this study predicted. These theoretical arguments and empirical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to explore the complex effects of an aging workforc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s well as addi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workforce and firm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